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관상동맥이란 어디에 있는 동맥이고 어떤 역할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관상동맥은 심장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혈액이 흐르는 동맥입니다. 관상동맥은 심장의 표면을 감싸고 있고, 심장의 근육세포들이 계속해서 기능할 수 있도록 혈액을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있습니다.관상동맥의 관은 갓관이라는 한자로 왕관에서 사용하는 관과 같은 글자입니다.관생동맥은 심장을 감싸는 형태로 분포하는데 이것이 관모양이라 관상동맥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영어로 Coronary artery로 의미가 동일합니다. 관상동맥은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상이 생기면 심장에 여러 문제가 생깁니다.가장 흔한 관상동맥관련 질환은 동맥경화입니다. 관상동맥도 다른 동맥과 같이 내부에 지방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힐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혈류가 감소해 심장 근육에 산소와 영양분 공급이 부족해지게 하며 이것이 심장 조직의 괴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최종적으로 심장마비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효모는 곰팡이랑 어떻게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효모는 곰팡이와 함께 진균류 라는 분류에 속하는 생물입니다. 그만큼 둘은 생물학적으로 가깝다고 할 수 있는데요.곰팡이의 경우 균사를 만들고 포자를 이용해 번식하지만 효모는 균사를 만들지 않고 단세포 생물이며 출아법으로 번식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흙속의 양분은 무엇을 먹고 사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흙속의 양분은 지구의 암석에서 기원한 다양한 무기물질과 동식물로 부터 발생한 유기물들에서 기원한 물질들로 구성됩니다.특히 생물에서 기원한 다양한 유기양분들은 식물의 광합성, 질소고정세균들의 활동, 동물들의 섭식활동과 일생, 분해자에 속하는 생물들 등의 생태계 순환으로 발생합니다.흙속의 양분은에너지의 기원은 태양에서 온 에너지이며지구와 지구에 사는 다양한 생물들의 생태계가 순환하며 만들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쥬라기월드에 나왔던 인도미너스라는 공룡은실존한 공룡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영화 쥬라기 월드에 나왔던 인도미누스 렉스 라는 공룡은 영화 속 스토리를 위해 창작된 공룡으로 실존한 공룡은 아닙니다. 영화상에서의 설정으로 더 멋있는 공룡을 만들기 위해 인젠이라는 회사에서 다양한 공룡들의 유전자를 조합해 만들어낸 공룡으로 묘사됩니다. (이후 병기로 사용할 목적이 있었다는 것이 밝혀집니다.)어떤 유전자들을 섞은 것인지 정확하게 언급되지는 않지만 티라노사우르스, 랩터와 같은 공룡들의 유전자 뿐 아니라 개구리나 갑오징어 같은 현대 동물들의 유전자도 섞인 것으로 묘사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감자는 싹이 나면 먹으면 안된다고 하는데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감자는 싹이 날 경우 해당 부분에 솔라닌 이라는 독성 물질을 생성합니다. 이는 감자의 싹들을 보호하기 위해 감자가 생성하는 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솔라닌은 식물이 생성하는 일종의 알칼로이드 독소로 구토, 복통, 설사, 두통 등의 증상을 일으키고 과하게 섭취하면 마비나 호흡관란을 일으킵니다. 또한 열에 의해서 잘 파괴되지 않아서 삶거나 튀겨도 잘 사라지지 않습니다. 싹이난 부분 뿐 아니라 녹색으로 변한 부분에도 솔라닌이 존재합니다. 감자를 햇빛이 닿는 곳에서 보관하면 녹색으로 쉽게 변하여 솔라닌을 생성하기에 주의해아 합니다. 싹이 작게 소량 났을 경우 싹과 주변부를 충분히 제거하고 먹는 것은 가능합니다.하지만 싹이 이미 깊고 크게 자랐거나 감자 표면의 녹색이 넓고 진하다면 감자를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혹은 여건이 된다면 싹이 난 부분을 포함하여 썬 후 흙에 심에서 감자를 기르는 데 사용하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B형 부부 사이에서 O형 아기가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B형의 경우 ABO식 혈액형의 대립유전자 조합이 BB 이거나 BO 일 경우입니다. 아버지와 어머니 둘 다 BO의 유전자형을 가진 B형이라면 둘 사이에서25%확률로 BB/ 50%확률로 BO/ 25% 확률로 OO 조합의 자녀가 태어날 수 있습니다. BB와 BO는 B형이고, OO의 경우 O형인 표현형을 가집니다. 