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최진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전문가입니다.

최진솔 전문가
한양대학교
무역
무역 이미지
Q.  인천에서 바레인으로 일반 항공 운송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바레인이라고 하더라도 무역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는 동일합니다. 먼저, 인천공항(ICN)을 통해 수출 신고를 위해 관세청 UNI-PASS에 항공운송장(AWB), 상업송장(Invoice), 포장명세서(Packing List)를 제출합니다. 화물은 약 1~2일 내 바레인 국제공항(BAH)에 도착하며, 바레인 세관에서 수입 통관(관세 및 VAT 10%)을 진행하시면 됩니다.주의점으로는 바레인이 이슬람 문화권이라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바레인의 규제와 현지 상황을 유의해야 합니다. 이슬람 문화권이라 특정 품목(주류, 돼지고기 등)이 금지되며, 세관 서류 오류 시 지연될 수 있으니 사전 검토가 필수입니다.감사합니다
관세사 자격증
관세사 자격증 이미지
Q.  중국에서 부스바 플레이트 수입 시 통관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중국에서 한국으로 부스바 플레이트를 수입하려면 먼저 상업송장(Invoice), 포장명세서(Packing List), 선하증권(B/L)을 준비해 한국 관세청 UNI-PASS 시스템에 수입 신고를 합니다. 부스바 플레이트는 HS 코드 8536.90(전기 회로용 접속 장치)로 분류되며, 관세율은 약 8%, 부가세 10%가 부과됩니다. 중국 세관에서는 수출 신고와 함께 CCC(중국 강제 인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니, 인증서가 필요할 경우 사전에 준비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중국의 수출 규제와 한국의 수입 요건을 철저히 확인해야 합니다. 부스바 플레이트가 전기 안전 기준(KC 인증)을 충족해야 하며, 인증 미비 시 통관 지연이나 반송될 수 있습니다. 또한, 서류상의 물품 설명과 실제 화물이 일치하지 않으면 세관에서 추가 조사를 받을 수 있으니 정확한 품목 분류와 가치 신고가 중요합니다. 아울러, 보험을 반드시 가입하시고 중국으로의 서류는 최대한 빠르게 송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감사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서울에서 두바이까지 컨테이너 배송 시 비용과 절차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서울에서 두바이까지 컨테이너 화물 배송을 위해서는 무역 절차가 필요합니다. 먼저, 인천항(KRINC)에서 수출 신고를 하고, 상업송장(Invoice), 포장명세서(Packing List), 선하증권(B/L)을 준비해 관세청 UNI-PASS에 제출합니다. 화물은 보통 약 22~25일 후 제벨 알리 항구(AEJEA)에 도착하며, UAE 세관에서 수입 통관(관세 및 부가세 납부)을 거쳐야 합니다. FTA(한-UAE CEPA)를 활용하면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물품에 대하여 관세혜택 유무, 원산지판정을 확인한 뒤 이를 통하여 원산지 증명서를 준비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예상 비용은 40피트 컨테이너 기준 약 $2,600~$3,300이며, 운송비, 보험료, 통관비(약 50만~100만 원)까지 고려하셔야될 듯 합니다.감사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중고차를 러시아로 배송하려면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중고차를 러시아로 수출하려면 먼저 무역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한국 관세청의 UNI-PASS 시스템을 통해 수출 신고를 하고, 러시아 연방관세청(FCS) 규정에 맞춰 수입 절차를 준비해야 합니다. 수출자는 러시아의 OTTC(차량 형식 승인) 또는 SBKTS(안전 인증서) 요건을 확인하고, 차량이 현지 배출가스 및 기술 기준을 충족하는지 검토해야 합니다. 통관은 보통 블라디보스토크 같은 주요 항구에서 이루어지며, 수입자는 세관에 신고 후 관세와 부가세를 납부합니다.필요한 서류로는 수출신고서, 상업송장(Invoice), 포장명세서(Packing List), 선하증권(B/L), 차량 등록증(원본 또는 인증 사본), 그리고 러시아 측에서 요구하는 ERA-GLONASS(긴급 호출 시스템) 설치 증명서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무역
무역 이미지
Q.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부과에 나섰다는데 농산물 수입에도 개선 요구를 강화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트럼프 행정부가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가전, 항공기 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30개월 이상된 미국산 소고기 수입을 불공정 관행으로 지목하며 개선을 요구한 것은 보호무역주의의 연장선입니다. 이는 미국 내 산업 보호와 무역 적자 감소를 목표로 하며, 특히 한국처럼 대미 흑자가 큰 국가를 압박하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농축산물에서도 비슷한 요구가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앞으로 농축산물 전반에 대한 개선 요구가 강화될 가능성은 충분합니다. 트럼프는 이미 2025년 3월 X 게시물에서 농산물 검역제도와 수입 제한을 문제 삼았고, 이는 단순히 소고기에 국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쌀, 과일, 축산물 등 한국의 보호된 농업 분야가 추가 타겟이 될 수 있으며, 이는 미국 농업계의 수출 확대 요구와 맞물려 있습니다.다만, 한국 정부와 기업의 대응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부는 한미 FTA를 활용해 협상력을 높이고, 농축산물 수입 조건을 조정하며 관세 충격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기업은 대체 시장 개척과 품질 경쟁력 강화를 통해 농축산물 무역 갈등의 영향을 최소화해야 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4064074084094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