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바다의 최상위포식자 범고래가 인간을 공격 안하는 이유는?
범고래가 인간을 공격하지 않는 명확한 이유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그렇다보니 여러가지 가설들이 있습니다.우선 범고래는 매우 똑똑하며, 각 개체군마다 특정 먹잇감을 사냥하는 고유한 사냥법과 식습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 범고래는 주로 바다사자나 물범, 물고기, 다른 고래류 등을 잡아 먹고, 인간은 범고래의 자연적인 먹이에 없는 것이죠.또한 범고래는 어미에게서 무엇을 먹어야 하고 먹지 말아야 하는지를 배우는데, 인간은 그들이 대대로 먹지 말아야 할 것으로 배웠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습니다.또 일부에서는 범고래가 인간을 잠재적인 위험으로 인지하고 공격을 피한다는 가설도 제시되지만, 이는 다소 추측적인 부분이 많아 인정을 받지는 못하고 있습니다.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범고래가 인간을 공격하지 않는 가장 유력한 이유는 인간을 먹잇감으로 인식하지 않고, 높은 지능과 학습을 통해 형성된 인간에 대한 비공격 성향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Q. 반달가슴곰이 사람을 공격하는 경우가 있나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반달가슴곰도 사람을 공격할 수 있습니다.물론 반달가슴곰은 사람을 피하고 온순한 편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새끼를 보호하거나 먹이를 먹을 때와 같이 일부 상황에서는 사람을 공격할 수 있습니다.또 사람이 주는 먹이에 길들여지거나 사람을 자주 만나 경계심이 없어진 곰은 오히려 사람에게 접근하여 공격할 가능성이 높고, 몸이 좋지 않거나 부상을 입은 곰은 예민해져 공격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실제로 일본에서는 반달가슴곰에 의한 인명 피해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반달가슴곰이 사람을 공격하여 사망에 이르게 한 사례가 있었습니다.
Q. 설인은 실제로 많이 목격이 되었다고 하는데 진짜로 있는 거 같나요??
설인의 존재에 대해서 현재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습니다.과거 에베레스트를 최초로 등정한 에드먼드 힐러리 경을 비롯해 많은 등반가와 현지 주민들이 설인의 발자국이나 털 등을 목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설인의 것으로 추정되는 털이나 뼈 등의 시료들이 발견되어 과학적인 분석이 이루어진 사례가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DNA 분석 결과는 곰이나 다른 동물들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발자국 또한 눈의 침식이나 바람 등 자연 현상, 또는 여러 발자국이 겹쳐 찍히면서 크기나 모양이 변형되어 오해를 불러일으켰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죠.결론적으로, 설인의 존재를 증명할만한 것은 없었습니다. 실제로 목격된 사례나 과학적으로 검증된 자료들은 대부분 오해나 다른 동물로 판명된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미지의 생명체에 대한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지만, 현재까지는 설인의 존재를 뒷받침할 만한 확실한 과학적 증거는 없습니다.
Q. 좁쌀은 원래부터 있던 곡물이 아니라, 강아지풀을 개량한거라는데 언제어떻게 개량되어 식용이 되었나?
네, 말씀하신 대로 좁쌀은 강아지풀을 개량하여 식용으로 만든 곡물이 맞습니다.좁쌀의 원산지는 동아시아로 알려져 있는데, 처음으로 재배한 흔적은 중국의 페이리강 문화와 츠산 문화(기원전 6500년 ~ 기원전 5500년)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즉, 약 8000년~7000년 전부터 강아지풀을 식용으로 개량하기 시작했다고 추정할 수 있죠.개량 방법은 사실 간단했지만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즉, 오랜 시간 동안 사람들은 강아지풀 중에서 씨앗이 크고 수확량이 많으며 맛이 좋은 개체를 선별하여 계속 심고 가꾸는 과정을 반복한 것입니다. 이렇게 인위적인 선택과 재배를 통해 야생 강아지풀의 특성이 점차 식용에 적합한 좁쌀의 형태로 진화하게 된 것입니다.이렇게 동아시아에서 시작된 좁쌀 재배는 남쪽으로는 티베트, 타이완섬 등으로 퍼져나갔고, 유럽에도 기원전 2000년경 유적에서 탄화된 씨앗이 발견될 정도로 널리 퍼졌습니다.
Q. 다른 바다생물과 다르게 불가사리를 먹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불가사리는 맛도 없지만 냄새도 나고, 식감도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손질도 어렵고, 일부 종의 경우 독성을 가지고 있는 등 사실상 들이는 노력에 비해 장점이 없기 때문입니다.대부분의 불가사리는 상당히 비리고 쓴 맛이 나며, 고약한 냄새를 풍깁니다. 특히 내장 부분은 비린 맛이 강하고 씁쓸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극히 일부 사람들은 꽃게 내장과 비슷하다고 표현하기도 하지만, 대체적으로 상당히 불쾌한 맛으로 인식합니다.또한 불가사리는 단단한 외피를 가지고 있으며, 속살은 적고 물컹하거나 질긴 경우가 많아 식감이 좋지 않습니다. 게다가 삶으면 수분이 빠져나가 크기가 매우 작아지기도 하죠.게다가 일부 불가사리 종의 촉수에는 점액질 형태의 약한 독이 있어 만지면 통증이나 가려움증이 생깁니다. 또 독성이 강한 불가사리는 근육 경직, 혈액순환 방해, 호흡 곤란 등 심각한 증상을 일으킬 수도 있죠.무엇보다 비료나 유기 칼슘제로 활용될만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지만, 식용으로서의 특별한 영양 가치나 효율성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