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전문가
CELL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옥수수 묘목이 3개월 만에 2 m가 넘게 훌쩍 자랐어요
옥수수는 C4 식물로, 햇빛이 강할수록 광합성 효율이 좋기 때문에 정말 빨리 자라죠.특히 직금처럼 온도가 높으면 품종에 따라서는 훨씬 크게 자라기도 합니다.여름날의여인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개회충 양성이면 치료해도 평생 양성으로 뜨나요?
질문이 여러개라서 각각 답을 드리면..알벤다졸은 개회충 알을 직접 사멸시키지는 못하지만, 알이 체내에서 부화하여 성충으로 자랄 수 없게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제 알벤다졸은 성충과 유충을 죽이는 데 효과적이며, 성충이 죽으면 새로운 알을 낳을 수 없게 됩니다. 약물에 의해 직접 죽지 않은 알이라 할지라도, 이 알은 대개 환경으로 배출되거나, 인체 내에서는 부화하여 유충으로 성장하기 어려운 것이죠. 따라서 알이 인체 내에 남아있더라도 유충으로 자라지 못하고 결국 사멸하게 되는 것입니다.죽은 성충과 유충, 그리고 사멸한 알 등은 대부분 배설 과정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또한, 인체의 자정 작용을 통해 분해되어 흡수되거나 배출되므로, 체내에 계속 남아있지는 않습니다. 개회충 감염의 경우, 알벤다졸의 정확한 복용량과 기간은 감염의 심각성, 환자의 건강 상태, 그리고 의사의 진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알벤다졸은 개회충 감염 치료를 위해 1일 400mg을 1회 복용하거나, 경우에 따라 며칠간 연속으로 복용할 수도 있죠.양성에서 음성으로 전환되는 데 걸리는 시간도 개인차가 있지만, 보통 약물 복용 후 수 주 이내에 기생충이 크게 감소하고, 검사상 음성으로 전환되게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우리나라에 아열대기후에 서식하는 벌레들이 발생할 가능성은 얼마나 있을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기후 변화로 인해 우리나라에도 아열대성 벌레나 곤충들이 왕성하게 번식할 가능성은 충분히 있습니다.무엇보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우리나라의 연평균 기온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특히 겨울철 기온이 높아지면서 아열대성 곤충들이 월동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따뜻한 기후에 서식하는 곤충들이 북상하여 정착하는 데 유리한 환경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또한 기후 변화는 강수량과 습도 패턴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일부 아열대성 곤충들은 고온다습한 환경을 선호하는데, 우리나라의 여름철이 점차 아열대 기후와 유사해지면서 이들의 번식에 적합한 조건이 될 수 있습니다.게다가 해외와 물류가 증가하며 꾸준히 유입이 증가하고 있고, 천적이 거의 없다는 점도 큰 원인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쏙독새 깃털은 외부환경에 따라 색의 변화도 가능한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쏙독새는 주변 환경에 따라 깃털의 색을 바꿀 수 없습니다.쏙독새의 깃털은 갈색이나 회색, 검은색 등 나무껍질이나 낙엽과 흡사한 색조와 패턴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선천적인 깃털 색깔 덕분에 낮 동안 나무나 땅 위에서 주변 환경과 완벽하게 어우러져 쉽게 눈에 띄지 않는 것입니다.새의 깃털 색깔은 멜라닌 같은 색소에 의해 결정되며, 쏙독새는 위장에 유리한 색소 분포를 가집니다. 하지만, 카멜레온처럼 주변 환경에 맞춰 깃털 색깔을 능동적으로 바꿀 수는 없습니다. 대부분의 새들처럼 쏙독새도 깃털이 빠지고 새로 돋아나는 탈피를 통해 깃털 상태가 변할 수는 있지만, 색깔을 바꾸는 것과는 다른 것이죠.결롡벅으로 쏙독새가 나무처럼 보이는 것은 타고난 위장 능력 때문이며, 스스로 깃털 색을 조절하는 능력은 없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자와 호랑이는 서로 보면 잡아먹을려고 애를 쓸까요??
만일 자연상태에서 사자와 호랑이가 만난다면 서로 피할 가능성이 높습니다.기본적으로 사자와 호랑이가 자연 상태에서 서로 만날 일이 거의 없습니다. 사자는 주로 아프리카의 사바나나 인도의 일부 지역에서 무리 생활을 하는 반면, 호랑이는 아시아의 숲, 초원, 습지, 심지어 러시아 극동의 추운 지역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단독 생활을 합니다. 물론 인도의 일부 지역에서는 서식지가 겹치는 경우가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 실제로 만날 확률은 극히 낮습니다.그리고 사자와 호랑이는 모두 해당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입니다.이는 일반적으로 먹이가 풍부한 상황에서 굳이 자신과 비슷한 힘을 가진 다른 최상위 포식자와 위험한 싸움을 벌일 필요가 없다는 것을 뜻합니다. 불필요한 싸움은 큰 부상을 입을 수 있고, 이는 곧 사냥 능력 저하는 물론 생존의 위협으로 직결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로를 직접적으로 잡아먹으려 하기보다는, 경쟁 관계에서 영역을 주장하거나 상대방을 피하는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363738394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