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여드름 흉터에 멜라토닝크림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여드름 흉터가 오래 지속되고, 일반 연고로 효과를 보지 못했다면 색소침착에 특화된 제품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멜라토닝 크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기미, 주근깨, 색소침착 완화에 도움을 주는 미백 기능성 화장품입니다. 특히 여드름 후 붉거나 갈색으로 남은 자국(PIH, 염증 후 색소침착)에는 일정 부분 효과가 있을 수 있어요단, 진피층까지 손상된 함몰성 흉터(패인 흉터)에는 효과가 제한적입니다. 멜라토닝 크림은 피부 자극이 적은 편이지만, 피부가 얇고 민감하다고 느끼신다면 국소적으로 소량부터 테스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사용 시 주의할 점은 자외선 차단입니다. 미백 성분은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오히려 색소침착이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아침에는 사용을 피하고 저녁에만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피부가 건조해질 수 있으므로 보습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고, 다른 각질 제거제나 미백 성분(예: 레티놀, 비타민C)과 동시에 사용하면 자극이 될 수 있으니 병용은 주의해야해요 . 만약 사용 2주 이상이 지나도 자극 없이 잘 맞는다면 꾸준히 사용하며 개선을 기대할 수 있으며, 병원 시술과 병행하면 더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Q. 자고 일어나면 심장이 너무 세게, 빨리 뛰어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최근 자고 일어나거나 특정 시점에 심장이 빠르고 세게 뛰는 느낌이 든다면, 이는 몇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첫째, 감기약과 스테로이드가 심박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스테로이드가 호르몬 시스템을 자극하여 심박수를 증가시키거나 불규칙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약을 끊은 이후에도 증상이 지속된다면, 그 외의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스트레스나 불안, 과도한 카페인 섭취 등도 심박수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갑자기 심장이 뛰는 느낌이 들 수 있죠.가족력에 부정맥과 협심증이 있다면, 이를 고려하여 심장 질환이 아닌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부정맥은 증상이 간헐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심장박동이 불규칙하거나 빠르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증상이 계속된다면 심장 전문의(심장내과)에 방문하여 심전도(ECG) 검사나 24시간 홀터 모니터링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젊은 나이지만 가족력이 있으면 예방 차원에서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하며, 빠르게 증상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Q. 백내장 수술후 후유증에 대해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백내장 수술 후 시력 변화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백내장 수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진행되며, 수술 직후 시력이 개선되는 경우가 많아요. 그러나 일부 환자는 수술 후에 시력 저하나 다른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후유증으로는 염증, 눈의 건조함, 빛 번짐, 시력 흐림 등이 있으며, 이러한 증상은 대개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회복됩니다. 하지만, 수술 후 1-2개월 이상 지나도 시력에 문제가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 후유증의 가능성이 있어요수술 후 시력이 더 나빠졌다고 느껴진다면, 몇 가지 원인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첫째, "후발성 백내장"이 생길 수 있는데, 이는 백내장 수술 후 몇 개월에서 몇 년이 지나면서 수정체 캡슐이 혼탁해지는 현상입니다. 둘째, 수술 후 염증이나 감염이 발생할 수 있죠. 이 경우, 적절한 약물 치료로 회복이 가능하며, 안과 진료 및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회복이 가능할 수 있지만, 지속적인 문제가 있을 경우,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해요. 수술 후 3개월 이상 경과하고 여전히 불편함이 지속되면, 재평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Q. 갑자기 생리 터졌는데 문제 생긴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갑작스럽게 생리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났다면,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주어진 상황을 보면, 최근 스트레스와 몸의 피로, 그리고 이소티논(아크네 치료제) 복용 등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소티논은 호르몬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생리 주기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어요일반적으로 약물이나 스트레스, 피로 등이 주기를 불규칙하게 만들거나, 부정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피가 갈색으로 나온다면, 이는 자궁 내에 오래된 피가 배출되면서 생길 수 있는 현상으로, 생리가 끝난 뒤 남아있는 피가 배출되는 경우일 수도 있구요.다만, 허리 부상을 당한 것과는 큰 연관이 없을 확률이 높습니다. 부상으로 인해 생리 주기가 바뀌거나 출혈이 발생하는 일은 드물기 때문에, 이번 출혈이 부상과 관련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계속해서 출혈이 지속되거나 양이 많아지면, 부정출혈의 가능성도 고려해야 할 수 있어요부정출혈은 호르몬 불균형이나 약물의 부작용, 스트레스 등 여러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증상이 지속되거나 불안하다면, 산부인과 진료 및 상담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