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비교우위와 절대우위론의 차이점을 설명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이에 대하여는 아래와 같이 한국은행에서 설명한 자료가 있어 첨부드립니다. 아울러 실제 예시로는 완벽하지는 않지만 동남아의 농산물, 대한민국의 의류를 생각하시면 예시가 될 듯 합니다이를 분명하게 이해하기 위해 절대우위와 비교우위의 의미를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어떤 재화를 같은 양만큼 생산하는데 갑이라는 사람이 들이는 생산요소의 양이 을이 투입하는 생산요소의 양보다 적은 경우 을에 비해 갑이 그 재화를 만드는데 있어 절대우위를 갖는다고 합니다. 다시 말해 동일한 생산요소를 들여 갑이 을보다 어느 재화를 더 많이 생산하는 경우 갑은 절대우위를 지니고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어느 기업의 경영자와 비서의 관계를 놓고 생각해 봅시다. 이 경영자는 비서보다 경영능력이 훨씬 뛰어날 뿐만 아니라 타자도 더 빨리 칠 수 있다고 가정합시다. 이 경우 경영자는 비서보다 경영능력도 더 낫고 타자도 더 빨리 칠 수 있으므로 두 가지 일에 대해 모두 절대우위를 갖고 있습니다. 국가 간의 경우에도 절대우위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 비해 동일한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는 데 있어 더 적은 생산요소를 들여 생산할 수 있다면 절대우위가 존재하게 됩니다.이제 앞선 사례의 경영자와 비서의 관계를 통해 국가 간에 절대우위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국가 간에 거래를 하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아마도 경영자는 모든 일을 비서보다 잘 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비서를 고용하여 타자를 치는 일을 비서에게 맡길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 경영자가 타자를 치는 시간에 기업을 열심히 경영하면 훨씬 더 큰 이득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동일한 이유로 나라 간에 무역이 발생하게 됩니다. 즉, 어떤 나라가 다른 나라보다 모든 재화를 더 싸게 만들 수 있다고 하더라도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싸게 만들 수 있는 재화를 생산해서 이를 외국에 팔아 번 돈으로 필요한 다른 재화를 사오는 것이 더 이익입니다. 이처럼 한 나라가 다른 나라에 비해 어느 재화를 생산하는데 있어 상대적으로 더욱 효율적인 경우, 이 나라가 비교우위를 지닌다고 합니다. 비교우위가 있는 재화에 각 나라가 전문화해서 생산을 특화하고 이를 나라간의 무역을 통해 교환한다면 각국은 자기 나라의 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또한, 세계 전체로는 국제 분업의 이익이 극대화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