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허리디스크 같은 경우에는 수술말고 다른 치료방법은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이호진 물리치료사입니다.안녕하세요. 최근 디스크 환자분들의 관리 방법은 수술을 최대한 피하고 보존적인 치료를 통해서 회복을 유도하는 쪽으로 많이 바뀌고 있습니다. 디스크 환자분의 경중에 따라서 수술을 시행해야하는 부분들도 존재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물리치료, 도수치료, 약물, 주사치료 등의 치료방법들로 1차적으로 통증 관리를 하게 되고, 그럼에도 개선이 없다면 수술보다는 간단한 시술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수술이나 시술을 한다하더라도 결과적으로는 허리 주변 근육의 안정화 운동을 통한 자세 개선과 재활이 필요합니다.
Q. 하지정맥류란 무엇이고 왜 나타나는가요?
안녕하세요. 이호진 물리치료사입니다. 하지 정맥류란 하지 정맥 일방 판막 기능 장애로 인해 혈액이 역류하는 것을 포함하여 하지의 표재 정맥이 비정상적으로 부풀어 꼬불꼬불해져 있는 상태를 가리키는 질환입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환자들이 “힘줄이 튀어나왔다”라고 표현합니다. 초기에는 외관 상의 문제 외에 별다른 불편감이 나타나지 않지만, 이 증상이 점차 진행되면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 정맥류는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유발 인자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하지 정맥류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음과 같은 사례가 그 유발 인자로 지적됩니다. 유발 인자로는 가족력, 첫 임신 나이, 경구 피임약 복용, 하루 6시간 이상 서있는 직업, 비만, X-선 혹은 자외선 노출 정도, 혈전 정맥염의 과거력, 하지 감염 혹은 허혈 증상, 복압을 증가시키는 만성 질환, 몸에 꼭 끼는 옷 착용, 의자에 오래 앉아 있는 직업, 습관적으로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 등이 있습니다. 하지 정맥류 발생 유발 인자 중에서는 가족력 혹은 유전적인 요인이 하지 정맥류 발생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부 보고에 의하면 하지 정맥류 환자의 약 80%가 적어도 1명 이상의 가족 구성원이 하지 정맥류를 앓고 있었습니다. 특히 하지 정맥류 가족력이 있는 환자들 중 80%는 모계(母系) 쪽으로 성 연관 상염색체 우성 유전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 출처 : 서울 아산병원 질환백과-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