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인공 지능이 의료 분야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나요?
인공지능과 의료 분야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질병진단과 예측 등에서 많은 활약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의료 AI는 현재 개발과 테스트를 진행중이며, 연구 단계에서 AI가 희소암환자의 치료 결정을 내리고 인간의사가 검증, 그리고 인간 의사가 치교 결정을 내려 치료한 결과를 AI의 예후가 더 좋게 나온 경우가 있습니다. 희소암의 경우 AI가 더 많은 데이터를 분석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됩니다.의료에서 AI는 주로 진단과 처방에 역할을 하는 방향으로 연구되고 사용되고 있습니다.현재는 IBM이 개발한 왓슨이 의료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환자의 증상을 입력하면 수십년간의 임상자료와 전문자료를 검색하여 적합한 치료법을 제시합니다. 하지만 현재 상용화는 제한적이고 매우 느리게 진행 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이 빅데이터를 통해 환자들의 질병과 이에 따른 처방을 할 수는 있지만, 단순히 진단과 처방의 기능만으로는 환자를 설득 할 수 없고, AI의 치료 방식으로 치료했을 때 환자의 예후가 좋지 않다면 책임을 물을 대상에 대한 법도 없기 때문입니다.또 이런 AI 개발에는 필수적으로 의료 전문가가 참여해야합니다.
Q. 다인자 유전과 경우의 수의 관계성이 무엇인가요
다인자 유전이란 어떤 표현형이 나타나는데에 한 쌍 이상의 여러쌍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유전입니다.키나 피부색 등이 대표적입니다.유전자 경우의 수에 대한 문제를 풀고 계신 것 같은데풀이 방법은 문제에서 제시한 조건에 따라 다릅니다.말씀하신 표현형 종류가 대립유전자 수 +1 은 독립유전에서아마 *대문자의 유전자 수만 표현형에 영향을 준다 라는 조건이 붙어 있을 것 입니다.A와 B가 서로 독립되어있고, 어떤 표현형에 A와 B만 영향을 준다면만약 부모의 유전자가 부AaBb 모AaBb의 이형접합일 경우태어난 자손의 유전자 형은부에서 AB aB Ab ab 4종류 모에서 AB aB Ab ab 종류를 각각 가지는 생식세포가 나올 수 있으므로4X4의 16개의 유전자형을 가집니다.아래와 같이 16개의 유전자형을 가집니다.AABB AaBB AAbB aAbBAaBB aaBB AabB aabBAAbb aAbB AAbb aAbbAaBb aaBb Aabb aabb이렇게 유전자 형은 16개지만문제에서 대문자의 수만 표현형에 영향을 준다고 했으니해당 조합에서 나올 수 있는 대문자의 수는 4,3,2,1,0 의 5종류 입니다.그래서 해당 조건에서 표현형의 수는 유전자자릿수 +1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방금 문제는 부, 모 각각 2개씩 합쳐서 유전자 자리(표현형을 결정하는 대립유전자 수)가 4개였습니다.그래서 4+1개인 5개의 표현형이 나왔습니다.또한,대문자가 4개인 경우는 AABB로 한개대문자가 3개인 경우는 4개대문자가 2개인 경우 5개대문자가 1개인 경우는 4개대문자가 0개인 경우는 aabb 한개각 대문자 갯수는 순서가 상관 없으므로 mCn 공식(조합)을 따르며방금 유전자 자리 4개였으므로 대문자n개인 수는 4Cn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