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머리카락, 손톱, 발톱은 잘라도 왜 안아픈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손톱, 발톱, 머리카락은 살아있는 세포로 이루어진 구조가아니고 케라틴이라는 단백질이 주 성분으로 된 일종의 각질 조직(죽은 세포)입니다.손톱과 발톱이 생성되어 자라는 부분에는 혈관과 신경이 분포하고 있지만 손톱과 발톱이 자라서 바깥으로 나온 부분은 혈관, 신경이 분포하지 않고 죽은 세포들이므로 잘라도 통증이 없습니다.머리카락도 동일한 이유이며 머리카락의 뿌리인 모근에는 혈관과 신경이 분포하지만 자라나온 부분은 역시 죽은 세포들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손톱, 발톱, 머리카락은 위에 나온 부분을 잘라도 통증이나 출혈이 없지만, 이들이 자라나는 연결부에 가해지는 손상은 통증과 출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머리카락을 자를 때는 별다른 느낌이 없지만 모근 째 뽑는다면 종종 통증이 있는 것이 이런 이유에서 발생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유전자검사시 부모와 자식은 99ㆍ9퍼센트 나오는데 형제간은 몇프로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유전자 검사에서 부모와 자식일 확률이 99.99---%라는 것은 STR이라는 특정 서열을 비교했을 때 동일한지를 확인하고 친자일 확률이 99.99---%라는 의미로 친자확률 99.99--%와 유전자가 동일한지는 조금 분리해서 생각해야 합니다.모든 유전자를 비교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목적에 따라서 다른 유전자들을 비교합니다.친자확인검사는 부,모,자 간의 관계를 검사하며 특정 STR 서열들을 비교합니다.남성의 부계획인 검사는 형제, 친할아버지, 손자, 삼촌, 조카 등을 비교할 수 있는데 이들은 Y염색체에 위치한 STR을 비교합니다.부계는 모두 동일한 Y염색체를 물려받기 때문입니다. 남성의 성 염색체는 XY조합이고 Y염색체는 할아버지로 부터 아버지, 삼촌, 남성인자녀, 남성인사촌 등에게 동일한 것이 이어지기 때문입니다.여성의 부계확인 검사는 친할머니, 손녀, 이복자매 등에 대해 검사합니다. 이 경우 X염색체의 STR을 검사합니다.모계의 경우 여성이 X염색체가 두개이기 때문에 이것으로 모계인지 여부를 알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모계의 경우 미토콘드리아의 유전자를 검사합니다. 미토콘드리아는 다음 세대에 여성의 것만이 전달되기 때문입니다.모든 유전자에 관하여 일치율을 말한다면(돌연변이나 교차 등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부모와 자식간의 유전자는 아버지와 어머니에게서 반씩의 유전자를 물려받으므로 각 부모와 약 50%의 일치율을 보입니다.형제 혹은 자매의 전체 유전자 일치율은 0%~100%범위에서 나올 수 있고 평균적으로는 약 50%입니다.(나와 유전적으로 0%일치하는 남매가 매우 낮은 확률이지만 존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형제의 경우 Y염색체가 동일하므로 0%일치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자매의 경우도 한개의 X염색체는 아버지로 받은 것을 공유하므로 0%보다는 큰 일치율을 보입니다.)만약 일란성 쌍둥이라면 약 100%로 동일할 것입니다.일치율을 아버지와 어머니로 부터 물려받는 각 23개의 염색체의 구성에 의해 달라집니다.23쌍의 염색체 중 생식 세포에 들어갈 염색체는 각 쌍의 두 염색체 중 무작위로 결정됩니다.이런 이유로 일란성 쌍둥이가 아닌 형제가 염색체가 100% 일치할 확률은 1/(2^23x2^23)로 매우 낮습니다.조부모와 손자간에는 유전적으로 평균 25%가 닮게되며 사촌은 평균 12.5%를 닮게됩니다.(고모-조카, 이모-조카, 삼촌-조카 도 평균 25%)하지만 역시 평균이며, 조부모와 손자는 12~34% 일치할 수 있고 사촌은 3~20% 일치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수정이 끝난 꽃은 어떻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식물의 꽃은 일반적으로 꽃잎, 암술, 수술, 씨방, 밑씨, 꽃받침, 꽃받기 등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종에 따라 해당 구조가 몇가지가 빠져있기도 합니다. 꽃이 수정되면 해당 자리에 꽃은 더이상 보이지 않고 열매나 씨가 생기게 되는데요.이 열매가 꽃의 여러 구조가 변하여 만들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꽃을 이루는 여러 구조 중 어떤 부분이 변하여 열매가 되는가에 따라 열매를 구별하기도 합니다. 