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샤워할때 온도는 사람이 따라 어떻게 해야 좋은가요??
어느 쪽이 좋다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차가운 물 샤워와 따뜻한 물 샤워는 각각 다른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기에, 개인의 건강 상태나 생활 습관, 그리고 목표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냉수 샤워는 주로 아침 시간이나 운동 후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차가운 물은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신경계를 자극하여 졸음을 쫓고 정신을 맑게 하는 데 도움을 주고, 면역력 강화, 피부 및 모발 건강, 근육통 완화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하지만, 심장 질환이나 고혈압이 있는 경우 갑작스러운 냉수 샤워는 심장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하며, 추위에 약한 사람이라면 오히려 스트레스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온수 샤워는 주로 저녁 시간이나 긴장을 풀고 싶을 때 많이 도움이 됩니다.따뜻한 물은 혈관을 확장시켜 혈액 순환을 돕고, 경직된 근육을 이완시켜 피로를 해소하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그래서 자기 전에 따뜻한 물로 샤워하면 숙면을 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또한 따뜻한 물은 모공을 열어주어 피부 속 노폐물과 독소 배출을 돕습니다.하지만, 지나치게 뜨거운 물은 피부의 천연 보호막을 손상시켜 건조하게 만들거나 가려움증을 유발할 수 있고, 두피를 건조하게 만들고 모발을 푸석하게 할 수 있습니다.결국 가장 좋은 방법은 자신의 몸 상태와 필요에 맞춰 샤워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Q. 새들은 편대를 이루면서 비행을 하는 모습을 자주 보게 되는데 이유가 있나요?
V자 비행을 하는 경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서로간 의사소통과 시야 확보에 용이하며 무리가 흩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먼저 V자 대형은 선두 새가 만들어내는 와류를 뒤따르는 새들이 이용하면서 비행 저항을 줄여줍니다. 비유하자면 자전거 경주에서 앞사람의 뒤에 붙어가는 것과 같은 원리인데, 이를 통해 각 새들은 혼자 비행할 때보다 약 10~20% 정도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가장 선두에 서는 새가 가장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므로, 선두의 위치는 주기적으로 바뀝니다.또한 V자 대형은 무리 내의 모든 새들이 서로를 시야에 두기 용이하게 합니다. 이는 천적의 출현이나 이동 경로 변경 시 신속하게 정보를 공유하고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되고 또한, 각 새가 앞의 새를 따라가면서 서로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비행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죠.그리고 V자 대형은 무리 전체의 응집력을 높여줍니다. 특히 장거리 이동 시, 대형을 유지하며 함께 비행하는 것은 무리가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길을 잃거나 지쳐 낙오하는 새들을 줄일 수 있죠.
Q. 겨울철에 김장김치를 담글때 사용하는 굴은 항상 많은데, 어떻게 번식을 하고 채취를 하는지 궁금합니다.
김치에 넣는 굴은 대부분 양식입니다.그리고 양식 굴은 또 대부분 수하식이라는 방법으로 길러내고 있습니다.가장 먼저 채묘 단계를 거치는데, 굴의 어린 새끼인 유생이 자연적으로 굴 껍데기나 기타 부착 가능한 줄에 붙도록 유도하는 단계입니다. 산란기에 바닷물 속에 떠다니는 굴의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이루어지고, 약 2주 후 눈과 다리가 생기면서 성숙한 유생이 됩니다. 이 시기에 굴 껍데기 등으로 만든 줄을 바다에 넣어 유생이 자연적으로 부착하게 합니다.이렇게 붙은 굴을 2년 정도 길러 출하하는 것이죠.그리고 굴은 번식을 위해 알을 낳습니다. 대부분의 굴은 암수 구별이 있지만, 일부 종은 한 개체가 암수로 변화하는 경우도 있습니다.수온이 오르는 시기인 주로 봄에서 여름, 5월~9월이 되면 암컷 굴은 수백만에서 수억 개의 난자를, 수컷 굴은 정자를 바닷물 속으로 방출합니다. 그럼 바닷물 속에서 정자와 난자가 만나 체외 수정이 이루어집니다.수정된 알은 부유 생활을 하는 유생으로 발달하고, 이 유생들은 바닷물 속을 떠다니며 플랑크톤을 먹고 자랍니다.이후 약 2~4주 후, 유생들은 바위, 굴 껍데기 등 단단한 표면에 달라붙어 움직이지 않는 정착 생활을 시작합니다. 이렇게 부착된 어린 굴을 종묘라 하는데, 종묘는 시간이 지나면서 성체 굴로 성장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