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전문가
CELL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스페인독감 바이러스는 어떻게 인지를 한건가요
사실 그 실체를 알게 된 것은 그리 오래 되지는 않았습니다.스페인 독감은 H1N1형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로 그 실체를 실험적으로 인지하게 된 것은 2005년 미국의 병리학자 제프리 토벤버거박사 연구팀에 의해서였습니다.당시 스웨덴 출신의 의사 '요한 훌틴'의 도움으로 알래스카의 영구 동토층에 묻혀 있던 스페인 독감 희생자의 폐 조직 샘플을 확보하여 바이러스의 유전자 정보를 분석하고 재구성하는 데 성공했습니다.복원된 바이러스 유전자를 인간 신장 세포에 주입하여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를 되살려냈는데, 이 연구를 통해 스페인 독감의 원인 바이러스가 H1N1형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라는 것이 명확히 밝혀냈었죠.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20세기 들어서면서 바이러스성 질환이 증가했을까요
아이러니하게도 위생과 항생제 때문에 세균성 질환 대비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입니다.즉, 20세기 이전에는 위생 상태가 좋지 않고, 영양 상태가 불량하며, 의료 기술이 발달하지 못해 세균성 질환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20세기 들어 위생이 나아지고 항생제가 개발되면서 바이러스성 질환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된 것입니다.좀 더 자세히 설명드리면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상하수도 시실이 개선되어 깨끗한 물의 공급과 하수 처리 시스템이 구축되며 수인성 세균성 질환인 콜레라, 장티푸스 등이 크게 감소했습니다. 또한 손 씻기, 소독 등 개인 위생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세균 감염률이 줄었고 식품의 생산, 유통, 보관 과정에서의 위생 관리가 강화되면서 세균성 식중독 발생이 감소했습니다.게다가 20세기 중반 페니실린을 비롯한 다양한 항생제가 개발되면서 세균성 감염 질환의 치료가 가능해졌고, 이로 인해 세균성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과 유병률이 현저히 감소했습니다.반면 20세기 이전에는 바이러스의 존재 자체가 잘 알려지지 않았거나, 세균과 혼동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전자현미경의 발명과 분자생물학의 발달로 바이러스의 실체를 확인하고, 유전체를 분석하며, 특이적인 진단법을 개발할 수 있게 되었죠.이러한 진단 기술의 발전으로 이전까지 원인 불명으로 여겨졌던 많은 질환들이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는 표면적으로 바이러스성 질환이 크게 증가한 이유가 되었습니다.즉, 모르면 통계에 잡히지 않지만, 알게되면 통계로 나타난 착각일 수 있는 것입니다.물론 지속적인 바이러스의 변이도 원인이 될 수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아이러니하게도 바이러스를 알게되고, 좋아진 위생과 환경 때문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스페인독감 바이러스는 언제 왜 갑자기 사라진건가요
먼저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 A형 H1N1 바이러스의 변종으로 1918년 봄에 시작되어 192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유행했습니다. 특히 1918년 가을부터 겨울에 걸쳐 2차 유행이 발생했을 때, 바이러스의 독성이 강해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그러나 스페인 독감이 갑자기 사라진 이유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몇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첫번째는 집단 면역의 형성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감염되면서 자연스럽게 집단 면역이 형성되어 바이러스의 전파력이 약해졌을 가능성이 있습니다.두번째는 바이러스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약화되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는 숙주 내에서 생존하고 번식하기 위해 너무 치명적이지 않게 변이하는 경향이 있죠.세번째는 새로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등장하면서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가 경쟁에서 밀려났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실제로 1957년 아시아 독감이나 1968년 홍콩 독감과 같은 새로운 인플루엔자 범유행이 발생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이눌린이 많은 음식이 무엇이며 조리시 왜 달달해지나요
이눌린은 주로 돼지감자나 치커리 뿌리, 야콘, 아스파라거스, 바나나, 마늘, 양파와 같은 채소와 과일에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곡물 중에는 밀과 보리에도 일부 들어있습니다.그런데 이눌린이 조리 할 때 단맛이 강해지는 특성을 가지는 직접적인 이유는 아닙니다. 이눌린 자체는 약간의 단맛을 가지고 있지만 설탕과 같은 강한 단맛을 내지는 못합니다.오히려 이눌린이 함유된 채소를 조리할 때 단맛이 느껴지는 이유는 다른 이유인 경우가 많습니다.물론 이눌린은 여러 개의 과당 분자가 연결된 다당류의 일종이고, 가열과 같은 조리 과정에서 이눌린의 사슬이 짧아지거나 분해되어 프락토올리고당과 같은 더 작은 단위의 당으로 변할 수 있는데, 프락토올리고당은 이눌린보다 단맛이 더 강하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조리 과정에서 채소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원래 함유되어 있던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다른 당들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져 단맛이 더 강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또한 일부 채소는 조리 과정에서 녹말이 분해되어 맥아당과 같은 단맛을 내는 성분이 생성되기도 하는데, 이눌린의 분해와 이러한 변화들이 함께 영향을 줘서 조리된 채소에서 단맛이 느껴지게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복어의 독은 어느 정도로 강격한 독인가요?
복어독으로 알려진 테트로도톡신은 현존하는 자연독 중에서도 손꼽히는 강력한 독입니다.가장 잘 알려진 독인 청산가리, 즉 사이안화칼륨보다도 5배에서 13배 더 강한 맹독입니다.그리고 사람의 경우 최소 치사량은 2mg 정도이며, 최소 중독량은 0.2mg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그리고 보통 복어 한 마리에 들어있는 독의 양으로 성인 33명까지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산란기 직전인 5월에서 7월 사이에는 독성이 더욱 강해집니다.
341342343344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