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아하! 이렇게 쉬울수가
아하! 이렇게 쉬울수가
유민혁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2025년 1월 14일 작성 됨
Q.
치과에서 근무중인데요 손목이 너무너무 아파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치과 근무 중 생기는 손목 통증은 반복작업으로 인한 근막통증증후군일 가능성이 높아요. 보호대는 엄지손가락까지 고정되는 의료용 보호대가 좋은데, 혼자 착용하기는 불편하실 수 있어요. 업무 중에는 손목 스트레칭을 자주 하시고, 퇴근 후에는 온찜질과 마사지로 혈액순환을 돕는 게 중요해요. 통증이 심하다면 물리치료나 주사치료를 받아보시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성형외과
2025년 1월 14일 작성 됨
Q.
턱 보톡스 맞고 언제부터 귀에 고무줄 걸고 붓기빼는거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턱 보톡스 시술 후에는 보통 2주 정도는 턱 근육에 무리가 가는 활동을 피하는 게 좋아요. 귀에 고무줄을 거는 건 턱관절에 압박을 줄 수 있어서, 최소 2주는 지난 후에 시작하시는 게 좋겠네요. 붓기 관리는 차가운 찜질로 하시고, 딱딱한 음식은 피하시면서 시술 부위가 완전히 안정될 때까지 기다리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소아청소년과
2025년 1월 14일 작성 됨
Q.
요즘에 배가 아플 때 숨이 잘 안 쉬어져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공복에 과자를 먹으면 위산이 과다 분비되면서 위장에 자극이 될 수 있어요. 특히 아침을 거르고 과자같은 당분이 높은 음식을 먹으면 혈당이 급격히 올랐다 떨어지면서 복통이나 메스꺼움이 생길 수 있죠. 지금처럼 계속 불규칙한 식사를 하면 위염이나 역류성 식도염으로 발전할 수 있으니, 제때 식사하는 습관을 들이시는 게 좋을 것 같네요.
이비인후과
2025년 1월 14일 작성 됨
Q.
축농증 어떻게 없애나요.. 살려주세여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축농증이 심한 경우에는 일반적인 약물치료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어요. 비강 세척이나 스테로이드 스프레이를 꾸준히 사용해보시고, 실내 습도 관리도 중요해요. 하지만 약물치료로 충분한 효과를 보지 못하면 내시경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는데, 이건 이비인후과 전문의와 상담 후 결정하시는 게 좋겠네요. 수술이 무조건 나쁜 건 아니고, 오히려 삶의 질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
2025년 1월 14일 작성 됨
Q.
손목결절종 걸려 보신분 수술했는데 재발 어떻하나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손목 결절종의 재발은 꽤 흔한 편이에요. 수술로 제거해도 20-30% 정도는 다시 생길 수 있는데, 특히 손목에 부담이 많이 가는 운동을 하면 재발 위험이 높아져요. 당장 수술을 서두르실 필요는 없고, 크기가 작다면 관찰하면서 헬스할 때 손목 보호대를 착용하거나 무리한 운동은 피하시는 게 좋을 것 같네요. 물혹이 커지거나 통증이 생기면 그때 수술을 고려해보시는 게 좋겠어요.
성형외과
2025년 1월 14일 작성 됨
Q.
평소 턱을 괴는 습관은 아이의 얼굴형을 바꾸나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턱을 자주 괴는 습관은 장기적으로 턱관절이나 얼굴 근육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어요. 한쪽으로만 턱을 괴면 얼굴 근육이 비대칭적으로 발달할 수 있고, 턱관절에도 무리가 갈 수 있죠. 특히 성장기 아이들은 뼈와 근육이 발달하는 중이라 더 주의가 필요해요. 아이가 바른 자세로 앉도록 지도해주시고, 책상 높이나 의자 높이가 적절한지도 체크해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소아청소년과
2025년 1월 14일 작성 됨
Q.
요즘 아이들의 뒤집기는 예전보다 더 빨라졌나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아이들의 성장 속도가 빨라진 건 맞지만, 뒤집기나 기기 같은 운동발달 시기는 크게 변하지 않았어요. 보통 생후 3-6개월 사이에 뒤집기를 시작하는데, 이건 예전이나 지금이나 비슷해요. 다만 요즘은 부모님들이 아이의 발달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계시다 보니, 빨라진 것처럼 느끼실 수 있죠.
이비인후과
2025년 1월 14일 작성 됨
Q.
땀흘리고 감기가 걸리면 어떻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운동 후 감기 증상이 있다면 우선 휴식을 취하는 게 중요해요. 땀을 흘린 후에는 체온이 떨어지면서 면역력이 일시적으로 저하될 수 있거든요. 따뜻한 물로 샤워하고 충분한 수분 보충을 하면서 하루 이틀 정도는 운동을 쉬어주세요. 일반 감기와 독감은 다른 질환인데, 독감 예방주사는 계절성 독감 바이러스를 예방하는 거예요. 특별한 기저질환이 없다면 꼭 맞아야 하는 건 아니지만, 예방 차원에서 맞으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
2025년 1월 14일 작성 됨
Q.
팔꿈치 골절이후에 9개월이 지난 지금도 시큰거리네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골절 후 완전한 회복까지는 보통 1년 이상 걸릴 수 있어요. 뼈는 잘 붙었더라도 주변 연부조직이나 인대가 완전히 회복되는 데 시간이 더 필요한 거죠. 오랫동안 움직이지 않다가 움직일 때 시큰거리는 건 관절이 뻣뻣해지거나 주변 근육이 약해져서 나타나는 증상일 수 있어요. 현재 일상생활에 큰 불편이 없다면 꾸준한 운동으로 회복을 기다려보시고, 통증이 심해지거나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면 정형외과를 다시 방문해보세요.
비뇨의학과
2025년 1월 14일 작성 됨
Q.
살이 많으면 포경수술 못 하나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포경수술은 체중이 많이 나가더라도 할 수 있어요. 다만 수술 부위 지방이 많으면 시술이 좀 더 복잡해지고 회복기간이 길어질 수 있죠. 병원마다 수술 기준이 다를 수 있으니 다른 비뇨기과를 한번 더 방문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체중 감량을 하면 수술이 좀 더 수월해질 수는 있지만, 절대적인 제한 사항은 아니에요.
61
62
63
64
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