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전문가
CELL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해양 생물 중 산호는 식물이 아닌 동물에 속한다고 하는데요
산호가 동물적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먼저 산호는 폴립이라는 작은 개체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폴립은 식물처럼 빛을 이용하여 스스로 유기물을 합성하는 독립 영양 생물이 아니라 입 주변에 있는 촉수를 이용하여 플랑크톤과 같은 작은 먹이를 잡아먹습니다.또한 동물 세포는 단단한 세포벽이 없는 것이 특징인데, 산호 폴립의 세포 역시 세포벽이 없습니다. 그리고 동물은 외부 자극에 반응할 수 있는 감각 기관과 신경계를 가지고 있는데, 산호는 비교적 단순한 신경망이긴 하지만 촉수를 움직여 먹이를 잡거나 외부 자극에 반응하는 등의 행동을 보입니다.아마 이동성 때문에 식물이라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즉, 대부분의 동물은 이동 능력을 가지고 있고 산호는 성체가 되면 한 곳에 정착하여 움직이지 못하지만, 유생 단계인 플라눌라 유충 시기에는 자유롭게 헤엄치며 이동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손톱이 빠지면 손톱이 그대로 자라는것 같은데 손톱만 만드는 세포가 따로있나요?
네, 손톱을 만드는 세포가 따로 있습니다.이 세포는 손톱 뿌리 부분의 손톱 기질에 모여 있죠.손톱 기질은 살아있는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세포들이 끊임없이 분열하고 각화되면서 새로운 손톱을 만들어냅니다. 손톱 기질 세포들은 손톱의 형태와 두께를 결정하며 손톱이 자라나는 방향으로 밀어는 것이죠.그래서 손톱이 빠지더라도 손톱 기질이 손상되지 않았다면, 새로운 손톱이 이전과 똑같이 자라나는 것은 바로 이 손톱 기질 세포들 덕분입니다. 하지만 손톱 기질이 심하게 손상되면 손톱이 제대로 자라지 않거나 변형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침대나 이불 진드기는 어떻게 발생하는 건가요?
집먼지 진드기는 자연적으로 침대 내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번식하게 됩니다.주요 유입 경로는 말씀하신 경로가 모두 포함됩니다.사람은 매일 피부 각질을 떨어트리는데, 이 각질은 집먼지 진드기의 주요 먹이가 됩니다. 그래서 잠자리에 들 때 몸에서 떨어진 각질과 함께 진드기가 옷이나 몸에 붙어 침대로 옮겨오는 경우가 많죠. 또한 이미 다른 곳에 서식하고 있던 집먼지 진드기가 사람의 몸이나 옷에 붙어 침대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또한 집먼지 진드기는 매우 작기 때문에 공기 중의 먼지에 섞여 창문이나 문을 통해 집 안으로 들어올 수 있고, 새 침구류에도 제조 또는 보관 과정에서 집먼지 진드기나 알이 묻어 있을 수 있습니다.그 외에도 외부에서 들여온 옷이나 가방, 인형 등에 집먼지 진드기가 붙어 침대로 옮겨올 수 있죠.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단백질이 체내 수분 저장에 도움되나요
네, 단백질은 체내 수분 저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혈액 내의 단백질인 알부민은 삼투압을 유지하여 혈관 내에 수분을 붙잡아 두는 역할을 합니다.그렇다보니 단백질이 결핍되면 체내 수분 부족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좀 더 자세히 설명드리면 알부민과 같은 혈장 단백질이 부족해지면 혈관 내의 삼투압이 낮아져 수분이 혈관 밖으로 빠져나가 조직에 축적될 수 있습니다. 이는 부종의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혈관 내 수분 부족으로 이어져 전반적인 체내 수분 부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또한 심각한 단백질 결핍은 신장 기능을 저하시킬 수도 있는데, 신장은 체내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신장 기능 저하는 수분 배출 조절에 문제를 일으켜 수분 부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개구리의 유충인 올챙이는 어떤 방식으로 성체로 성장하나요?
올챙이가 개구리로 성장하는 과정을 '변태'라고 합니다.이 과정은 매우 천천히 진행되는데, 올챙이의 몸 구조와 기능이 성체 개구리의 모습과 기능에 맞게 완전히 재구성되게 됩니다.갓 부화한 올챙이는 물속 생활에 적합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아가미와 꼬리를 가지고 있고, 입은 수생 생활에 맞는 형태죠.하지만, 특정 시기가 되면 올챙이 몸에서 변태를 유도하는 호르몬 분비가 시작됩니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변화는 뒷다리의 발달입니다. 꼬리 기저부 근처에서 작은 돌기 형태로 나타나 점차 성장하게 됩니다. 뒷다리가 어느 정도 성장하면 앞다리가 발달하기 시작하는데, 앞다리는 처음에는 아가미 덮개 안쪽에 숨겨져 있다가 변태가 진행되면서 밖으로 나옵니다.그리고 다리가 발달함과 동시에 꼬리는 점차 짧아지고 흡수됩니다. 꼬리의 조직은 다른 기관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게 되는데, 이 때 물속에서 호흡하는 아가미 외에 공기 중에서 호흡할 수 있는 폐가 발달합니다. 이 시기에는 올챙이가 물 표면으로 올라와 숨을 쉬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이후 얇고 투명했던 올챙이의 피부가 두껍고 불투명한 성체 개구리의 피부로 변화하게 되고 초식성 먹이에 적합했던 작은 입과 이빨 구조가 곤충 등을 잡아먹기 위한 크고 넓은 입과 끈적한 혀로 변화합니다. 또 눈의 위치와 시력이 변화하여 육상 생활에 적합한 시야를 확보하게 됩니다.마지막으로 폐가 완전히 발달하면 물속 호흡에 필요했던 아가미는 점차 사라지고 식물성 먹이를 소화하기에 길었던 소화기관이 동물성 먹이 소화에 적합하게 짧아지게 됩니다.이러한 변태과정에서 생기는 기관이라면 다리와 폐, 혀, 중이, 피부 등이며 사라지는 기관이라면 아가미와 꼬리, 측선, 이빨 등입니다.
3713723733743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