밑씨의 경우 수정되어 열매에서 씨로 자리잡게 됩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먹는 열매 부분의 기원은 식물마다 차이가 납니다.씨방부분이 자라서 열매가 되면 참열매라고 하며 감, 복숭아 등이 속합니다.꽃받기가 변하여 열매가 되면 헛열매라고 하며 사과나 딸기가 속합니다.꽃받침이 변하여 열매가 되기도 하며 석류가 대표적입니다.하나의 꽃대에 많은 꽃이 붙어있는 경우 꽃대가 변해 열매가 되기도 합니다. 파인애플과 무화과 등이 속합니다. 결국 꽃이 수정하는 역할을 다 한 후에는 씨앗을 보호하고 퍼뜨리기 위한 역할을 하는 열매로 변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바이러스와 세균은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바이러스와 세균(박테리아)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느낌을 주는 단어입니다.하지만 이 둘은 매우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세균은 생물 분류에서 세균역에 해당하는 생물들입니다.이들은 단세포로 이루어진 생물이고 세포 내부에 핵막으로 이루어진 핵을 비롯한 세포 소기관이 없습니다.세균은 병을 일으키는 것만 존재한다고 느낄 수 있지만 실제로는 매우 다양한 종이 있고 많은 세균들은 우리몸에서 공생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장내에 있는 유산균이나 대장균 등도 대표적인 예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생태계에서 분해자의 역할을 하면서 물질 순환에 필수적인 생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유전물질을 가지고, 자기 자신을 복제하며, 자연선택에 의해 진화하기 때문에 생명체로 간주하기도 하지만엄밀히 본다면 생명체가 가지는 주요 요소가 부족합니다.세포로 이루어진 몸을 가지지 않고, 스스로는 자신을 복제할 수 없고, 다른 세포에 기생하여야만 복제할 수 있다는 점들이 생명체로 보기에 부족한 요소입니다.바이러스는 단백질과 지질 등으로 이루어진 외피와 껍질 내에 약간의 효소와 유전물질을 가진 구조를 하고 있으며이는 세포 구조에 비해 매우 단순한 구조입니다.이들은 혼자 힘으로 자신을 복제하기에는 가진 것이 너무 부족하기 때문에 다른 세포에 침입하여 세포의 자원을 이용하여 자신을 복제하며 증식합니다. 이런 특징들 때문에 바이러스는 생명체에 대한 생물 분류와는 별개로 분류하고 있습니다.바이러스 역시 우리에게 병을 유발하는 다양한 종류가 있어 해롭다는 인식만을 가지기도 합니다.하지만 바이러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박테리오 파지는 세균에 감염하여 세균을 파괴하기 때문에 세균의 수를 조절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들녁에 해바라기처럼 키가 크고 꽃도 해바라기 비슷합니다. 무슨 꽃인가 지나가는 사람에게 물어보니 돼지감자라고 하더라고요. 몸에 좋은 것이라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돼지감자는 뚱딴지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며 실제로 해바라기와 유연관계가 가깝습니다.줄기가 최대 3m까지 자랄 수 있고 노란색의 꽃이 핍니다. 덩이줄기는 먹거나 술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며 꽃으로 차를 내려 마시기도 합니다. 돼지감자는 이눌린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일종의 과당 중합체로 배변기능을 촉진하고 혈당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물의 분류에서 강당동물에 속하는 동 문에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강장동물은 무척추동물에 속하는 동물군으로 히드라, 해피리, 산호, 말미잘 등이 속하는 동물군입니다.이들은 강장이라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강장동물이라고 하는데요.이들은 해면동물에 비해서는 기관이 분화된 생물이지만 소화기관에서 항문이 따로 발달하지 않았습니다.그래서 고등동물이 입과 항문을 가지는 반면 강장동물들은 입만이 존재하여 먹이를 섭취하고 배설합니다.이들은 결국 체내에 한쪽만이 뚫린 주머니 같은 형태의 소화기관을 가지는데 이를 강장이라고 합니다.결국 입을 통해 먹이를 섭취하고 강장에서 소화시킨 후 다시 입을 통해 배설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도시에 사는 비둘기가 살이 포동포동하게 찔 수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비둘기는 잡식성 동물로 곡식이나 야채 과일 등을 주식으로 하지만 작은 벌레 등도 먹을 수 있는 잡식성 동물입니다.