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평행우주 가설이라는게 정확히 무엇을 말하는건가요
평행우주 가설이란 우리 우주와는 다른 물리적 조건, 사건의 흐름, 혹은 다른차원을 가진 다른 우주들이 존재할 수 있따고 보는 가설로 다른 우주들은 우리 우주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어 직접 관측하거나 왕래할 수 없는 독립적인 체계로서 다중우주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다중우주는 크게 4단계로 구별이 되며 Level1은 무한 우주 내의 다른 지역으로 우주가 무한히 크다면 우리가 사는 이 지구와 거의 똑같은 지구가 어딘가 멀리 있을수도 있겠다 라는 생각을 하게됩니다. Level 2는 물리 법칙이 다른 우주로 인플레이션 우주론에서 유래하였고 우리 우주가 우주 팽창의 거품 중 하나이며 다른 거품들에선 다른 차원의 수, 입자 질량, 힘의 세기등이 다르게 존재한다고 본것이죠 Level3는 양자 다중우주로 양자역하의 다세계 해석에 기반하여 모든 가능한 결과가 실제로 갈라져서 각각의 우주에서 일어난다는 개념입니다. 마지막으로 Level4 는 수학적 다중우주로 수학적으로 간으한 모든 구조가 실제로 존재하는 실재라는 급진적인 가설로서 수학적 구조인 현실자체가 가능한 모든 우주가 된다고 보는 것이빈다. 대부분은 이론적으로는 일관성 있지만 대부분 관측 불가능하거나 검증하기 어려우며 양자역학이나 우주론, 끈이론, 인플레이션 이론 등과 연결하여 이론 물리학에서 논의할 가치가 높은 철학적 확장 주제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Q. 화산으로 이루어져 있는곳은 화석이 없을까요?
화산 활동의 종류, 지질 형성 시기, 퇴적 환경의 유무에 따라 화석의 유무와 양상이 크게 달라지게 되지만 화산 지형에도 화석은 존재할 수 있게 됩니다.화산재 퇴적층이 생물체를 순식간에 덮게 되면서 훌륭한 보존환경을 가지게 해주고 화산 주변에 형성된 호수, 습지, 늪지대에서 퇴적층이 발달 할 수 있게 되고 그 안에 화석이 남아 오래된 화산 지형일수록 다양한 퇴적암과 혼합된 지층이 존재하여 화석이 존재할 확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제주도는 약 180만년 전부터 활동한 현무암질 화산섬이기에 용암류로 덮인 지역이 많아 화석이 보존되기에 불리한 환경이였습니다. 제주도의 일부 지층은 퇴적층으로 되어있기에 예외적인 경우로 화석이 보고되기도 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