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임종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임종현 전문가입니다.
임종현 전문가
청담해리슨송도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2024년 9월 7일 작성 됨
Q.
이런 상황에서 어깨 탈구 납득이 되시나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보통은 어깨가 빠지지않는 상황에서 탈구가 일어나신것은 맞습니다. 외력이 가해지지않고 팔이 빠지는경우는 원래 어깨관절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일어날수있는일이며 이때까지 없던것이 처음으로 일어나셔서 많이 속상하시겠습니다. 어깨관절은 원래 불안정한 관절로 근육이 제대로 기능을 잘못한다면 탈구가 일어날수있습니다. 고로 이때까지는 어깨 근육들이 잘버텨줬는데 말린어깨라던지 등이 점점 굽어지는것 등등을 포함해서 어깨근육이 점점 약화되어가는 시점에 탈구가 일어났을가능성이 있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9월 7일 작성 됨
Q.
운동을 하고난 후 하루 이틀정도가 지나면 팔이 부어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팔이 붓는것이 오른쪽팔만 붓는다는것일까요? 사용한 쪽 팔만 붓는것이면 근육을 쓰면서 생기는것이다보니 크게 문제될것은 없어보입니다. 다만 한쪽팔을쓴느데 두팔다 붓는다면 진료를 통해 정밀검사를 하시는것이 좋겠습니다. 배드민턴을 배우는 초반에는 근육통 및 팔부음이 있을수있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9월 7일 작성 됨
Q.
무릎 연골아 닳는 주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나이가 들면서 연골은 약해집니다. 다만 무릎은 발이 바닥에 고정되어있기때문에 회전하는 힘을 받게됩니다. 무릎은 원래 굽히고 펴는동작이 주된 움직임인데 근육의 불균형으로 인해 (무릎 또는 골반같은) 굽히고 필때 뒤틀리는 힘이 생기게됩니다. 고로 연골이 조금씩 자극을 받는것이라 무릎을 한쪽으로 무게중심을 많이쓰는 습관이나 근육이 불균형해서 회전력이 많이 걸리는 무릎일수록 멀쩡한 무릎에 자극을 많이하게되어서 연골이 더 빨리 닳을수있는것입니다. 고로 통증이 심해지기전이나 있기전부터 무릎의 균형을 맞춰주며 운동해주는것이 연골을 건강하게 쓸수있는 습관입니다.
정형외과
2024년 9월 7일 작성 됨
Q.
허리디스크 수술후 장딴지 통증이 있늠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허리 신경이 오랫동안 눌려있으면 수술로 압박을 해결하고도 증상이 돌아오는데 시간이 걸릴수있습니다. 허리신경은 장단지로 이어지는 길이 있기때문에 아직2달이시면 시간을 좀더 지켜보시며 회복을 기다려보셔도 될것같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9월 7일 작성 됨
Q.
인대 늘어짐 재생주사 꼭 맞아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재생주사를 맞으면 인대에 좋은 영향을 줍니다. 다만 주사를 맞아야지만 낫는다거나 그런것은 아니므로 필수는 아닙니다. 고로 무조건 맞아야지 낫는다는것은 아니지만 빠른회복을위해 같이 맞아주는것이 좋습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9월 7일 작성 됨
Q.
무릎이나 허리삐끗하였을때 관리하는법?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허리를 삐끗했을때는 뜨거운찜질보다 차가운 찜질을 해주시는것이 좋고 3일까지는 차가운찜질과 누워서 휴식을 해주시는것이 좋습니다. 그 이후 통증이 심하지않다면 가볍게 걷기를 해주시며 활동해주시는것이 근육을 더 빠르게 회복할수있습니다. 다만 걸을때 허리에 자극을주면서 까지 걸을필요는없기때문에 통증이 있다면 더 쉬고 그이후에 가볍게 움직여주는것이 좋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9월 7일 작성 됨
Q.
초등학생, 고등학생 10층 아파트 한달간 걸어내려가기 무릎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무릎이 바깥으로 돌아가있거나 안으로 모여있는 상태에서 계단을 많이 오르는것을 무릎 마찰력증가로 인해 무릎 통증을 불러올수있습니다. 하지만 보통의 경우라면 계단오르기는 좋은운동이 됩니다. 하지만 살아가면서 무릎의 균형을 바로잡힌 상태로 나이가 들기는 운동을 꾸준히 하지않으면 어렵기때문에 보통 나이가 들어가면서 무릎에 비대칭한 힘이 들어가고 그로인해 계단을 오르거나 내릴때 무릎이 아프니까 나쁘다고 생각하실수있는데 계단운동자체는 무릎에 도움이 됩니다. 해롭다고 설명되는것은 위와같이 무릎정렬이 안맞기때문에 그상태에서 계단을오를때 해롭다는것입니다. 고로 어린친구들은 무릎문제가 없다라는 전제하에 무릎에 오히려 도움이될수있습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9월 7일 작성 됨
Q.
허리를 삐끗했는데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허리를 삐끗한 상태에선 뜨거운 찜질보다 차가운 찜질을 하시면서 누워서 무릎을 세우고 허리를 최대한 이완된 자세에서 쉬어주는것이 좋습니다. 추후 허리에 들어간힘이 습관이 되지않게 가볍게 코어운동까지 해주시면 더욱좋지만 일단은 과하게 움직이거나 운동하기보다 휴식을 먼저 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9월 7일 작성 됨
Q.
심하게 턱을 부딪혔는데 동그랗고 딱딱한 것이 생겼어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엑스레이사진없이 얘기로만들어봐서는 염증이 생긴상태에서 굳으면 딱딱해지고 서서히 없어진다고 알고있습니다. 정확한 답변은 아니지만 이런 경우도있다는것에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9월 7일 작성 됨
Q.
흔히 허리 디스크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추간판은 척추의 뼈 사이사이 마다 들어있습니다. 하지만 몸통쪽에서 탈출되는경우는 드물기때문에 목아래쪽에서 디스크가 삐져나가거나 허리아랫쪽에서 디스크가 삐져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디스크는 허리의 충격을 흡수해주는 중요한 구조물인데 허리나 목의 근육의 압박력이나 외력으로 인해 디스크들이 점점 옆으로 삐져나가게되면 주위에있는 신경들이 디스크에 의해 눌리기때문에 디스크 자체가 문제가있는것이 아니라 디스크가 삐져나가서 주변을 건들게된다는것이 포인트입니다. 저희가 흔히 말하는 허리디스크가 이런 상황입니다. 예방을 위해선 허리 압박력이 높아지는 자세를 피하고 (허리를 많이굽힌다거나, 무거운것들기 등등) 평상시 코어운동을 해주시는것이 좋습니다. 코어운동을 하냐 안하냐에 따라 똑같이 허리를 쓰더라도 허리에 힘을 과도하게 줘야하느냐 덜주고도 똑같은 일을 할수있느냐 차이가 있기때문에 예방차원으로 코어강화를 해주시는것을 권해드립니다.
111
112
113
114
1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