도심에 사는 비둘기는 사람이 버린 빵이나 과자 그리고 기타 음식물을 먹을 수 있고 또 토사물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 비둘기에게 먹이를 주는 행위가 금지되기 전까지는 먹이를 주는 사람들도 많았습니다.또한 도심은 비둘기에게 비교적 먹을 것이 많은 지역인데도 불구하고 오히려 위협요소는 적다 보니 칼로리를 많이 소모하는 날아가는 행위도 잘 하지 않게되어 쉽게 살이 찔 수 있는 환경입니다. 이런 요소들이 비둘기들에게 소모하는 칼로리보다 많은 칼로리를 섭취하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비타민C 과다복용 시 생길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비타민 C는 수용성 비타민으로 일반적으로 과다복용 하더라도 필요한 양만 소모되고 나머지는 소변으로 배출됩니다.하지만 정말 많은 양을 과다복용 하였거나 몸에 다른 문제가 있을 때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일반적으로 복통과 속쓰림이 나타나고 설사가 유발될 수 있습니다.혹은 체내에서 옥살산 칼슘을 형성하여 신장결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신장질환이 있는 사람은 비타민 C를 과다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합니다.비타민C는 비교적 독성이 낮지만 과다 복용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권장 섭취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벌레 이름과 퇴치 방법 알려주세요ㅠㅠ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크기와 모양이 정확히 유추되지 않아 하나로 특정하기는 힘들지만 우선 바퀴벌레는 맞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베란다에서 발견되었고 크기가 어느정도 크다면 일본바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본바퀴는 주로 실외에 서식하는 종인데 종종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가 있어 주로 베란다나 창틀 근처에서 발견됩니다.다만 실내도 환경이 맞으면 서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바퀴벌레는 군집생활을 하기 때문에 숨어있는 장소 근처에 배설물도 밀집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실내의 싱크대나 배수구 및 여러 틈에서 바퀴 사체나 배설물 등이 발견되는지 살펴보고 필요하다면 적절한 방제작업이 필요합니다. 아기가 있는 집이라면 바퀴벌레 방제를 위한 트랩이나 약을 구입할 때 약사와 상의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은행 나무는 암수 구별을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은행나무는 암나무와 수나무가 나누어져 있는 자웅이주의 나무가 맞습니다.은행나무는 풍매화로 수나무의 꽃가루가 암나무의 꽃에 닿아 수정이 됩니다.일반적으로 열매가 열리는 시기에는 열매가 열리는 것은 암나무 열리지 않는 것은 수나무라고 구별할 수 있지만 그외의 기간에는 암수를 구별하는 것은 조금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은행나무의 가지가 넓게 퍼지지 않고 나무 전체의 모양이 위로 뾰족하게 솟아있으면 수나무, 나뭇가지가 가로로 넓게 퍼져있으면 암나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풍매화의 특성상 수나무는 꽃가루가 멀리 퍼질 수 있도록 높게 자라는 것이, 암나무는 꽃가루를 잘 받을 수 있도록 넓게 자라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는 어느정도 자란 나무에서 가능한 방법이기에 어린 은행나무는 구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가장 정확한 방법은 나무의 유전자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실제로 은행생산, 가로수 등 용도에 맞는 성별의 은행나무를 선별하기 위해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는 유전자를 비교하여 구별합니다.
16171819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