Q. 참기름을 만들면 발암물질이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참기름을 만들 때 발암물질이 생성될 수 있다는 이야기는 벤조피렌이라는 화합물 때문입니다. 벤조피렌은 고온에서 기름을 가열할 때 생성될 수 있는 1급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참깨를 210℃ 이상의 고온에서 볶을 경우 벤조피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하지만 모든 참기름이 위험한 것은 아닙니다. 저온 압착 방식으로 제조된 참기름은 벤조피렌 생성 위험이 낮으며, 식약처의 검사 기준을 통과한 제품은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참기름을 170℃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조리 후 마지막에 넣는 것이 안전한 사용법으로 추천됩니다.방앗간 참기름과 기업 참기름의 차이에 대한 이야기는 제조 방식과 정제 과정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입니다. 방앗간에서 직접 짠 참기름은 고온에서 볶아 향이 강할 수 있지만, 벤조피렌이 생성될 가능성이 높고 산패 위험도 큽니다. 반면, 기업에서 생산하는 참기름은 정제 과정을 거쳐 벤조피렌을 제거하거나 조절할 수 있어 향이 상대적으로 약할 수 있습니다.결론적으로, 참기름을 선택할 때는 저온 압착 방식으로 제조된 제품을 고르는 것이 안전하며, 고온에서 가열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방앗간 참기름과 기업 참기름의 차이는 제조 방식에서 비롯된 것이며, 대기업의 횡포라기보다는 식품 안전 기준과 품질 관리 차이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할 것 같습니다.
Q. 화상을 입었을떄 피부가 굳으면 이는 다시 재생이 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화상을 입으면 피부 조직이 손상되면서 심한 경우에는 피부가 굳거나 변형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는 피부의 깊은 층까지 손상이 가면서 콜라겐 섬유가 변형되고, 정상적인 피부 재생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특히 심재성 2도 화상이나 3도 화상의 경우, 피부의 진피층까지 손상이 가면서 새로운 피부 세포가 생성되지 못하고 흉터 조직이 형성됩니다. 이 과정에서 피부가 단단하게 굳고 탄력이 떨어지며, 심한 경우에는 구축이라는 현상이 발생해 피부가 수축하고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또한, 화상 부위는 혈액 공급이 감소하고, 피부 재생을 담당하는 줄기세포가 손상되면서 정상적인 피부 회복이 어려워집니다. 이런 이유로 심한 화상 후에는 피부가 원래 상태로 돌아가기 어렵고, 흉터 치료나 피부 이식 등의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화상 후 피부 재생을 돕기 위해서는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중요하며, 초기 응급처치부터 흉터 관리까지 신경 써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