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성균관대 영문학 및 신문방송학과 전공

성균관대 영문학 및 신문방송학과 전공

장경수 전문가
동화세상에듀코
역사
역사 이미지
Q.  윤석열 대통령의 이름을 어떻게 발음하는 것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동안 온라인가나다엔 윤 당선인 이름의 정확한 발음에 대한 질문이 꾸준히 올라왔다. 국립국어원은 당초 ‘둘 모두 가능하다’고 했다가 나중에 ‘‘윤서결’이 적절하다’고 시정하면서 혼란스럽다는 이용자 반응도 나왔다.지난 11일 한 이용자가 ‘(윤 당선인 이름을) ‘윤성녈’이라고 부르면 왜 잘못됐는지’ 다시 질문하자 지난 14일 국립국어원은 “인명과 같은 고유 명사를 발음하는 방식이 엄격히 규정돼 있지 않아 말씀하신 발음(윤성녈)을 틀렸다고 볼 근거는 딱히 없다”면서도 “다만 해당 인명의 표기나 구성 한자, 일반적인 발음 현상을 두루 고려했을 때 ‘윤서결’로 발음될 가능성이 높겠다고 본다”라고 답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진나라를 만든 진시황은 어떻게 죽었나요?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견해1: 한가지 견해는 진시황이 "놀라고 피로가 쌓였으며' '외상으로 유발된 결핵성 뇌막염'으로 사망했다는 것이다.이 견해를 주장하는 근거는 진시황의 죽음에 대하여 >에 많이 기술되어 있다는 것이다. 각각 >, >, >등에 기록되어 있는데, 사인이 명확하고 의문의 여지가 없다는 것이다.견해2: 궁중쿠데타로 죽었다는 설이 견해를 취하는 사람은 주로 진시황의 사망상황에 대한 사서의 기록을 자세히 살펴보면 의심스러운 점이 있다는 것이다. 이 견해를 취하는 사람들 중에서도 호해(胡亥)와 조고(趙高)중 누가 주모자인지에 대하여 의견이 엇갈린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중국어는 성조가 있는데 노래할 때는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답은 바로 ‘없다’입니다. 성조가 중요하긴 하지만 노래에선 멜로디가 중요하기 때문에 성조를 따르다보면 멜로디를 짜는데 어려움이 많겠죠? 또한 중국 프로그램들도 대부분의 방송이 자막을 제공하기 때문에 중국인들도 노래를 들을땐 가사를 보고 들어 성조 없이 들어도 의미상 해석이 가능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수라상에는 어떤 음식들이 올라갔나요?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수라상에 올리는 기본 음식과 12가지 반찬은 다음과 같다. : 밥(흰밥·팥밥)·국(미역국·곰국)·김치(섞박지·깍두기·동치미)·장(초간장·초고추장·겨자즙)·조치(젓국조치·고추장조치)·찜(갈비찜)·전골 등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화폐는 언제 최초로 유통되고사용했나요?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록상 인류 최초의 화폐는 기원전 2100년경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사용된 '조개류 화폐'로 우르남무 법전(수메르어로 기록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법전)에 그 사용기록이 있다.일찍이 함무라비 법전에서 미나, 성경에서 셰켈이라는 화폐 단위가 언급된 것으로 보아 화폐의 사용은 오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존하는 서양 최초의 주화는 현재의 터키 인근의 리디아 왕국에서 사용되던 금화인 리디아 금화로, 금과 은이 풍부하게 산출되던 것에서 연유한 엘렉트론 화폐이다. 본래 주화의 도안은 주로 신의 형상이었으나, 기원전 5세기 아케메네스 제국 들어서야 신 대신 군주 모습 새긴 주화가 발행되었다. 그리고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기에 인물 도안의 주화가 보편화되었다. 이후 지중해 해안의 국가들에서 은제 주화가 사용되었으며 대표적으로 고대 그리스의 드라크마가 대표적이다. 