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전기차 배터리 관련 원재료 수출입 시 무역 관리 포인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리튬, 코발트 등 배터리 원재료를 수입해 조립 후 수출할 경우, 무역 실무에서는 먼저 해당 물질이 환경 규제 대상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EU의 REACH, 미국의 TSCA 같은 화학물질 등록 및 제한 제도를 고려해, 수출 대상국의 규정을 사전에 파악하고 필요한 등록 또는 인증 절차를 준비해야 합니다. 원재료나 배터리 자체가 유해물질 또는 폐기물로 분류될 수 있으므로, 포장, 라벨링, MSDS(물질안전보건자료) 관리도 중요합니다. 아울러, 운송시 위험물에 분류되기에 이에 대하여도 미리 협의할 필요가 있습니다.감사합니다
Q. 해양자원을 활용한 제품의 무역 거래 시 규제상 유의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해양 생물 유래 원료 제품 수출 시 환경 규제는 통관과 인증에서 중요한 변수입니다. 먼저, CITES에 따라 해양 생물이 보호종인지 확인해야 하며, 해당 종이 포함된 경우 수출입 허가증이 필요합니다. 또한, 수입국의 생물안전성 규제(예: EU의 REACH, 미국의 TSCA)를 준수하려면 원료의 환경 영향 평가 자료와 원산지 증명을 제출해야 하고, 통관 시 세관이 이를 검증하므로 서류 누락이나 오류는 지연이나 반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아울러, 국제 협약 측면에서는 생물다양성협약(CBD)과 나고야 의정서를 주의해야 합니다; 해양 자원을 채취한 국가에 이익 공유 의무가 있을 수 있어, 자원 출처와 계약 조건을 명확히 문서화해야 합니다.감사합니다
Q. 국제 물류사고 발생 시 무역 분쟁 대응은 어떤 절차로 진행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항공운송 중 제품 파손으로 바이어로부터 클레임을 받았을 경우, 먼저 운송계약서와 보험 약관을 확인해 책임 소재를 파악하여야 됩니다. 그리고 운송사(항공사)에 사고 보고서와 손상 사진 등 증빙을 제출해 손해배상 청구를 시작하며, 국제 규정(몬트리올 협약)에 따라 운송사의 배상 한도(kg당 약 22 SDR)를 기준으로 협상할 수 있습니다.보험사가 있다면 보험 청구를 병행하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분쟁이 지속되면 바이어와 협상하거나 중재(예: ICC 중재)를 통해 해결하며, 신속한 대응과 문서 보존이 중요합니다.감사합니다
Q. 무역에 대한 정부 보조금 정책을 활용할 때 유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수출 확대를 위한 정부 보조금 신청 시 자격 요건(중소기업, 특정 산업, 수출 실적), 사용 목적 제한(수출 관련 비용), WTO 규정 준수를 확인해야 하며, 정기 보고(지출 내역, 성과), 증빙 자료(송장, 계약서), 사후 감사에 대비한 투명한 기록 관리가 필요합니다; 공고와 법령 확인 후 전문가 협력을 받으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그래도 활용이 가능하다면 정부 지원을 적극 활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