그래서 아버지와 어머니가 둘 다 B형이라도 두 분 다 유전자형이 BO라면 자녀에게서 O 형이 태어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말씀하신 것 처럼 1/4확률로 O형의 자녀가 태어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이 벌레는 무슨 벌레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녹색의 몸과 한 개의 주황색 뿔 등으로 볼 때 박각시나방(박각시)종의 애벌레로 추측됩니다. 나비목 박각시과에 속하는 곤충인데 4~10cm정도의 크기로 꽤 큰 몸집을 가집니다. 야행성인 종이 많지만 주행성인 종도 있고 꽃의 꿀을 빨아먹기 때문에 낮의 꽃밭에서 자주 목격됩니다. 색상도 꽤 예쁜 종들이 있어서 한국에서 종종 벌새로 오인되기도 하는 곤충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순간적으로 글자가 보이지 않는 원리는 무엇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우리는 눈의 동공을 통해 들어온 빛이 망막에 위치한 시세포에 닿아 시세포를 자극하고 이로 인해 발생한 신호를 뇌로 전달하면서 볼 수 있습니다.그런데 망막에는 시세포가 분포하지 않은 맹점이라는 공간이 존재합니다. 이곳에는 빛이 닿아도 빛을 인지하는 세포가 위치하지 않아서 우리가 빛을 인지할 수 없습니다. 맹점이 존재하는 이유는 눈의 구조적인 문제에서 비롯됩니다. 우리 망막의 시세포는 자극을 받는 광수용체가 뒷편에,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부분이 앞편에 위치합니다.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우리는 여러대의 모니터를 배치할 때 모니터는 앞쪽으로 전선은 뒤로 빼어 콘센트에 연결합니다.하지만 우리 눈의 망막은 시세포 배치가 그 반대인 것 입니다. 전선들이 앞쪽으로 오도록 되어있어서 이 전선들을 뒤의 콘센트로 연결하기 위해 뒤쪽으로 전선을 넣을 수 있는 구멍이 필요합니다. 그 구멍으로 전선을 모아서 넣고 콘센트에 연결합니다. 그 구멍만큼은 물리적으로 모니터를 배치할 수 없습니다.우리의 눈이 이런 상태입니다. 광수용체가 빛에 의한 자극을 받으면 그 자극이 신경세포를 타고 뇌로 흐르게 됩니다.이 회로가 그대로 뒤로 빠져서 뇌까지 연결되어있다면 매우 효율적일 것인데 앞을 향해 나와 있어서 이들을 한데 모아 뒤로 보낼 구멍이 필요합니다. 이곳에는 광수용체를 배치할 수 없어서 결국 빛을 인지하지 못합니다.(우리 몸의 비효율적인 구조 중 대표적인 예 입니다.)우리는 평소 두 눈을 모두 사용합니다. 각 눈의 맹점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두 눈을 동시에 사용하여 한 쪽 눈에서 맹점에 의해 발생한 결핍된 부분을 다른 눈이 본 것으로 보완합니다. 뇌가 맹점에 의해 보이지 않는 부분을 다른 정보로 자동 보정하는 것 입니다. 하지만 한쪽 눈만 뜬 경우 맹점으로 결핍된 정보를 보완할 수 없습니다. 작성자님이 하신 실험에서 O나 X가 보이지 않게되는 거리에서각 기호의 상이 뜨고 있는 눈의 맹점에 맺혀있는 상태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라면을 짜게먹지말라는 말에대한 의문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라면을 싱겁게 끓이는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 째는 물의 양을 동일하게 하고 스프의 양을 줄이는 것 입니다.둘 째는 스프는 동일해도 물을 많이 넣고 끓이는 것 입니다. 라면을 국물까지 전부 먹었을 때 스프를 줄인 첫 째의 경우 섭취하는 나트륨 양이 더 적지만스프를 동일하게 넣은 둘 째의 경우 국물까지 다 마셨을 때 말씀하신 것처럼 염분을 섭취한 총량은 동일합니다. 다만 싱겁게 끓인 라면의 경우 물도 더 많이 마시는 것이기 때문에 체액의 나트륨 농도를 조절 할 때 조금은 더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먹는데에 시간이 더 걸릴 것 이므로 물을 많이 넣고 끓인 경우는 체내 나트륨 농도를 급격하게 변화시키지는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하지만 저도 말씀하신 것처럼 짜게 끓여도 국물을 많이 남기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우선 라면도 맛있게 먹는 것이 좋고, 싱겁게 끓인 라면도 결국 국물을 다 마시면 나트륨을 과다 섭취하는 것 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보아 몸에 좋다고 생각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라플네시아는 고기 썩는냄새가 난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라플레시아 꽃에서 썩은 고기냄새가 나는 이유는 라플레시아가 수분하기 위해 주로 이용하는 곤충들이 다른 꽃들과 다르기 때문입니다.다른 많은 꽃들이 벌이나 나비 같은 꿀을 모으러 오는 곤충을 수분에 이용합니다.그래서 꿀과 화려한 색상 향기 등을 생성합니다.하지만 라플레시아 꽃은 파리와 같은 곤충을 수분에 이용합니다.그렇기에 꿀이나 화려한 색상이 필요 없고 이 곤충들이 좋아하는 썩은 고기 냄새를 생성하여 유혹합니다.
16171819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