로마 제국에서는 은화인 데나리우스나 금화인 아우레우스 등이 쓰였고, 이후 콘스탄티누스 1세의 개혁으로 솔리두스 금화로 대체된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요시다 쇼인의 정한론은 이토 히로부미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나요?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10년 일본의 시사잡지 〈日本及日本人〉는 이토 히로부미가 사이고 다카모리에게 닭을 바치는 모습을 그린 삽화를 실었다. 이 삽화의 왼쪽 상단에 “韓國倂合完成‘이라는 제목이 기재되어 있으며 날짜는 1910년 8월 28일로 되어 있었다. 이것으로 미루어 이 잡지가 한국병합에 즈음하여 이 삽화를 게재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삽화에 이토가 등장하지만 당시 이토는 이미 이 세상 사람이 아니었다. 그림 속의 닭은 조선을 상징하고 있으며 그림은 이토가 저승에 가서 사이고에게 조선을 바치고 있는 것을 묘사한 것이었다.이 삽화에 이토와 함께 등장하는 사이고 다카모리는 메이지유신의 주역이었다. 사이고는 1870년대 초 조선과의 서계문제를 둘러싸고 정한론 소동이 벌어졌을 무렵 정한론을 강경하게 주장한 인물이었다. 심지어 이 문제를 둘러싸고 반정부군을 조직하여 이른바 세이난전쟁(西南戰爭)을 벌이기까지 하였다. 사이고는 이 전쟁에서 패배하고 자결하였다.한편 이토는 정한론 소동 당시 사이고 다카모리와는 달리 정한론에 반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정한론자들이 떠나가자 그들의 빈 자리를 메워 참의 겸 공부경(工部卿)으로 영전하기까지 하였다. 즉 정한론 소동 당시 이토는 사이고의 정적이었던 셈이었다. 이토가 정한론에 반대하였다고 하더라도 조선에 대해 우호적인 생각을 하고 있었던 것은 결코 아니었다. 조선 침략이라고 하는 기본방침은 마찬가지였다. 다만 시기와 방법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었을 뿐이었다.이후의 역사가 말해주듯이 이토는 일제의 조선 침략을 사실상 완성한 인물이었다. 사이고가 일찍이 주창했던 정한론은 비록 많은 시간이 걸리기는 하였지만 이토에 의해서 실행된 셈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위 삽화에서는 이토가 메이지 유신 당시 동지였던 사이고에게 조선을 바친 것으로 묘사한 것이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율과 률의 사용법에 대해 쉽게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율을 써야 하는 경우는 앞 글자가 ㄴ’ 받침으로 끝날 때 씁니다. 또한, 앞 글자에 받침이 없을 때도 쓰이죠!'ㄴ 받침’ : 출산+율 / 환+율 / 백분+율 / 이혼+율 / 할인+율 / 선+율 ‘받침 없을 때’ : 실패+율 / 청취+율 / 감소+율 / 비+율률은 ‘ㄴ’ 을 제외한 모든 받침 뒤에 쓴다고 생각하면 됩니다.예를 들어, 취업+률 / 적중+률 / 합격+률 / 경쟁+률 / 직+렬 / 병+렬 등의 예시를 들 수 있겠죠
역사
역사 이미지
Q.  신라가 당나라와의 전쟁에서 이길 수 있었던 주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나당전쟁의 근본적인 원인은 백제 · 고구려 멸망 이후 나당간의 영토문제라고 할 수 있다. 신라는 백제 · 고구려 멸망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지만 승전의 대가는 아무 것도 없었다. 이후 당은 백제 옛 땅에 웅진도독부(熊津都督府)를, 고구려 옛 땅에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를 설치하여 직접 지배하고자 하였다. 영토 문제 외에 좀 더 직접적인 원인으로는 나당전쟁을 주도한 신라 수뇌부의 입장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나당연합이 결성되어 백제와 고구려를 원정하는 과정상에서 당에 의한 신라 군령권(軍令權) 침해가 위험수위에 다다랐으며, 그에 따른 신라 왕과 신라 군부의 반발이 거세었던 것으로 추정된다.또한 평양을 견제할 수 있고 한강하류 일대를 방어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전략요충지인 비열홀(比列忽: 함경남도 안변, 현재 북한의 강원도 안변군)을 둘러싼 나당간의 갈등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비열홀은 고구려 멸망 이전 신라가 장악하였으나, 고구려가 멸망하자 당은 안동도호부로 귀속시키고자 하였다. 