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사슴벌레와 장수풍뎅이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우리나라 숲속에 사는 사슴벌레와 장수풍뎅이는 모두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곤충이기는 하지만,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외형적으로는 뿔 또는 턱이 가장 눈에 띄는 차이점입니다.사슴벌레는 수컷은 머리에 크고 납작하며 가지처럼 생긴 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턱은 마치 사슴의 뿔과 비슷하게 생겨 사슴벌레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반면 장수풍뎅이는 수컷은 머리에 뿔이 솟아 있으며, 가슴에도 작은 뿔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코뿔소처럼 뾰족하게 솟아오른 뿔이 특징입니다.몸 형태도 사슴벌레는 몸이 전체적으로 납작하고 길쭉한 편인 반면 장수풍뎅이는 몸이 둥글고 볼록하며, 다부진 느낌을 줍니다. 또 더듬이를 보면 사슴벌레는 더듬이가 ㄱ자로 꺾여 있는 반면 장수풍뎅이는 더듬이가 여러 갈래로 갈라진 포크 모양 또는 부채 모양입니다. 다리도 차이가 있는데 사슴벌레는 다리가 상대적으로 짧고 가는 편이지만 장수풍뎅이는 다리가 길고 두꺼우며, 힘이 강합니다.물론 생활 방식 및 습성에도 차이가 있습니다.싸움을 보면 사슴벌레는 주로 큰 턱으로 상대를 물거나 집어서 던지는 방식으로 싸우지만 장수풍뎅이는 뿔을 이용해 상대방을 들어 올리거나 밀어내는 방식으로 싸웁니다. 또 산란 장소는 명확하게 갈리는데, 사슴벌레는 주로 썩은 나무에 알을 낳지만 장수풍뎅이는 주로 흙이나 발효 톱밥에 알을 낳습니다.그렇다보니 수명도 다릅니다. 사슴벌레는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성충 상태에서 1년 이상, 길게는 2~3년까지 사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장수풍뎅이는 성충 수명이 일반적으로 2~3개월로, 사슴벌레에 비해 짧은 편입니다.
Q. 인간의 신체가 돌연변이 기질로 인해서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영화에서처럼 초능력을 가진 신인류가 탄생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다만, 점진적인 변화와 진화의 관점에서는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생물학적으로 돌연변이는 유전자 정보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대부분의 돌연변이는 해롭거나 중립적이지만, 아주 드물게 환경에 유리한 특성을 부여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유용한 돌연변이가 나타나고, 그 돌연변이를 가진 개체가 생존과 번식에 유리하여 후대에 더 많이 전달될 때 진화가 일어납니다.그리고 인류는 수십만 년에 걸쳐 환경에 적응하며 진화해왔습니다. 예를 들어, 고산지대에 사는 사람들은 낮은 산소 농도에 적응하기 위해 혈액 내 헤모글로빈 수치가 높거나 폐 기능이 발달하는 등의 신체적 특징을 갖게 됩니다. 미래에도 인류가 새로운 환경에 직면하거나 특정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더욱 중요해진다면, 그에 적합한 점진적인 신체적 변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결론적으로 미래 인류가 영화 속 신인류처럼 극적으로 변모할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환경 적응이나 유전 공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점진적인 육체적 변화나 능력 향상은 충분히 일어날 수 있습니다.
Q. 뇌과학은 어떤 분야와 융합되어연구하나요
말씀하신 것처럼 뇌과학은 정말 다양한 학문 분야와 융합되어 연구되고 있습니다. 심리학, 의학 외에 융합되는 분야들이라면 인지과학, 컴퓨터 과학 및 인공지능, 수학 및 물리학, 교육학, 경제학 및 경영학, 법학, 철학 등입니다.사실 뇌과학은 인간의 뇌라는 복잡한 대상을 다루기 때문에, 단일 학문으로는 완전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학문 분야의 전문 지식과 연구 방법론을 통합하여 융합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수적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