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포유류에서 유대류는 어떤 특징이 있고 어떤 동물들이 유대류에 속하는 건가요?
유대류의 가장 큰 특징은 임신 기간이 매우 짧고, 태아가 완전히 발달하지 않은 상태로 태어난다는 점입니다.그래서 갓 태어난 미성숙한 새끼는 어미의 배에 있는 육아낭 안으로 들어가 젖을 먹으며 성장합니다.또한 암컷 유대류는 두 개의 자궁과 두 개의 질을 가지고 있고, 일반적으로 태반류 포유류에 비해 수명이 짧은 경향이 있습니다. 서식지도 매우 한정적인데 대부분의 유대류는 오스트레일리아, 뉴기니, 그리고 아메리카 대륙에 서식합니다.유대류에 속하는 대표적인 동물들로는 캥거루, 코알라, 주머니쥐, 월뱃, 태즈매니아데빌, 주머니늑대, 반디쿠트, 쿠스쿠스, 왈라비 등이 있습니다.
Q. 서양란과 동양란이라는 이름은 왜 생긴 것인가요?
먼저 서양에서도 난초가 자생합니다.유럽과 북미 등 서양에도 다양한 종류의 난초가 자생하고 있습니다. 다만, 우리가 흔히 '서양란'이라고 부르는 화려하고 큰 꽃을 가진 난초들은 주로 동남아시아, 중남미 등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이 원산지인 경우가 많습니다.그럼에도 '서양란'과 '동양란'이라는 이름이 생겨난 이유는는 주로 서양의 원예 문화에서 비롯된 분류 방식이기 때문입니다.서양란은 주로 19세기 이후 서양에서 인기를 얻고 개량된 난초들을 지칭합니다. 이 시기 서양의 탐험가들이 전 세계에서 다양한 식물을 들여왔고, 특히 화려하고 이국적인 난초들이 큰 관심을 받았는데 이러한 난초들은 서양의 환경에 맞춰 재배 기술이 발전하고, 품종 개량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습니다.대표적인 서양란으로는 심비디움, 팔레놉시스, 카틀레야, 온시디움 등이 있고 이들은 꽃이 크고 화려하며, 다양한 색상과 형태를 가지고 있어 관상용으로 인기가 높습니다. 원산지는 동양뿐만 아니라 중남미 등 다양한 지역에 걸쳐 있지만, 서양에서 상업적으로 널리 재배되고 유통되면서 '서양란'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습니다.반면 동양란은 주로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오랫동안 재배되고 감상되어 온 난초들을 지칭합니다. 동양에서는 서양과는 다른 기준으로 난초를 감상해 왔는데, 화려한 꽃보다는 은은한 향기, 단아한 잎의 선, 기품 있는 자태 등을 중요하게 여겼습니다.대표적인 동양란으로는 춘란, 소심란, 건란, 보세란 등이 있고, 대부분 동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오랜 역사 속에서 동양의 문화와 함께 발전해 왔기 때문에 '동양란'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Q. 파리는 눈이 매우 발달해 작은 움직임도 잘 감지한다고 하는데요
네, 맞습니다. 파리는 매우 뛰어난 시각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작은 움직임을 감지하는 데 탁월합니다.이는 파리 눈의 독특한 겹눈 구조 덕분입니다.파리의 눈은 수천 개의 작은 낱눈들이 모여 이루어진 겹눈입니다. 마치 모자이크처럼 보이는 이 낱눈 하나하나가 독립적인 시각 수용체 역할을 합니다.그래서 움직이는 물체가 시야를 가로지르면, 그 물체의 상이 연속적으로 다른 낱눈들을 자극하게 되고 각 낱눈은 빛의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합니다. 그럼 이러한 전기 신호들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자극받는 낱눈의 순서를 분석하여 움직임의 방향과 속도를 매우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입니다.
Q. 대왕뱀잠자리는 생김새가 매우 특이한 이유와 어떤 특징을 갖고 있나요?
대왕뱀잠자리라는 종이 없어서 잠시 고민했습니다만, 아마 인터넷을 떠들석하게 했던 그 곤충을 말씀하시는 듯 하네요.사실 뱀잠자리는 잠자리와 이름은 비슷하지만, 잠자리목이 아닌 뱀잠자리목에 속하는 다른 종류의 곤충입니다.특히 말씀하신 것으로 보이는 대륙뱀잠자리나 왕뱀잠자리는 크기가 크고 독특한 외형을 가지고 있어 그렇게 느끼셨을 수 있습니다.뱀잠자리는 유충 때와 성충 때의 먹이가 다릅니다.유충때는 잠자리니 하루살이, 강도래 유충 등 작은 수서생물을 잡아먹는 육식성이지만, 오히려 성충이 되면 주로 나무 수액을 먹습니다.서식 장소의 경우 유충은 깨끗하고 흐르는 물이 있는 계곡이나 하천의 돌 밑에서 서식하고, 성충은 계곡 주변의 야산이나 숲에서 주로 생활하며, 밤에는 불빛이 있는 곳에서도 발견될 수 있습니다.참고로 뱀잠자리는 겉모습은 다소 위협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다른 해충을 잡아먹는 익충으로 분류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