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전문가
CELL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이게 무슨 벌레인가요? 진드기같기도 하고 벼룩같기도 하고
이 사진만으로는 판단이 어렵습니다.하지만, 말씀하신 것처럼 벼룩이나 진드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게다가 사무실에 수십 마리가 발견되고 몸에 달라붙는다면 더욱 그럴 가능성이 높습니다.어떤 업무를 하는 사무실인지는 알기 어렵지만, 외부에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사무실 내부에 번식할 수 있는 카펫이나 화분 등의 환경이 있다면 그 곳이 서식지가 될 수도 있고, 새 등의 다른 동물이 사무실 내에 키우고 있다면, 그 동물에 기생하는 벼룩이나 진드기가 떨어져 나와 사람에게 옮겨붙을 수 있습니다.처리 방법이라면 아무래도 전문 방역 업체를 이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가능하다면 벌레 한두 마리를 채집하여 투명 테이프에 붙이거나 작은 용기에 넣어 보관하여 업체이 주는 것이 좋습니다.그리고 에프킬라와 같은 살충제는 일시적인 효과만 있을 뿐, 알이나 숨어있는 벌레까지 제거하기는 어렵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양파썰때마다 왜 눈이 맵고 눈물이 나는 걸까요?
양파에 포함된 '프로페닐 설페닉 산'이라는 화합물 때문입니다.좀 더 자세히 설명드리면, 양파를 썰때 세포가 손상되면서 알리나제라는 효소가 세포 내의 아미노산 설폭사이드와 반응하여 '프로페닐 설페닉 산'을 생성합니다. 이 화합물은 휘발성이 있어서 공기 중으로 퍼져나가고, 우리 눈에 닿으면 눈의 수분과 반응하여 묽은 황산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 황산이 눈을 자극하여 맵고 따가움을 느끼게 하고, 눈은 이 자극을 제거하기 위해 눈물을 흘리게 되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산 정상 웅덩이에도 물고기는 항상 있는데, 이 물고기는 어디에서 나온건지 궁금합니다.
상황에 따라 여러가지 가설이 있지만 새나 홍수, 과거 지형, 또는 사람에 의한 경우로 보고 있습니다.가장 유력한 가설은 새에 의한 이동입니다. 물고기 알은 끈적거리는 성질이 있어 새의 발이나 깃털, 혹은 배설물에 묻어 이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새가 낮은 지대의 물가에 머물다가, 산 정상의 웅덩이로 날아가면서 물고기 알을 옮겼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옮겨진 알이 웅덩이의 환경 조건이 맞아 부화하게 되면 물고기가 서식하게 되는 거죠.또 매우 드물지만, 극심한 폭우나 홍수로 인해 하천의 물이 범람하면서 물고기가 산 정상 부근까지 쓸려 올라갔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가끔 물고기 비가 내렸다는 소식이 있는데, 바로 그런 경우인 것이죠.그리고 과거 지형 변화로 인해 고립된 물고기가 오랫동안 서식했다는 주장도 있으며, 사람에 의한 인위적 방생으로 인한 서식을 주장하기도 합니다.그렇지만, 일반적인 경우 새에 의한 경우가 가장 신빙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죠.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고래가 바다에서 간혹 보여주는 행동인 브리칭을 행하는 이유?
사실 여러가지 가설이 있고, 또 복합적인 이유로 보고 있습니다.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가설은 의사소통입니다. 멀리 떨어진 다른 고래들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리거나 특정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는 것입니다. 즉, 고래가 물 위로 뛰어올랐다가 떨어지면서 내는 엄청난 소리와 물보라는 수 킬로미터 밖까지 전달되고, 이는 동료 고래들에게 무리의 위치를 알리거나, 포식자에게 경고를 보내거나, 번식과 관련된 신호일 수도 있다는 것이죠. 특히, 말씀하신 것처럼 고래들은 지역에 따라 방언 개념이 있을 정도로 언어에 민감하므로, 이러한 시각적, 청각적 신호는 더욱 중요할 수 있습니다.또 다른 가설은 기생충 제거입니다. 즉, 브리칭을 통해 물 위로 뛰어올랐다가 강력하게 수면을 때리면서 기생충들을 떨어뜨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가설이죠.그 외에도 놀이 또는 과시이거나, 주변 탐색, 무리 형성 및 결속을 위한 행동이라는 가설도 있습니다.다시 말해 브리칭 행동은 단일한 이유로 설명하기보다는, 여러 목적을 가지고 있거나 상황에 따라 그 목적이 달라질 수 있는 복합적인 행동으로 보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필리핀의 마스바테섬은 우리나라의 제주도와 같은 풍경과 느낌이 있고 흰소들과 말들이 많은데 이러한 소와 말은 어떤 품종들인가요?
먼저 마스바테섬의 소들은 대부분 브라만 품종 또는 브라만과 다른 품종의 교잡종입니다.브라만은 인도에서 유래한 제부 소의 한 품종으로, 필리핀과 같은 열대 기후에 매우 잘 적응하는 편인데, 더위에 강하고 질병 저항력이 뛰어나며, 고기 생산에 적합하여 세계적으로 인기가 많습니다. 마스바테섬의 하얀 소들은 대부분 브라만 품종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컷은 목, 어깨, 혹 부분에 짙은 회색 무늬가 있고, 암컷은 전체적으로 하얀색이나 붉은색을 띠기도 합니다.그리고 마스바테의 목축업자들은 토착 소와 호주 등에서 수입한 외래 품종, 특히 브라만과의 교배를 통해 더 좋은 품질의 소를 생산하려 하는데, 예를 들어, 브랑거스는 브라만과 앵거스를 교배한 품종으로, 더 부드럽고 맛있는 고기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그리고 마스바테섬의 말들은 주로 필리핀 토착 말이거나 스페인 식민 시대에 유입된 품종들의 후손입니다. 스페인인들이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소와 말을 필리핀으로 들여왔으며, 이 말들은 이후 필리핀의 자연 환경에 맞춰 진화하거나 토착 품종과 교배되어 현재의 마스바테 말들이 되었습니다.
1711721731741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