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전문가
CELL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우리나라에 사는 텃새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우리나라에 텃새들은 상당히 많습니다.약 50여종의 텃새가 있으며 대표적으로 쉽게 볼 수 있는 참새와 까치, 박새, 곤줄박이, 직박구리, 물까치, 황조롱이 등이 대표적이죠.이 외에도 기억다는대로 적어본다면 꿩, 멧비둘기, 쇠박새, 붉은머리오목눈이, 까마귀, 어치, 쇠딱따구리, 큰오색딱따구리, 굴뚝새, 동고비, 쇠솔딱새, 흑비둘기, 솔부엉이, 쇠부엉이, 올빼미, 소쩍새, 노랑턱멧새, 방울새, 콩새, 되새, 멧새, 붉은머리촉새 등도 대표적인 텃새들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해삼은 몇등분을 해도 살아난다는 사실이 맞나요?
어느정도는 사실입니다.실제 해삼은 피부나 근육, 내장, 심지어 신경계까지 재생할 수 있습니다. 잘린 조각에서 새로운 개체가 완전히 형성될 수 있을 정도입니다. 이렇게 해삼은 다양한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줄기세포를 가지고 있으며, 이 세포들은 손상된 조직을 복구하고 새로운 기관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그렇다고 해서 해삼이 아무리 잘려도 죽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몇 가지 요인에 따라 해삼은 재생을 못하고 죽을 수도 있습니다.해삼의 재생 능력은 절단된 부위와 크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너무 작게 여러 조각으로 잘리거나, 주요 기관이 심하게 손상될 경우 재생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또한 해삼이 잘린 후 놓이는 환경 조건도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수온, 염도, 오염 등 환경이 좋지 않을 경우 재생 과정이 방해받거나 감염으로 인해 죽을 수 있습니다.즉, 말씀하신대로 몇 등분을 해도 살아남을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재생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안녕하세요.식물학자 린네는 어디사람인가요?
'칼 폰 린네'를 말씀하신다면 스웨덴의 식물학자입니다.그는 1707년 5월 23일 스웨덴 남부 스몰란드 지방의 작은 마을인 로슈훌트에서 태어났습니다.린네는 생물 분류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생물의 속명과 종명을 나란히 쓰는 이명법을 창안했습니다.말씀하신대로 인간을 '호모 사피엔스'라 하고 개를 '카니스 파밀리아리스'라 명명한 것도 린네이며 절대 불변하지 않는 것은 아니며 분화 또는 연구 과정에 다른 종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죽기 직전 겪는다는 회광반조현상의 원인이 무엇인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과학적으로 명확히 이유가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죽기 직전에 나타난다는 '회광반조' 현상은 의학적으로 '임종기 섬망' 또는 '사망 전 급증'이라고도 불립니다. 이 현상은 임종을 앞둔 환자가 갑자기 정신이 맑아지거나 활력을 되찾는 것처럼 보이는 상태를 의미하죠. 하지만 앞서 말씀드렸 듯 이 현상을 과학적으로 증명하지는 못했습니다.하지만 대표적인 몇 가지 가설이 있습니다.첫번째는 신경전달물질의 변화가 원인이라는 것입니다. 임종 시 뇌에서 발생하는 급격한 신경화학적 변화가 일시적으로 인지 기능과 각성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설입니다. 예를 들어, 엔도르핀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급증이 통증을 완화하고 기분을 좋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죠.두번째는 뇌의 기능적 변화가 원인이라는 것입니다. 뇌의 특정 영역이 손상되거나 기능이 저하되면서 억제되었던 다른 영역이 일시적으로 활성화되어 나타나는 현상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세번째는 호르몬이 원인이라는 것입니다.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이나 아드레날린의 급증이 일시적으로 신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설입니다.네번재는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변화가 원인이라는 가설입니다. 세포 내 에너지 생성 기관인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변화가 일시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하여 나타나는 현상일 수 있다는 것이죠.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가설에도 불구하고 회광반조 현상은 아직 과학적으로 완전히 설명되지 않은 현상이죠.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카피바라들은 무슨 생각을 하고 사나요?
사실 카피바라는 사회성이 매우 뛰어난 동물입니다.무리생활을 하며 서로 털을 골라 주거나 새끼를 함께 돌보는 등 유대감을 매우 중요시 하는 동물이죠.그러나 이러한 사회적 행동은 카피바라가 끊임없이 주변 환경과 동료들을 관찰하고 소통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또한, 카피바라는 위험을 감지하는 능력이 뛰어나 포식자의 접근을 빠르게 알아차리고 무리에게 알립니다. 즉, 겉으로는 평온해 보이지만, 카피바라는 주변 상황을 끊임없이 인지하고 분석하며 살아가고 있는 것입니다.그리고 카피바라의 평온함은 그들의 생태적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카피바라는 온순하고 느긋한 성격을 가지고 있어 스트레스를 덜 받는 편이며, 무리 생활을 통해 안정감을 느끼고, 서로에게 의지하며 살아갑니다.
5265275285295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