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잠정실적 발표하고 다시 분기 실적을 발표하던데 잠정실적을 왜 먼저 발표하나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특정기업이 잠적실적을 먼저 발표 하는 이유,모든 기업이 잠정실적을 발표하는 것은 아니지만 말씀하신대로 특정기업, 즉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삼성전자, LG전자등)의 경우에는 먼저 발표합니다. 그리고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체계적인 재무 시스템 덕분에 빠르게 실적을 집계하고 먼저 발표합니다. 잠정 실적 발표가 의무사항은 아닙니다. 이를 실시하는 기업들은 투자자에게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려는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서 먼전 발표합니다.
Q. 원리금 균등상환과 체증식 상환 중 이자를 덜 내는 방식은 어떤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원리금 균등상환방식이 총 이자 부담이 더 적습니다. 그러나 총 이자 부담이 적다고 해서 좋은 선택이라고 할 수는 없고 본인이 자금계획과 매월 현금흐름을 생각하여 이자상환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원리금균등과 채증식 상환방식의 예시,대출원금 3억원, 상환기간 30년, 대출이자 연 5% 일 경우1. 원리금 균등상환방식(매월 동일한 금액 원금+이자 상환), 초기에는 이자 비중이 높고, 시간이 지날수록 원금 비중이 높아집니다. 그래서 30년 동안 총 납부하는 이자는 약 2억 7,976만원 입니다.(원금제외)2. 체증식 상환방식(초기에는 낮은 금액으로 시작해 점차 상환액이 증가) 초기 10년 동안은 주로 이자만 상환하고, 이후 원금 상환 비중이 높아집니다. 총 이자는 약 3억 2,103만원이 됩니다.따라서 단순 이자 총부담에서는 체증식 상환방식이 원리금 균등상환방식보다 약 4,127만원의 이자를 더 내게 됩니다.비교해 보면, 원리금 균등상환은 총 이자가 적지만 초기 상환 부담(이자+원금)이 큽니다. 그러나 체증식 상환의 경우는 초기 상환 부담(10년 동안 이자만 납부함으로)이 적지만 총 이자가 많습니다.따라서 원리금 균등과 채증식의 선택에서는,1. 현재 소득이 적지만 향후 증가가 예상된다면 체증식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2. 장기적으로 이자 부담을 줄이고 싶다면 원리금 균등상환이 좋습니다.3. 주택 가격 상승을 예상하고 단기간 보유 후 매각할 계획이라면 체증식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Q. 블록체인에서 DePIN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DeFi가 금융 서비스를 탈중앙화했다면, DePIN은 물리적 인프라를 탈중앙화하는 개념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Wi-Fi 네트워크의 생각해 보면, 대형 통신사가 Wi-Fi 핫스팟을 설치하고 관리하고 사용자는 이 회사에 돈을 지불하고 서비스를 이용합니다. DePIN 방식에서는 개인이 자신의 집이나 사무실에 소형 Wi-Fi 장치를 설치하고 이 장치들이 모여 대규모 Wi-Fi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네트워크 사용자들은 이용한 만큼 암호 화폐로 비용을 지불하고 장치 설치자는 네트워크 제공에 대한 보상으로 암호 화폐를 받습니다. 클라우드 저장소를 생각해 보면 구글 드라이브나 드롭 박스 같은 대형 기업이 데이터 저장 서비스를 제공하면 사용자는 이 회사들에게 비용을 지불하고 저장 공간을 이용합니다.그러나 DePIN 방식에서는 개인이 자신의 컴퓨터나 하드 드라이브의 남는 공간을 네트워크에 제공하고 이 공간들이 모여 대규모 분산 저장소를 형성합니다. 그리고 저장 공간이 필요한 사람은 이 네트워크를 이용하고 암호화폐로 비용을 지불하고 저장 공간을 제공한 사람은 보상으로 암호화폐를 받습니다.DeFi와 DePIN의 차이점DeFi 가 금융 서비스의 탈중앙화 (대출, 거래, 보험 등)라면 DePIN는 물리적 인프라의 탈중앙화 (저장소, 네트워크, 에너지 등)를 말합니다. DePIN은 블록체인 기술을 실제 물리적 세계와 연결하여, 더 효율적이고 접근성 높은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Web3 기술의 실용적 응용을 보여주는 새로운 트렌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Q. 정부의 한국은행 마통 사용에 대한 장단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개인이 생각해 보면 쉽게 이해될듯합니다. 개인이 은행에서 한도거래(마이너스통장)을 사용하는 이유와 비슷합니다. 다만, 정부는 국민을 위한 정책을 목적으로 사용한다는 명분을 세우고 있습니다. 정부의 차입(마통)의 장점은 세수 부족 등으로 인한 일시적 자금 부족을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겠습니다. 60일 이내의 단기 차입은 정부의 재정 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예상치 못한 재정 수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고 국채 발행에 비해 절차가 간단하여 신속한 자금 조달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단기 차입금은 잔고만 공개되어 정부의 실제 재정 상태를 파악하기 어렵게 만들고 예상치 못한 통화량 증가로 유동성이 늘어나 물가 관리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차입은 시장의 자금 흐름을 왜곡시킬 수 있고 쉬운 자금 조달로 인해 정부의 재정 규율이 느슨해질 수 있습니다. 더욱이 차입에 따른 이자 비용이 발생합니다. 2023년의 경우 1,500억 원의 이자가 발생했습니다.정부의 한국은행 단기 차입은 일시적인 재정 관리 도구로 유용할 수 있지만, 과도한 사용은 재정 건전성과 경제 안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Q.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있는데 어떤일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FOMC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내의 핵심 정책 결정 기관으로 총 12명의 위원으로 구성되고 이중 FED 이사 7명이 있습니다. 뉴욕 연준 총재는 고정 멤버이며 나머지 11개 연준 총재 중 4명은 윤번제로 선출합니다.FOMC의 주요 역할은 통화정책 결정, 기준금리 결정(연 8회 정례회의를 통해 미국 기준금리를 결정), 공개시장조작, 경제 전망(연 4회 경제전망요약을 발표)을 합니다. 특히 연준회의는 연간 8회 정례회의 개최하고 회의 결과는 국제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의사록은 정책 결정 3주 후 공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