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 몸의 세포는 총 몇가지로 구성되어 있나요?
단순히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최대한 간단히 말씀드리면 우리 몸의 세포는 크게 신경 세포, 근육 세포, 상피 세포, 혈액 세포, 뼈 세포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신경 세포는 그 이름처럼 신호를 전달하여 정보를 처리하며, 근육 세포는 수축과 이완을 통해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피 세포는 몸의 표면을 덮고 보호하며, 물질의 흡수와 분비를 담당합니다. 또 혈액 세포는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 면역 작용을 하는 백혈구, 혈액을 응고시키는 혈소판 등의 역할을 합니다. 뼈 세포는 그 이름처럼 뼈를 형성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세포입니다.
Q. 곤충에게 기생하는 벼룩파리종은 어떤 종인가요
말씀하신대로 벼룩파리 중에서도 특히 개미를 숙주로 삼아 기생하며 숙주의 행동을 조종하는 것으로 알려진 종류가 있는데, 좀비파리라고 불리는 특정 벼룩파리 종들입니다.좀비파리는 주로 아포세팔루스 속(Apocephalus)에 속하는 여러 종의 벼룩파리들을 일컫는데, 이 중에서도 특히 아포세팔루스 보렐리스(Apocephalus borealis)가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서부 꿀벌과 여러 종류의 개미를 숙주로 삼아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아포세팔루스 속의 벼룩파리들도 다양한 곤충에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벼룩파리가 곤충에 기생하는 이유는 자신의 유충이 성장하고 번식하는 데 필요한 환경과 영양분을 얻기 위해서입니다. 암컷 벼룩파리는 숙주의 몸 안에 알을 낳고, 부화한 유충은 숙주의 체액이나 조직을 먹고 자랍니다. 숙주를 조종하는 행동은 유충이 숙주 몸 밖으로 나와 번데기가 되기에 더 유리한 환경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 추정됩니다.하지만, 좀비파리가 숙주를 조종하는 정확한 원리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다만, 신경계를 조작하거나 근육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숙주의 행동을 조종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Q. 벼룩파리는 어떤 파리이며 유해성은 어떠한가요
벼룩파리라고 하시면 'Diplonevra bifasciata'를 뜻하시는 것이라 생각됩니다.우리나라에서 보통 벼룩파리라 칭하는 종이죠.몸길이는 2~3mm 정도로 작고 몸 색깔은 검은색을 띠며, 배 아랫면은 연한 황색입니다. 날개는 길고 약간 검은색을 띠며, 끝부분이 뚜렷하게 검게 흐려지는 특징이 있으며 뒷다리 넓적다리마디의 뒤쪽 절반과 윗가장자리가 검은색인 것이 특징입니다.사실 벼룩파리는 사람을 물거나 질병을 직접적으로 전파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그럼에도 지독한 해충으로 분류되는 이유는 그 생태 때문입니다.벼룩파리는 오염된 환경에서 번식하기 때문에 음식물이나 주방 기구 등에 옮겨 앉아 위생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부패한 음식물이나 하수구, 쓰레기통 주변에서 자주 발견됩니다. 게다가 작고 많은 수가 날아다니거나 실내에 나타나면 위생적인 관점에서 상당한 혐오감을 주게 됩니다.
Q. 버드나무는 어디지역에 잘 살까요??
버드나무는 물가나 습한 땅에서 아주 잘 자라는 식물입니다.특히 강가, 호숫가, 습지 등 물이 풍부하고 햇볕이 잘 드는 곳을 좋아하고, 뿌리를 깊게 내리지 않고 넓게 뻗는 특징이 있어 홍수나 범람에도 잘 견디는 편입니다.버드나무의 종류는 전 세계적으로 약 400여 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다양한 종류의 버드나무가 자라고 있습니다.대표적으로 능수버들, 갯버들, 왕버들, 버드나무, 수양버들 등이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버드나무들입니다.그리고 버드나무의 열매는 작을 뿐만 아니라 솜털 같은 씨앗이 들어있어 먹지 않습니다. 씨앗 자체도 매우 작고 맛도 없을 뿐만 아니라, 일부 버드나무 종의 씨앗에는 독성 물질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Q. 산불이후 고사리가 잘 자라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실제로 많은 경우 산불이 난 지역에서 고사리가 이전보다 더 많이 발견되곤 합니다.그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경쟁이 줄어들고 토양의 환경이 바뀌기 때문입니다.산불은 주변의 나무와 다른 풀, 관목 등 고사리와 햇빛, 물, 영양분을 두고 경쟁하는 식물들을 태워버립니다. 고사리는 비교적 아침 햇살처럼 부드러 햇빛을 좋아하는 식물인데, 주변 식생이 제거되면 더 많은 햇빛을 받을 수 있게 되어 광합성 작용이 활발해지고 성장이 촉진되게 됩니다.또한 산불로 인해 타버린 식물들의 재는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 고사리 생장에 필요한 무기질 영양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데, 특히 칼륨은 고사리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산불로 인한 재는 토양의 pH를 일시적으로 높여주는데, 이러한 변화가 고사리에게는 성장에 긍정적인 요인이 됩니다.그리고 일부 연구에서는 산불로 인한 열이 고사리 포자의 발아를 촉진할 수 있다는 가설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