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정소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소원 전문가입니다.

정소원 전문가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가 떼를 너무 써요. 어떻게 훈육할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아이가 보채고 공격적일 때, 정말 부모 된 입장에서 울고 싶기만 하죠.진료실에서도 이런 고민을 하시는 분들을 정말 많이 만나 뵙습니다.​이럴 때 제가 주의 깊게 확인하는 건​1. 입니다.​만 3-4세(지금 딱 따님 나이군요엔 "분노발작의 시기"라는 공식 명칭까지 있습니다.말 그대로, 분노발작....관찰해 보시면 고함지르고 우는 아이들 대부분이 이 나이랍니다.원인이 여러 가지 있겠지만, 소아과에선 아이들의 언어발달이 뇌의 발달만큼 따라주지 않아 답답한 마음이 커져서라고 보는 것이 주된 의견입니다.즉, 를 떠오려 보시면 되는데요.지능만큼 할 말로 표현을 잘 할 수 없으니 아이가 고함치거나 소리를 지르는 걸로 표현하는 거죠.​그렇다면, 이때 보호자분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위험한 행위일 때는 꼭 붙들고 못하게 해야 하나, 가벼운 상황에서도 그렇게 하는 건 권하지 않습니다.(꼭 붙잡는 건 아이에게 조금은 폭력적인 느낌을 받게 합니다.위험한 상황일 때만 꼭 안아주면서 괜찮아라고 말해주시면 더 좋습니다.)웬만한 경우 옆에서 기다려주시고(달래거나 혼내시는 것은 물론, 반대로 그 자리에서 모른 채 떠나버리거나 혼자 두는 것도 절대 금기입니다.)스스로 멈추면 그때서야 꼭 안아주기를 반복하시길 바랍니다.​물론 힘드시겠지만, 아이 스스로 답답해서 오죽 힘들었을까 생각하시면서 다독여준다면아이는 크나큰 안정감을 가지게 됩니다.​2. 어린이집이나 학교의 선생님 등 타인의 눈에도 아이가 비정상적으로 보채는가?입니다.​만약에 어린이집에선 너무 얌전하다거나 타인의 눈에는 매우 정상적이라는 말을 듣는다면일단 안심하시고 이 시기가 지나길 기다리시길 권합니다.지난번에 친구랑 패밀리레스토랑에 갔다가 나오는 길에옆 테이블 꼬마가 지르는 소리에 힘들었다는 친구 말을 듣고 깜짝 놀랐던 적이 있었습니다.저는 옆 테이블 아기가 이쁘게 말도 잘한다고 생각했었거든요 ㅎㅎㅎ사람들마다 민감성은 정말 다릅니다.이럴 때는 타인의 눈으로 바라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듯합니다.​3. 만약 어린이집이나 학교 선생님들의 의견도 아이가 지나치게 폭력적이라고 하면소아청소년과로 내원하셔서 진료를 받으시길 권유 드립니다.만의 하나 생길 수 있는 ADHD나 기타 문제에 대해서 일반 소아과에서도 충분히 상담받으실 수 있습니다.​모쪼록 상담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편안한 육아 되시길 기원합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다문화가정입니다 딸교육문제로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드디어 가족 상봉이시라니 글을 읽다 뭉클해집니다.물론, 부모님 입장에서는 기쁘실 건 당연하지만, 아이의 교육과 적응문제에 대해당연히 걱정도 크시겠지요.보통 환경이 바뀌면 문제로 걱정을 하시지만가장 중요한 것은 적인 문제입니다.이제 환경이 바뀌면 아이는 모든 사람과 대상이 낯선 것으로 가득 차게 되므로 제편이 없다고 느끼게 되겠지요.이 상황에서 부모님이 교육 당사자가 되고 계속 아이의 발음을 고쳐준다면오히려 아이의 자존감을 낮추게 될 수도 있습니다.의외로 시.도청 등 공공기관에 연락해 보시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지원이 있으며특히 어머니와 자녀가 함께 교육을 받으면 효과가 배가 되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가족모두의 화목한 미래를 미리 축하드립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형제가 모두 ADHD일 확률 얼마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의사입니다.대답에 앞서제가 몇 프로라고 말씀드리는 것이 과연 어떤 도움이 되실까생각하게 됩니다.오히려 ADHD는 약물로 조절이 잘 되는 편이나중요한 것은 아이의 정확한 발달 상태이며 이에 따른 치료를 하는 것입니다.다니시던 병원에서 이미 치료중이시라면담당주치의님과 좀더 긴밀하게 의논하시는 것을 최우선으로 권하며만약 아직 치료받으시는 곳이 소아신경정신과가 아닌 곳이라면꼭 소아신경정신과로 내원하시길 권유드립니다.덧붙여 아이에게 혼내시는 것은말더듬이나 강박적인 행동을 부추기게 되는 것입니다.가능한 지적하지 마시고 전문적인 기관에서 상담 및 교육을 받으시길 다시 한번 권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52개월 여아행동을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말씀만 들었을 때 2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는데요.1. 2. 증상이 두가지의 구별은 직접 아이를 보지 않고 알기는 어렵습니다.1번 관심을 끌기위한 행동이라면 과 이 오히려 관심을 주는 보상작용이 되므로이러한 행동에 일체 무관심을 지키시고 적어도 일주일 정도 기다리면 서서히 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단, 조건은 이어야 합니다. 느낌적으로나마 부모님이 신경쓰고 계시다는 것을 알아채지 못해야 합니다.2번 틱 증상이라면, 아이가 불안해질때마다, 또 스스로 멈추고 싶어함에도불수의적으로 긴장상태에서 꽤 자주 일어나는 것이 특징입니다.1번이 친하거나 아는 사람과 있을때 빈번해진다면 2번의 틱은 오히려 낯선 환경에서 심해지는 것도 구별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만약 1번의 무관심으로 조절이 되지 않고 2번의 양상이 의심된다면 소아청소년과로 내원하시길 권유드립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4,5세 남아입니다 필수 영양제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 청소년과의사입니다.사실 소아과 의사를 하면서 제가 꼭 드리고 싶은 말씀은무엇을 하느냐보다 가 더 중요하다는 것입니다.영양제는 일종의 비상식량 같은 것입니다.즉, 식품으로 먹이는 것이 고급식당의 한정식이라면영양제로 먹이는 건 야간훈련을 받을때 먹는 비상식량 같은 거죠.즉, 식품으로 먹을때의 영양소 흡수량에 비해,영양제로 복용시 그 영양소의 흡수량은 상대적으로 떨어집니다.또, 반대로 과다 복용시 식품에 의한 영양소는 배설되지만영양제로 복용시엔 문제가 될 수도 있답니다.그렇다고 무조건 영양제가 나쁘다는 뜻은 아니며아이에게 가능한 식품으로 먹이시고, 편식이 심할 때는 꼭 필요한 영양제를 선별해서 드시는 것이 중요합니다.저는 기본적으로 비타민 D를 추천드리며(멀티비타민 복용중이시니 성분표에서 비타민 D가 하루 400-500 IU포함인지 확인 해 보시면 됩니다.)매해 빈혈 검사를 추천드립니다.빈혈 검사를 추천 드리는 건 실제 검사를 해보면 우리나라 아이들에서 빈혈이 압도적으로 많고심지어 비교적 체력이 좋아보이는 아이들에게서도 꽤 나타니기 때문입니다. (이 때 철분제 또한 빈혈이 없는 아이에게 먹이면 몸속에 쌓여 문제가 됩니다.)여기에 더하여 키가 크는 것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입니다.하루 12시간 정도 꼭 재우시길 추천드립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71727374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