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CFA라는 자격증이 있던데 이는 정확히 어떤 자격증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CFA는 Chartered Financial Analyst 의 약자로 국제 재무 분석 전문가 자격증으로 투자와 관련된 모든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자격증입니다.주관사는 미국 버지니아 주에 있는 CFA Institute에서 관리하고총 3개의 Level(1, 2, 3)로 구성되며 각 Level은 연 1-4회 시행되며, CBT(Computer Based Testing)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시험 내용은 재무관리, 통계학, 경제학, 재무제표분석, 주식분석, 채권분석, 포트폴리오 관리, 파생금융상품, 투자윤리, 대체투자상품 등을 다룹니다좀 어렵습니다. ㅠㅠ합격하려면 3개 Level의 시험을 모두 통과하고 48개월(4년)의 관련 실무 경력이 필요합니다. 대학졸업자, 졸업예정자, 4년 이상 경력자 등이 응시할 수 있고 금융권에서 가장 어려운 시험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모든 교재와 시험이 영어로 진행되므로 높은 수준의 영어 능력이 요구됩니다. 제가 금융기관에 근무했었지만 40대 이상에서 CFA를 자격 취득한 사람을 못 본 듯합니다.
Q. 예금금리와 대출금리 차이 사유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는 은행의 수익 구조와 관련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은행은 예금을 빌려와서 대출을 해주고 그 이자의 차익을 수익으로 갖고가는 구조입니다.세부적 보면, 은행의 수익 구조는 예금자로부터 받은 돈을 대출해주고 그 차익으로 수익을 얻습니다. 이 차이를 순이자마진(NIM, Net Interest Margin)이라고 합니다. 은행은 이 마진을 통해 운영비용을 충당하고 이익을 창출합니다. 대출금리 구성은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때 지불해야 하는 금리 즉 조달금리와 은행의 운영비용, 위험 프리미엄 등을 반영한 금리 즉 가산금리가 있습니다. 최근 은행들은 가산금리를 '정상화'하는 중이며, 이로 인해 대출금리가 높게 유지될 수 있습니다. 또한, 경기 부진과 부동산 시장의 변동성 등이 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는 은행의 수익 구조, 리스크 관리, 시장 상황, 정책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Q. 선물을 숏으로잡을떄 증거금율이 높아지면 강제천상당해서 자산 잃는건가요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그렇지는 않습니다. 증거금율이 높아지면 계좌에 더 많은 자금을 유지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것이 곧바로 자산을 잃는다(청산)는 뜻은 아닙니다. 만약 계좌의 자금이 유지해야 하는 최소 증거금 수준 아래로 떨어지면, 추가 자금을 넣으라는 마진콜을 받게 됩니다. 이 마진콜에 응하지 않으면, 보유 중인 포지션이 강제로 청산될 수 있습니다.숏 포지션(매도 포지션)은 30%의 증거금 하한율과 70%의 증거금 상한율이 적용됩니다. 이 비율을 벗어나면 추가 자금을 넣으라는 요청이 오거나, 증거금이 반환될 수 있습니다.결론적으로 증거금율이 상승한다고 해서 자동으로 자산을 잃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충분한 자금을 유지하지 않으면 강제청산의 위험이 커집니다.
Q. 연금소득이 분리과세되는 게 이연퇴직소득만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연금소득 중 분리과세 되는 항목은 연금저축계좌에서 연금형태로 받는 소득, 퇴직연금계좌에서 연금형태로 받는 소득(이연퇴직소득 제외), 소기업·소상공인 공제부금의 연금수령액, 연금계좌에서 수령하는 연금 중 연간 1,200만원 이하의 금액이 있습니다. 다만, 연금소득이 연간 1,200만원을 초과하면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