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공 지능이 의료 분야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나요?
인공지능과 의료 분야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질병진단과 예측 등에서 많은 활약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의료 AI는 현재 개발과 테스트를 진행중이며, 연구 단계에서 AI가 희소암환자의 치료 결정을 내리고 인간의사가 검증, 그리고 인간 의사가 치교 결정을 내려 치료한 결과를 AI의 예후가 더 좋게 나온 경우가 있습니다. 희소암의 경우 AI가 더 많은 데이터를 분석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됩니다.의료에서 AI는 주로 진단과 처방에 역할을 하는 방향으로 연구되고 사용되고 있습니다.현재는 IBM이 개발한 왓슨이 의료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환자의 증상을 입력하면 수십년간의 임상자료와 전문자료를 검색하여 적합한 치료법을 제시합니다. 하지만 현재 상용화는 제한적이고 매우 느리게 진행 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이 빅데이터를 통해 환자들의 질병과 이에 따른 처방을 할 수는 있지만, 단순히 진단과 처방의 기능만으로는 환자를 설득 할 수 없고, AI의 치료 방식으로 치료했을 때 환자의 예후가 좋지 않다면 책임을 물을 대상에 대한 법도 없기 때문입니다.또 이런 AI 개발에는 필수적으로 의료 전문가가 참여해야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머리카락은 길이가 끝도 없이 자라나나요??
머리카락은 유지만 할 수 있다면 계속 자랄 수 있습니다.하지만 대부분의 머리카락은 3~5년 정도 자라며 이후에는 빠지고 같은 자리에서 새 머리카락이 자랍니다. 머리카락이 자라는 속도는 보통 하루에 0.3~0.5밀리미터 정도로 한달에 10~15cm정도 자랍니다.머리카락을 잘 유지하여 5미터 이상 기른 사람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긴 머리카락은 관리하기 힘들고 끊어지기 쉬워 계속 기르려면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복어가 맹독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복어는 테트로도톡신이라는 독을 가집니다. 이 독은 맹독이며 아주 적응 양으로도 사람이 죽을 수 있습니다.복어의 난소와 알에 많은 독이 있으며, 내장에도 독이 포합되어 있습니다.이는 포식자가 독어의 알을 먹지 못하게 하여 많은 자손을 퍼뜨리게 하는 기능을 합니다. 복어의 독은 복어가 섭취하는 음식에의해 합성되고, 이를 몸에 축적합니다.이는 양식복어에는 해당 독이 없다는 점을 통해 알려졌습니다.만들어진 사료만을 섭식해서는 독을 합성 할 수 없다는 것이 알려졌습니다.양식복어가 이탈하여 다른 해저 생물을 먹기 시작하면 독을 합성할 수 있습니다.혹은 양식 복어에게 야생 복어와 같은 먹이를 공급히면 독을 합성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새로운 정보를 들은 후 내 것으로 정리 한 이후에 또 다른 새로운 정보를 얻는 것과 정리없이 무작정 듣는 것과 차이가 있을까요
새로운 정보를 내 것으로 만들려면 장기기억으로 저장되어야 합니다.기억은 휘발되어 사라지는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오래 기억하기 위해서는 들어온 감각기억을 최종적으로 장기기억으로 저장해야합니다. 장기기억도 시간이 지나면 휘발되므로 유지하려면 반복적으로 해당 정보를 들어야 합니다.단기기억은 뉴런사이에 새로운 회로를 만들지 않지만 장기기억은 새로운 회로를 만들어 저장합니다.기억은 단순히 듣고 머리속에서 생각하는 방식으로는 오래 유지하기 힘듭니다. 특정 정보가 들어온 후, 움직임이나 따라말하기 쓰기 등의 행동을 해야 오래 기억합니다. (정보와 연관이 없더라도)특정 정보를 들으면서 필기를 하는 것은 나중에 다시 보려는 이유도 있지만 이 행위 자체가 뇌에 더 오래 정보가 남도록 합니다.무작정 듣는 정보는 뇌에 오래 남기 힘들며 오래 기억에 남기려면 다양한 방식의 출력 행동이 필요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다인자 유전과 경우의 수의 관계성이 무엇인가요
다인자 유전이란 어떤 표현형이 나타나는데에 한 쌍 이상의 여러쌍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유전입니다.키나 피부색 등이 대표적입니다.유전자 경우의 수에 대한 문제를 풀고 계신 것 같은데풀이 방법은 문제에서 제시한 조건에 따라 다릅니다.말씀하신 표현형 종류가 대립유전자 수 +1 은 독립유전에서아마 *대문자의 유전자 수만 표현형에 영향을 준다 라는 조건이 붙어 있을 것 입니다.A와 B가 서로 독립되어있고, 어떤 표현형에 A와 B만 영향을 준다면만약 부모의 유전자가 부AaBb 모AaBb의 이형접합일 경우태어난 자손의 유전자 형은부에서 AB aB Ab ab 4종류 모에서 AB aB Ab ab 종류를 각각 가지는 생식세포가 나올 수 있으므로4X4의 16개의 유전자형을 가집니다.아래와 같이 16개의 유전자형을 가집니다.AABB AaBB AAbB aAbBAaBB aaBB AabB aabBAAbb aAbB AAbb aAbbAaBb aaBb Aabb aabb이렇게 유전자 형은 16개지만문제에서 대문자의 수만 표현형에 영향을 준다고 했으니해당 조합에서 나올 수 있는 대문자의 수는 4,3,2,1,0 의 5종류 입니다.그래서 해당 조건에서 표현형의 수는 유전자자릿수 +1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방금 문제는 부, 모 각각 2개씩 합쳐서 유전자 자리(표현형을 결정하는 대립유전자 수)가 4개였습니다.그래서 4+1개인 5개의 표현형이 나왔습니다.또한,대문자가 4개인 경우는 AABB로 한개대문자가 3개인 경우는 4개대문자가 2개인 경우 5개대문자가 1개인 경우는 4개대문자가 0개인 경우는 aabb 한개각 대문자 갯수는 순서가 상관 없으므로 mCn 공식(조합)을 따르며방금 유전자 자리 4개였으므로 대문자n개인 수는 4Cn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3513523533543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