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손에 아주작은 수포가 발생하는데, 어떤 이유있지 궁금합니다.
정확한 상태를 보아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나, 증상으로 보아 한포진의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한포진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다한증, 금속알레르기나 아토피, 세균감염, 아스피린이나 경구피임약의 복용, 흡연,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고, 땀 역시 악화요인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주로 손바닥이나 발바닥에 작은 물집이 특징적으로 발생하며, 작은 물집들이 합쳐서 큰 물집이 되기도 하고 손톱 근처의 손가락 측면에 발생하기도 합니다.젊은 성인에서 잘 생기고, 물집이 있을 때는 생리식염수를 이용해 물찜질을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되며, 물집이 가라앉은 후에는 연고 도포나 증상이 심한 경우 약의 복용을 하기도 합니다.일반적으로 2~3주 후 호전되지만 자주 재발할 수 있습니다.그 외 물집이 생기는 여러 원인이 있으니,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병원에 내원하여 검사를 받으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Q. 임산부의 백신 부작용은 심각할수도 있겠어요?
화이자와 모더나가 임산부에도 효능이 있고 안전하다는 연구결과가 보도된 적이 있습니다.또한 임산부가 백신을 접종한 경우 신생아에게도 면역력을 전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고도 하였습니다.하지만 임산부의 코로나 백신 접종 후 유산이나 사산된 사례도 보고되고 있으며, 브라질에서는 아스트라제네카의 임산부 접종을 금지하기도 하였습니다.최근에는 WHO에서는 코로나에 노출될 위험이 높거나 코로나에 감염된 경우 중증으로 발전되기 쉬운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등, 백신접종으로 인한 위험보다 이득이 큰 경우에는 임산부도 백신접종을 권고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또한 코로나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임산부가 코로나로 인해 사망할 확률이 8배에 이른다는 보고가 있어 더욱 임산부의 코로나 백신 접종을 권장하는 방향으로 지침이 바뀌었습니다.하지만 임산부나 태아에 대한 장기적인 안전성이 명확하게 밝혀진 것이 아니므로, 백신을 접종하였을 때의 부작용과 접종하지 않고 코로나에 감염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 등에 대해 어떤 경우가 더 위험할지를 고려하고 담당선생님과 상의하여 접종 여부를 결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