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성균관대 영문학 및 신문방송학과 전공

성균관대 영문학 및 신문방송학과 전공

장경수 전문가
동화세상에듀코
Q.  알프호른은 어떤 용도로 만들어진 악기인가요?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알프호른은 오랫동안 목동들이 사용해왔던 기구로서 우유 짜는 시간에 목초지에서 헛간으로 암소들을 불러들일 때 쓰였다. 1754년 만들어진 판화에는 알프스의 가파른 언덕을 한참 올라온 소들이 마지막 힘을 내도록 북돋기 위해 목동이 알프호른을 부는 모습이 조각되어 있다. 1595년에 제작된 에멘탈(Emmental) 계곡의 글라스 페인팅에선 우유를 짜는 동안 소들을 달래기 위해 알프호른을 부는 장면을 볼 수 있다. 저녁 시간 알프호른을 부는 것은 예술작품에 자주 사용되던 전통 테마이다. 이 소리는 주로 개신교 주(州)에서 저녁 기도를 위해 연주되었으며 반면 중앙 스위스의 독일어를 사용하는 카톨릭 주(州)에서는 기도의 시작을 알리는 데 많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알프호른은 주로 계곡 아래 사람들과의 연락수단 그리고 알프스 지역의 목동 간 통신수단의 기능을 했다.
Q.  쇼펜하우어는 여성을 비하하는 발언을 많이 했다던데 정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양의 "불교 사상"을 받아들여, "염세주의 철학"으로 유명한, 독일의 철학자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는 "여성 혐오자"로도 유명하다. "쇼펜하우어"가 여성을 혐오한 이유는, 그의 어머니 때문이라고 하는데, 당대 유명한 여류 "소설가"이면서 "페미니스트"였던, 쇼펜하우어의 어머니인 "요한나 쇼펜하우어"와 독일의 항구 도시인 "단치히"와 "함부르크"에서 "장사"를 하면서, 착하고 성실했지만, 내성적인 성격으로, 자신하는 "사업"에만 충실했던, 쇼펜하우어의 아버지인 "하인리히 쇼펜하우어"는, "부부생활"이 원만하지 못했던 거같다. 결국, "부부싸움"에 지친, 쇼펜하우어의 아버지가 "자살"을 해버리자, 쇼펜하우어의 어머니는, 죽은 남편이 아착같이 벌어놓은 재산들을 팔아서, "까페"를 차리고, 그당시에 "유명 인사"인, 많은 남자들과 "교제"를 하면서,각종 "염분"을 뿌렸다. 그에 대한 "반사작용"으로, 쇼펜하우어는, 자신의 "착한 아버지"를 죽게 한, 자신의 "나쁜 어머니"에 대해서 "혐오"를 갖게 되었던 것같다.그래서 쇼펜하우어는, "여자는 오로지 종의 번식을 위해서 창조되었다"라든지, "여자는 마음속으로, 남자가 해야할 일은, 돈을 버는 것이고, 여자가 해야할 일은, 돈을 쓰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여자는 힘이 약해서, 힘보다는 술이나 책에만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다"든지, "나는 여자보다 개가 좋다"라는 얘기 등을 하면서, 여성을 혐오했던 것이다.
Q.  크리스마스 트리는 언제부터 어떤 문화에서 시작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8세기경 독일에 파견된 선교사 "오딘"은 신성하다는 떡갈나무에 사람을 제물로 바치는 야만적 풍습을 중지시키기 위해 옆의 전나무를 가리키며 " 이 나무 가지를 가지고 집에 돌아가 아기 예수의 탄생을 축하하라"고 설교한데서부터 비롯됐다는 것이다.
Q.  권율은 문관임에도 어떻게 장군의 직위를 맡았나요?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권율 장군은 임진왜란 초기 당시 의주 목사, 즉 수령이었다. 수령은 당연히 문관이다. 임진왜란 초기 수도 한양이 함락되었을 때 권율 장군은 전라도 순찰사의 지휘를 받아 전라도 인근의 근왕군을 끌어모라 동료 수령들과 함께 한양을 통해 북상한다.수원 인근에서 일본군과 마주친 권율은 '적의 대군이 코앞이니 우선 매복하며 명을 기다립시다.' 는 신중론을 펼쳤지만 함께 올라가는 상관이 동의하지 않았고 그렇게 임진왜란 조선육군 대패의 역사 중 하나인 용인전투를 치르고 패퇴한 뒤(이때 권율이 이끈 병사들은 질서있게 후퇴가 가능했다고) 남원으로 돌아와 다시끔 병사를 모으며 다음을 준비한다.그리고 곧, 남해에서 이순신장군의 수군이 활약을 시작하고 이에 따라 일본군의 보급선이 흔들리기 시작했을 때 일본군은 당연히 유리한 육지에서의 전력을 바탕으로 이순신 장군을 옥죄고자 전라도 지역으로 진격하기 시작했고 이 때 전라도 지방으로 진격하는 일본군을 차단한 것이 바로 권율 장군의 이치 전투이다.이후 이어진 독선산성 전투에서 3천 명의 일본군을 죽이며 기세를 올린 권율 장군은 일본군이 점령하고 있는 한양을 재점령할 기회를 노리기 위해 행주산성으로 그 다음 행보를 결정한다.요약하자면 문관 출신의 지방 도시 수령이었지만 난세를 겪으면서 지휘관으로써의 능력이 발화, 후세 사람들의 기억에 '장군'으로 기억되게 된 것이다
Q.  이슬람에선 과거에 청색을 좋아하고 귀하게 여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무슬림들은 특히 초록색을 선호한다. 그 이유로 첫째 무함마드의 깃발과 네 번째 칼리프 '알리'와 그의 둘째 아들 후세인의 로브(길고 헐거운 겉옷)의 색이었다. 특히 쉬아파에서는 그들의 모습이 그려진 그림을 보면 그들은 초록색 터번을 두르거나 초록색의 외투를 입은 모습을 볼 수 있다. 무함마드의 자손들은 초록색을 그들의 통치의 표식이라고 생각했다. 쉬아파 종주국인 이란에서는 돔이 초록색 모스크나 초록색 터번을 두른 무슬림 남성들은 볼 수 있다.둘째, 사막과 암석이 대부분인 중동의 척박한 환경에서 생명과 번영을 상징하는 색으로 무슬림들이 선호한다. 셋째, 초록색은 기쁨, 성공, 희망과 평화를 상징하기 때문에 모스크, 집안 내부, 왕실, 부족 및 가족의 상징으로 종종 초록색으로 칠한다. 넷째, 꾸란(76:21)에서는 전통적으로 이슬람을 초록색으로 표현하며 낙원의 사람들이 초록색 실크로 만든 옷을 입을 것이라고 한다. 수피는 이슬람의 신비주의적 분파로써 색의 상징적 의미가 있다. 여러 가지 색으로 된 옷 물람마(mulamma)는 신비주의자가 거쳐야 할 모든 단계를 통과한 사람이 착용했다.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