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전문가
CELL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세포가 암에 걸리면 대부분 죽는건가요?
먼저 암세포는 대부분 죽지하고 다른 형태로 변이하거나 다른 세포의 특징을 획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실 이것이 암세포의 가장 큰 특징인 동시에 암 치료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입니다.일반적으로 암세포는 정상 세포와 달리 무한히 증식하며 분화가 정지되어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즉, 원래의 세포가 가진 기능을 잃고 무분별하게 증식하는 것이죠.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암세포가 가소성을 가지고 있어서 주변 환경이나 치료에 반응하여 다른 형태의 세포로 변환되거나, 심지어 정상 세포와 유사한 특성을 획득하는 현상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또한 암세포 중에는 암 줄기세포라고 불리는 특별한 세포들이 존재하는데, 이 세포들은 일반적인 암세포와 달리 자가 재생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종류의 암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암 줄기세포는 마치 줄기세포처럼 다양한 형태의 암세포를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죠.요약하자면, 암세포는 단순히 죽지 않고 무한 증식하는 것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과 치료에 반응하여 다른 형태의 세포로 변하거나, 심지어 줄기세포와 같은 능력을 갖춰 다양한 암세포를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태적 분류에 따르면 남미에는 원숭이가 있을 수 없는데 어떻게 서식하고 있나요?
아마 원숭이가 아니라 유인원과 착각를 하신건 아닌가 생각됩니다.남미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의 원숭이들이 서식하고 있으며, 이들을 신세계원숭이라고 부릅니다. 반면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원숭이들은 구세계원숭이라고 부릅니다.남미의 넓은 열대우림은 원숭이들에게는 상당히 좋은 서식 환경입니다. 실제 다람쥐원숭이나 카푸친원숭이, 고함원숭이, 거미원숭이, 마모셋, 타마린 등 수많은 신세계원숭이 종들이 남미 전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나무 위에서 생활하며, 과일, 잎, 곤충 등을 먹는 잡식성 동물입니다.그리고 신세계원숭이와 구세계원숭이는 수천만 년 동안 다른 대륙에서 독립적으로 진화해왔기 때문에 여러 가지 형태적, 생태적 차이를 보입니다. 대표적으로 콧구멍의 형태나 꼬리, 치아 구조 등에서 차이를 보이죠.반면 남미에는 사람을 제외하고는 대형 유인원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원숭이를 유인원과 혼동하신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나이가 들면서 몸에서 나오는 분비물이 더 많아지는 건가요 아니면 신체 활동량이 떨어지면 더 줄어드는 건가요?
보통 때라고 하면 피지나 땀, 죽은 각질 세포, 외부 먼지 등이 섞여서 생기는 것이므로, 피지와 땀의 분비량 변화를 말씀드리면 줄어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피지의 경우 사춘기에는 호르몬 변화로 인해 피지선이 발달하고 피지 분비가 왕성해집니다. 이 시기에 여드름이 많이 생기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하지만, 30~40대 이후부터는 피지선 분비가 점차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피부 탄력이 떨어지고 건조해지는 이유 중 하나가 피지 분비량의 감소 때문입니다.그리고 땀샘당 땀 분비량은 젊은 성인이 노인에 비해 많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땀샘의 기능이 떨어져 더위에 취약해지기도 합니다. 특히 여성의 경우 갱년기가 되면 호르몬 변화로 인해 몸에 열이 많아지고 안면홍조, 식은땀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자율신경계와 호르몬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땀 분비 양상이 변하는 것입니다.결론적으로 피지 분비량은 성장기에 절정을 이루고 이후 점차 줄어드는 경향이 있으며 땀 분비량 역시 젊은 성인기에 비해 나이가 들면서 점차 줄어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두꺼비가 정말 유혈목이와 같은 뱀에게도 덤빌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두꺼비가 유혈목이 같은 뱀에게 적극적으로 덤벼들어 싸우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두꺼비는 피부에서 부포톡신 등 독성 물질을 분비하여 포식자가 자신을 먹으려 할 때 불쾌감이나 독성으로 쫓아내거나 위협을 느끼면 몸을 부풀려 자신을 더 커 보이게 하여 포식자가 쉽게 삼키지 못하게 합니다.하지만, 이러한 방어 기작은 주로 수동적인 방어에 가깝습니다. 즉, 포식자에게 먼저 공격적으로 달려들기보다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입니다.하지만, 황소개구리가 뱀을 잡아먹는 행동은 공격적인 포식 행동으로, 두꺼비의 방어 전략과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황소개구리는 큰 몸집과 강한 턱 힘으로 자신보다 작은 뱀이나 다른 동물들을 적극적으로 사냥하는 편이죠.반면 앞서도 말씀드렸지만, 두꺼비는 독을 통해 자신을 보호하는 것이 먼저이며 뱀을 잡아먹기 위해 덤벼드는 경우는 보통 생태에서는 관찰하기 어렵습니다. 뱀이 두꺼비를 공격하려 할 때, 두꺼비는 독을 분비하거나 몸을 부풀리는 등으로 방어할 뿐, 먼저 뱀을 공격하여 제압하려 하지는 않는 것이죠.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요즘 도로변에 지천으로 핀 이 풀은 뭔가요?
사진 속 식물은 개망초로 보입니다.개망초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늦봄부터 여름까지 도로변에 매우 흔하게 피는 잡초입니다.말씀하신 것처럼 개개의 꽃은 작지만, 그 수가 많아서 전체적으로는 꽤 아름다운 모습을 연출하는 경우도 많습니다.참고로 개망초는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입니다.
1411421431441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