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전문가
보건복지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엉덩이 종기가 붓기만 하고 고름도 없고 안터지는데 이대로 있어도 되는가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엉덩이 종기가 반복적으로 붓기만 하고 고름이 안 나오면 피부 밑 깊은 염증이나 농양 형성 전 단계일 수 있습니다터지지 않고 가라 앉았다 다시 생기는 것은 만성화되거나 모낭 피지샘이 막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운동을 하면 마찰 압박으로 염증이 심해질 수 있으니 종기 악화 시에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계속 반복된다면 외과 진료 후 절개 배농이나 항생제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손목 위 부분이 부었는데 왜 그런걸까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손목 위 부분이 만졌을 때만 부어 보이고 살짝 아픈 경우는 힘줄 주변의 건총며 작은 낭종 정맥 팽창 등이 흔한 원인입니다.겉으로 붓기가 안 보이는 데 만졌을 때만 튀어나온 느낌이 난다면 갱그리온 가능성이 있습니다. 갑작스럽게 생겼다면 일시적 혈관 팽창이나 미세 염증일 수도 있습니다. 통증이 심해지거나 붓기가 커지면 정형외과에서 초음파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형외과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오른쪽 가슴밑통증 은 무엇때문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오른쪽 갈비뼈 밑 통증은 늑간신경통 늑연골염, 근육긴장 같은 근골격계 원인이 흔합니다. 움직임이나 압박 시 심해진다면 심장 폐 간 보다는 근골격계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다만 숨쉬기 힘들 정도의 통증이 반복되면 폐나 담낭 등 내과적 질환도 재베할 수 없습니다. 증상이 지속되면 흉부외과 내과 진료와 영상 검사로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정형외과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발가락 부분 일부 변색, 순환기내과 치료 가능성?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발가락이 검게 변한 것은 혈류 장애 가능성이 있어 외과와 함께 순환기내과 진료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같은 병원 내에서 동시에 진료 시청해도 의사들이 기분 나빠하지 않으며 오히려 협진이 도움이 됩니다. 외과는 주로 괴사 상처 관리 및 수술적 치료를 담당하고 순환기내과는 혈관 상태 혈류 개선 치료를 중점으로 합니다!
정형외과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검지 손가락 끝이 가끔 마비가 되는데 어떤 경우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설명해주신 증상은 추위나 자극 시 손가락 끝 혈관이 수축하는 레이노 현상 가능성이 높습니다.피가 안 돌고 하얗게 변했다가 따뜻해지면 풀리는 것이 특징적입니다. 단순 혈액순환 문제일 수도 있지만 자주 반복되면 혈관 질환이나 자가면역 질환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잦아진다면 혈관외과나 류마티즘내과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정형외과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인대 손상의 경우 회복되는데 보통 얼마나 걸리나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인대 손상은 손상 정도에 따라 회복 기간이 달라집니다. 경미한 염좌는 보통 2~4주 부분 파열은 4~8주 정도 회복이 필요합니다. 완전 파열일 경우는 수술 및 재활까지 수개월 이상 걸릴 수 있습니다.발가락 부위는 체중 부하가 많아 회복이 더딜 수 있어 보호대 착용과 휴식이 중요합니다!
정형외과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발목을 내회전에서 외회전으로 돌릴 경우에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발을 내회전>외회전으로 돌릴 때 주로 둔근과 외회전근이 작동합니다. 이때 발꿈치에 힘을 주면 고관절 안정화가 일어나면서 골반저근 코어 근육이 보조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즉 직접적으로는 엉덩이 근육이 주 작용 근육이고 간접적으로 골반기저근이 함께 긴장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골반저근이 주동근은 아니고 자세 안정화 과정에서 동시활성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정형외과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오른쪽 어깨랑 팔 위에가 너무 아파요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오토바이 사고 후 어깨와 팔 위쪽 통증은 근육 손상, 인대 손상, 골절 가능성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충격이 강했다면 단순 근육 놀람보다 관절이나 뼈 손상 가능성이 높습니다. 통증이 심하고 움직이기 어렵다면 정형외과에서 xray 또는 mri검사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일시적인 근육통으로 가볍게 보기보다는 즉시 진료를 권장합니다!
정형외과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깁스나 부목을 잘때만 하면 안낫나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부분 인대 파열은 손목 안정이 중요한 상태라 깁스나 부목을 잘 때만 착용하면 회복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일상에서 통증이 없어도 손목을 꺾거나 힘을 쓰는 동작 시 인대에 부담이 가기 때문에 지속적인 보호가 필요합니다.처방된 4주 반깁스 기간 동안 가급적 지속 착용하며 증상 없을 때만 잠시 빼는 정도가 안전합니다. 점차 회복되면 전문의 지도하에 부목 착용 시간을 줄여도 됩니다!
정형외과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무릎 MRI 진단 평가가 의사마다 상이해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Mri 해서은 의사 경험과 전문 분야에 따라 세부 소견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연골에 물이 조금 차거나 뼈 연골변화 반월상연골판 퇴행성 변화 모두 활동 과사용과 연관된 경미한 소견일 수 있습니다.현재 통증이 없고 불편감이 사라졌다면 회복 중인 상태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운동은 통증 없을 때 천천히 재개하고 증상 재발 시 전문의와 상의해 점진적으로 조절해보세요!
106
107
108
109
1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