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지인이 구피를 키우는데 구피가 2마리에서 30마리가 넘었다는데 이거 분양해도 되는건가여
먼저 분양에 대해 말씀드리면, 일반적인 취미생활 내에서의 구피 분양은 불법이 아닙니다.원칙적으로는 상업적인 목적으로 판매하는 경우에만 관련 법규인 동물보호법과 수산생물질병관리법 등의 적용을 받습니다. 즉, 개인이 취미로 기르던 구피의 수가 너무 많아져서 다른 사람에게 무료로 분양하거나, 실비 정도의 소액을 받고 분양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문제되지 않습니다.다만, 멸종위기종이나 특정 보호종의 경우 허가 없이 거래하는 것이 불법일 수 있지만, 구피는 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그리고 매운탕은...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보 구피를 식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무엇보다 너무 작아서 식용으로서의 가치가 낮은 것은 당연하고, 맛이나 식감도 보장하기 어렵습니다.
Q. 꿀벌을 제외하고 꿀을 모으는 벌이 있을까요?
네, 꿀벌이라는 이름은 꿀을 모으는 습성 때문에 붙여졌지만, 꿀벌 외에도 꿀을 모으는 벌들이 많이 있습니다.사실 영어로 Bee라고 하는 벌들은 보통 꿀을 모으는 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뒤엉벌이나 가위벌, 떡벌 등도 꿀을 모으죠.하지만, 말벌류 영어로는 Wasp로 적는 종들은 꿀을 모으지 않는 육식성이 대부분입니다.
Q. 바다에서 상어를 만나면 생존방법이 코를 때려라 인데 코때리면 도망가나여?
상어의 코를 때리는 것은 그다지 효과적인 방법은 아닙니다.말씀하신 대로 물속에서는 저항 때문에 주먹의 위력이 현저히 약해집니다. 상어의 코는 연골로 되어 있고 신경이 집중되어 있어 민감한 부위이긴 하지만, 약한 힘으로는 상어를 놀라게 하거나 도망가게 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그래서 더 공격적으로 변할 수도 있죠.상어와 마주치는 상황은 극히 드물지만, 만약 마주쳤다면 상어에게 먹이가 아니라는 것을 인지시켜주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긴 합니다. 물을 휘젖는 행동은 오히려 상어가 먹잇감으로 인할 수 있는 행위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죠.그렇지만, 처음 상어가 공격한 것이 아니라면 먹이로 인식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서서 그 자리를 벗어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Q. 외국에는 길거리에 야생동물이 내려와서 해꼬지 하고 그러는 경우도 있나요?
네, 해외에서도 길거리나 도시에서 야생동물이 내려와 사람에게 해를 끼치거나 충돌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합니다.자연과 도시가 가까워지면서 이러한 충돌은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죠.인도의 경우 대도시 외곽에서 표범이 인구 밀집 지역에 출몰하여 길고양이나 떠돌이 개를 노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코끼리가 도시에 내려와 차량이나 오토바이를 부수는 등 피해를 주는 사례도 있습니다.가까운 일본은 혼슈에는 반달곰, 홋카이도에는 불곰이 서식하는데, 곰으로 인한 인명 피해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특히 4월에 동면에서 깨어나거나 9~10월에 동면을 위한 먹이를 찾아다니면서 인간과 충돌할 수 있습니다. 실제 2021년에는 곰으로 인해 4명이 사망하고 10명이 부상당하는 기록적인 인명 사고가 발생했습니다.칠레의 수도 산티아고 거리에서는 퓨마가 활보하는 사례가 있었고, 호주에서는 코알라가 로드킬로 인해 많이 죽는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영국이나 미국의 대도시에서도 여우나 코요테가 정착하여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이렇게 야생동물이 도시로 내려오는 가장 큰 이유는 먹이와 서식지 감소가 가장 큽니다. 즉, 서식지가 줄어들거나 단절되면서 먹이를 찾거나 새로운 서식지를 찾아 도시로 내려오는 경우가 많은 것입니다.그래서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기 위해서는 말씀하신 것처럼 인간이 야생동물을 괴롭히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를 위해 인간도 공존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한 것입니다.
Q. 나그네새 벌매가 왜 나중에는 여름철새처럼 우리나라에 여름이 될 때 찾아오거나 번식을 하게 되었나요?
벌매는 사실 과거에 우리나라를 단순히 스쳐 지나가는 나그네새로 분류되었습니다. 주로 동남아시아에서 번식하고 겨울을 보내는 도중, 이동 경로에서 우리나라를 잠시 들르는 새였죠.하지만 최근 몇십 년 사이, 벌매가 우리나라에서 여름을 보내며 번식하는 여름철새의 특징을 보이고 있는데 가장 큰 이유는 기후변화 때문입니다.다시 말해 지구 온난화로 인해 우리나라의 여름철 기온이 상승하고 기간이 길어지면서, 벌매가 번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된 것입니다. 게다가 벌매의 주요 먹이인 벌집을 짓는 벌의 활동 기간이 늘면서 먹이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도 매우 높아졌습니다.또한 우리나라의 숲이 비교적 안전하고 먹이를 구하기 쉬운 것으로 인식한 것도 주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