나당전쟁의 원인은 기본적으로 나당간의 영토문제라고 할 수 있지만, 직접적으로는 신라 군부의 불만이 크게 작용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나당전쟁의 결정적 전투는 매소성 전역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 전역에서 당은 패배 내지는 실패하였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당의 대규모 원정군이 수년간 투입되어 영토나 인력 · 재물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10만 이상 투입된 당의 대규모 원정은 하북도(河北道) · 하남도(河南道) · 강남도(江南道)의 병력을 동원하여 이루어졌다. 나당전쟁의 종결과 함께 이들은 귀국길에 올랐고, 이들의 귀국은 당 정국에 상당한 파장을 미쳤다.당은 676년 11월과 12월에 나당전쟁의 후유증을 무마하기 위해 개원(改元)과 대사면(大赦免)를 실시하고, 반군부세력인 이경현(李敬玄)을 중서령(中書令)으로 삼았다. 나아가 대규모 순무사(巡撫使)를 나당전쟁과 관련된 지역으로 파견하여 민심 수습에 주력하였다. 중국 동부 지역이 나당전쟁에서 병력과 물자를 충원하던 지역임을 감안해 보면, 당은 나당전쟁의 결과 상당한 타격을 입었던 것으로 추정된다.나당전쟁은 당시 최강대국 당과 동북의 변방국인 신라 사이에 벌어진 대규모 전쟁이었다. 이 전쟁에서 당이나 신라 어느 한 쪽이 일방적으로 승리하거나 패배하였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그러나 당시 일련의 상황을 종합해볼 때 당은 공세를 지속하였으나 신라가 당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아내며 당의 보급문제를 야기시켰던 것은 분명하다. 당은 원정군의 보급문제 · 국내의 여론악화와 더불어, 토번의 서북변경 위협이라는 직접적인 요인으로 인해 한반도에서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소성왕은 어떤 인물이었는지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전대인 38대 원성왕의 큰아들인 김인겸(金仁謙)의 아들로 이름은 김준옹(金俊邕)이다. 아버지 혜충태자(惠忠太子)가 일찍 죽고, 또 그 뒤를 이어 태자가 된 숙부 김의영(金義英)이 원성왕보다 먼저 죽는 바람에 손자인 김준옹(金俊邕)이 태자가 되고, 798년에 원성왕이 죽자 할아버지의 뒤를 이어 그해 12월 29일에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소성왕도 재위 3년째인 800년에 죽으므로 2년도 되지 않는 짧은 치세를 남겼다. 말하자면 이렇다할 업적을 남기지 못했다는 것이다. 즉위하던 해에 청주(지금의 경상남도 진주시)의 거로현을 학생녹읍으로 설정하여 국학을 지원하고 장려하였다는 것이 업적의 전부라고 할 수 있다. 798년이 다 저문 12월 29일에 즉위함으로 많은 기록들은 그의 재위 기간을 799년에서 800년으로 기록하고 있다. 그래서 재위 2년에 죽은 것으로 되어 있다. 왕이 되기 전에는 신라의 높은 관리로 꽤 많은 일을 했다. 789년에는 당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와서 대아찬이 되었고, 790년에는 파진찬으로 재상의 반열에 올랐다. 왕자, 왕족이 재상이 되는 것이 뭔 대수겠느냐마는 그는 이후에도 시중이 되고, 병부령으로 재직하기도 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왕의 할머니 증모할머니에대한 호칭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엄밀하게 말하자면 대비는 왕의 어머니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닌 선왕의 왕비를 지칭합니다. 현왕과 선왕은 부자관계가 아닐 수도 있으니까요.선왕이 사망하면 왕비가 대비가 되고 대비는 왕대비가 됩니다. 그리고 현왕이 사망하게 되면 대비는 대왕대비가 되고 현왕의 증조모 고조모는 별도의 호칭이 있는 것이 아니라 모두 모두 대왕대비가 됩니다.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