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호진 전문가입니다.
이호진 전문가
부산 건강한재활의학과 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2024년 8월 9일 작성 됨
Q.
무릎이나 어깨에서 가끔 뚝뚝소리가 나요.
안녕하세요. 이호진 물리치료사입니다.관절에서 소리가 나는 원인은 관절내 압력이 증가하면서 산소가 유입되어 나는 소리일 수가 있고, 혹은 뼈의 돌출부에 인대나 힘줄이 튕기면서 나는 소리일 수 있습니다. 뚝뚝 소리가 나면서 통증이 없으시다면 큰 문제가 있는 부분은 아니니 걱정안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뭔가 걸리는 듯한 느낌이고 이러면 조심해주실 필요는 있겠습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8월 8일 작성 됨
Q.
근육 운동 문의드려여..회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이호진 물리치료사입니다.근육은 우리의 몸을 지탱해주는 역할합니다. 보통 30세를 전후해서 근육량이 감소하기 시작하는데 50세 이후로는 매해 1~2% 정도의 근육이 감소한다고 알려져있습니다. 이러한 근육이 뼈를 보호해주고 몸을 지탱해주는 약해지게 되면 쉽게 피로해지고 움직임이 힘들어질 수 있겠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꾸준한 운동을 통해서 근육을 유지해주시는 것은 건강에 도움이 되실 것 입니다. 그러니 다음날 몸에 부담이나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의 운동은 도움이 되실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과하지 않게 운동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8월 8일 작성 됨
Q.
앉았다 일어나면 무릎에 뚝뚝 소리가나요
안녕하세요. 이호진 물리치료사입니다. 이 뚝뚝 나는 소리가 뼈이 구조물에 인대나 힘줄이 튕기면서 날 수도 있고 혹은 관절내에 압력이 증가하면서 가스가 차면서 나는 소리 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통증이 없으시다면 그냥 생활하셔도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이 되는데, 뚝뚝하고 소리가 나는데 통증이 있으시다면 진료를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8월 7일 작성 됨
Q.
허리아프면 앉는게 힘든가요 궁금햐요
안녕하세요. 이호진 물리치료사입니다. 허리 통증의 양상에 따라 다른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어떤분은 앉아있는게 편하신 분이 계시고 또 다른분은 앉아있을 때는 아픈데 서있으면 괜찮다고 하시는 분이 계시며, 둘 동작 모두 아픈데 걸으면 괜찮아지신다고 하시는 분도 있습니다. 이렇듯 허리의 어떤 문제냐에 따라서 증상도 각기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허리 통증이 있을 때 쉬어주면은 통증이 경감되고 편해지는 것이 사실이나 아플 때마다 너무 누워만 있고 하다보면 허리의 근력이 점점 더 약해지면서 오래앉아있는 것이 더 힘들 때가 있기 때문에 어느정도 가볍게 걷거나 움직여주시는게 누워있는 것보다 도움이 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앉아있는 자세는 누워있는 자세보다 허리 디스크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자세로 오래 앉아있는 것이 누워있는 것보다 당연히 좋지 않은 자세가 된다 볼 수 있겠습니다.친구분께서는 일단 병원 진료를 보셔서 어떤 문제가 있는지에 대한 원인 파악을 먼저 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단순 염좌인지 혹은 디스크로 인한 증상인지 등을 파악한 후 그에 맞는 대처를 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정형외과
2024년 8월 6일 작성 됨
Q.
다리의 근육통이 지속되면 어떻게 처치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호진 물리치료사입니다.종아리 근육의 통증이 지속되시는 군요. 평소 어떤 일을 하시거나 동작을 반복하시는지를 알면 조금더 명확하게 말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만 그렇지 않은 관계로 일반적인 내용으로 설명을 드려야 할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종아리 근육의 통증의 경우는 과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많이 걷거나, 뛰거나, 오래 서있거나 등의 경우.혈액순환의 장애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시간 앉아있어야 하고 움직이는 시간이 현저히 적어질 경우 등허리 디스크의 증상으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경 눌림으로 인한 방사통으로 땡기는 듯한 통증이나 저린 느낌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만 종아리가 아파서 아내분께 밟아달라는 말씀을 하셔서 근육 손상이나 파열이 되는 부분은 배제를 하고 위와 같을 경우가 일반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일 듯 합니다. 진료를 한번 보시고 증상에 따라서 치료를 받으시는게 도움이 되실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가정에서 하신다면 아래의 그림과 같은 발목 안정화 운동을 해보시는 것이 어떨지도 제안을 해봅니다. 그리고 온찜질을 해주시는 것도 도움이 되실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141
142
143
144
1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