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식탁앞에만 오면 눈을감아요. 반찬이맛이없는건 아닌데. .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식사 준비하다 보면 하루가 금방 가버리곤 하는데,여기다 밥 먹이기가 전쟁이 되면 정말 진이 빠지죠...일단, 조언을 드리기에 앞서아이마다 식욕과 취향이 제각각이라, 먹이기의 란 없다는 점을 감안해 주시기 바랍니다.이게 좋다더라, 저게 좋다더라 보다...최대한 아이의 취향에 맞추면서 가능한 건강한 밥상을 제공하는 것이가장 좋은 방법입니다.초등학교 전의 아이라면 보통 식사 중에도 집중에 어려움이 많습니다.또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이 많아서, 오히려 반찬이 많을수록 식욕을 잃거나골고루 먹는 일이 공부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저는 그래서, 이 나이의 경우 를 권유합니다.즉, 어머니가 주고 싶은 재료들과 아이가 좋아하는 재료를 섞어서스스로 손가락으로 집어먹게 하는 거죠.특히 이 나이의 아이의 경우 큰 건더기를 거부하는 아이도 많은데요재료를 가능한 잘 다져서 비빔밥이나 볶음밥처럼 만든 뒤 김에 싸주고 나 하는 방법도 있고동그랗게 말아서 살짝 튀겨주는 방법도 좋습니다.(어린아이에서 숟가락이나 포크 등을 사용하는데 거부감이 들 수도 있는데이런 경우에도 핑거푸드가 아주 효과적입니다.)핑거 푸드의 이점을 다시 요약하자면재료를 골고루 넣을 수 있고,너무 많은 반찬속에서 아이가 곤란함을 느끼지 않아도 되며,숟가락과 포크 사용에 거부감이 있는 경우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추가되는 조언 1.다급한 마음에 아이가 입을 벌렸을 때미리 음식을 넣어버리는 경우가 흔치 있지요...(네...저도 몇 번 그런 적이 있습니다..)그런데 이때 아이는 강요당한다는 생각에 음식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는 경우도 있습니다.음식을 삼키지 않고 입에 물고 있는 경우는 두려워서 받아 넣었을 뿐사실은 토하고 싶다는 마음이 반영된 것입니다.이런 경우 계속 먹이지 마시고 한두 시간 기다렸다 다시 한 번 더 식사를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추가되는 조언 2.밥상머리 예절을 중시하는 한국 사회에서아이에게 식사 시 혼나거나 예절을 강요하면 식사에 대한 심리적인 압박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식사 시 가능한 조용하고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 주시되아이가 돌아다니면서 먹거나 딴짓을 하더라도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 주세요.결국, 아이는 식탁과 어머니가 있는 곳으로 돌아오게 되어 있답니다 ^^.
Q. 애기가 여섯살인데 귀저기를 때지못하고있어요?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의사입니다.현재 만 4-5세가 지났음에도 야간 배뇨외에 주간 배뇨에서도 문제가 발생한다면다니시던 소아청소년과에 상담해 보시길 권유드립니다.아이의 발달 정도는 영유아 검진에서 확인하셨을 듯 하나이 또한 검사한지 오래됐다면 따로 검사를 받으시는 게 어떨까요전반적인 성장(키, 몸무게), 발달(언어, 인지, 행동, 근력)을 꼭 확인 해보시길권유드립니다.
Q. 5살아이 밥먹는 습관 뭄의해요.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식사 준비하다 보면 하루가 금방 가버리곤 하는데,여기다 밥 먹이기가 전쟁이 되면 정말 진이 빠지죠...일단, 조언을 드리기에 앞서아이마다 식욕과 취향이 제각각이라, 먹이기의 란 없다는 점을 감안해 주시기 바랍니다.이게 좋다더라, 저게 좋다더라 보다...최대한 아이의 취향에 맞추면서 가능한 건강한 밥상을 제공하는 것이가장 좋은 방법입니다.즉, 첫번째 권해드리는 방법으로밥을 싫어하고 반찬을 좋아하는 아이에게가능한 싱겁게 반찬을 해주시고, 밥이 아니면 곡물빵이라든가 고구마 감자등을 대신 사용해 보시면 어떨까요즉, 탄수화물 섭취 재료가 밥이 아니라도 건강에 아무 지장이 없습니다.두번째로 아이의 나이를 고려하여 선택을 단순화시켜보세요이렇게 편식을 하는 이유는 나이에 있는데요.4살 아이라면 보통 식사 중에도 집중에 어려움이 많습니다.또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이 많아서, 골고루 먹는 일이 공부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저는 그래서, 이 나이의 경우 를 권유합니다.즉, 어머니가 주고 싶은 재료들과 아이가 좋아하는 재료를 섞어서스스로 손가락으로 집어먹게 하는 거죠.재료를 잘 섞어 비빔밥이나 볶음밥처럼 만든 뒤 김에 싸주고 나 하는 방법도 있고동그랗게 말아서 살짝 튀겨주는 방법도 좋습니다.다양한 방법으로 식사시간이 부모님과 아이 모두에게 즐거운 한 때가 될 수 있도록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Q. 초2학년 남아 인데 학교에서 대변실수가 잦는이유?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과의사입니다.말씀하신 아이의 상태는 이라고 일걷는데,단순히 부끄러움이 많은 것으로 치부하기엔 좀더 심각하게 생각해야할 상태입니다.특히, 어린이집에서 부터 지속된 것으로 일회성이 아닌 장기간이라는 점에서결코 단순하게 보아서는 안됩니다.유분증 아동은 기본적으로 수줍음도 많은것은 물론이고 난처한 일이 일어날 수 있는 상황(특히, 어린이집, 학교)을 피하고자 하는 강한 불안심리에서 비롯될 때가 많습니다.물론 이런 심리는 아이들 대부분에게 있지만 그 불안감의 정도가 어마어마한 상태가 되어야 유분증이라는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소아신경정신과 선생님들께선 유분증이 일종의 정신적인 라고 말씀하시기도 합니다.이미 꽤 오래 진행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불안이 단순한 안정과 부모님의 관심으로만 치유되기엔 힘든 상태입니다.이미 아이는 또래들 놀림을 당하거나 실수 자체에 대해 부모에게 혼나는 것 때문에 위축되어있으며화장실에 가는 자체를 두려워하는 등의 심리적 후유증이 발생한 상태입니다.무엇보다 이미 낮아질대로 낮아진 자존심도 문제입니다. 즉시, 소아신경정신과로 방문하셔서 전문적인 치료 개입을 받으셔야합니다.치료로 기본적인 심리치료와 더불어 약물치료, 부모님 상담 모두를 함께 진행해야 합니다.꼭 부탁드리오니,절대 혼내거나 섣불리 아이의 마음에 접근하지 마시고한시바빠 소아신경정신과에서 체계적인 진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