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에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저는 자존감이 아주 높은 사람입니다. 어릴때도 그랬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제 경험을 들으시면 좋겠네요. - 어릴때 저는 제 이름 석자만 쓸줄 알고 초등학교에 갔습니다. 받아쓰기 20점 받아도 전혀 부끄럽지 않았던 것 같고, 구구단 못해서 나머지 공부할 때도 당당했던 것 같습니다. 공부를 못한 것이 창피하지 않은 것은 아니었지만 학교라는 곳에서 친구들과 노는 것이 더 좋았기 때문입니다. 저는 혼자였으니까요. - 아버지 어머니께서 어려서 부터 너가 못하는 것이 있기도 하지만 다른 아이들 보다 잘하는 것이 분명있단다. 너가 좋아하고 잘하는 것을 생각하고 전혀 기죽지 말고 자신감 가지고 살아라.. 이런 멘트를 아주 많이 해주셨습니다. - 제가 잘났다는 생각을 한 것도 아니고, 집이 부자인 것도 아니었지만 하고 싶은 것을 해보자. 하고자 하는 것을 위해 노력하지라고 생각하며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중학교 때부터 꿈이 생겨서 교사가 되기 위해 공부를 하고, 대학을 와서 드디어 교사가 되었습니다. - 만약, 어려서부터 부모님이나 주변에서 '너는 그것도 못하니, 너는 잘하는 것이 뭐냐? '등으로 저를 대했더라면 저는 자신감 없고 자존감 없는 아이로 자랐을 것입니다. '나는 00도 못하고, 00도 못하고...' - 자존감은 자기 자신의 가능성을 믿고, 자기 자신이 만족하고, 어느 누구를 위해서가 아닌 나를 위해서 목표를 세우고, 목표를 실천하고, 내 인생을 책임지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나 스스로를 사랑하지 못하면 자존감은 형성되지 않습니다. - 아이가 자신을 사랑하는 아이로 키워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때 가장 어려운 것은 부모님의 태도 입니다. 우리 아이보다 공부잘하는 옆집 00랑 비교하고, 더 키가큰 둘째아이랑 비교하고,,, 수없이 만은 비교하는 말들에 부모는 방어를 해주셔야 합니다. 아이가 기죽지 않도록, 아이가 당당하도록... 저는 결혼하고 아이를 키우면서 시댁/친정 어른들의 조카들 비교하는 이런 멘트에 방어하는 것이 많이 힘들었습니다. 공부에 취미가 없던 우리 딸은 디자이너가 되어 자기직업을 잘 찾았습니다. 자기가 좋아하는 직업을 하도록 지원해 주었으니까요부모님, 화이팅입니다.
Q. 아이 조기교육이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우리가 사용하는 조기교육은 다양하게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조기교육이 필요한가? 필요하지 않은가?를 논하기에 앞서서조기교육에 대한 이해가 먼저 필요한 것 같습니다. - 조기교육은 선행학습이다. 초등학교에 가려면 한글은 알아야 하고, 덧셈도 알아야 하고, 영어 알파벳도 알아야하고.... 이렇게 미리 공부를 시키는 개념으로 사용되는 것이 선행학습입니다. 우리나라는 과거에는 선행학습이 강조되었으나 최근은 선행학습을 조장하지 않는 것으로 변경되었으나, 아직도 학원 등에서는 많이 실시합니다. 한글/영어/산수 등 많은 것을 공부하고 초등학교에 들어가면 다른 친구들보다 앞선 것처럼 보이지만 알고 있는 것들에 실증을 내서 학교수업이 재미었는 경우가 되어 산만해질 역효과가 날 수 있습니다. - 아이의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필요한 교육적 요구를 제공하는 경우도 조기교육이라고 합니다. 언어발달에 장애가 있는 아이에게 언어치료, 미술치료, 행동치료... 등을 제공하는 것이 교육적 요구에 따른 조기교육입니다. 이때의 조기교육을 제공하는 이유는 조기교육이 제공되어야 또래아이들과 초등학교에서 만나서 같은 내용을 공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꼭 필요한 맞춤형 교육인 것입니다. ** 위의 두 개념을 고려하셔서 우리아이에게 어떤 개념의 조기교육이 필요한지를 고려하시면 좋겠습니다. 가능하시면 학교에 들어가서 질리도록 공부를 하게되는 우리나라 상황에서는 어릴때는 놀 수 있을때 바깥놀이, 또래놀이 등을 맘껏할 수 있었으면 하는 개인적인 바람이 있습니다.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