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손가락에 작은 수포같이 생기며 간지럽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사진으로는 정확한 진단 불가능하며 병원 방문하셔서 직접 육안으로 진료 보셔야 합니다손가락에 반복적으로 생기는 작은 수포와 가려움, 진물, 갈라짐 증상은 지간습진(한포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포진은 손이나 발에 작은 물집이 반복적으로 생기며, 가려움증이 동반되는 만성 피부 질환이에요땀샘의 과도한 반응, 스트레스, 알레르기, 계절 변화, 금속 알레르기(특히 니켈) 등이 유발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물집은 가렵고 짜면 일시적으로 진정되지만, 그로 인해 2차 감염 위험이 커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해요한포진은 특히 봄과 여름철, 땀이 많아질 때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증상이 심할 경우 스테로이드 연고나 항히스타민제를 통해 가려움과 염증을 조절해야 할 수 있습니다. 짜지 않고, 청결을 유지하며, 보습제를 꾸준히 바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설거지, 세제 사용 시에는 면장갑 위에 고무장갑을 착용하는 등 자극을 줄이는 생활 습관도 도움이 돼요한포진은 종종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등과 구별이 필요하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 피부과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자가 치료로는 재발이 반복되거나 만성화될 수 있으므로, 전문적인 진료와 꾸준한 관리가 핵심입니다
Q. 발목 붓기가 언제쯤 가라 앉을까요?? (사진참고)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인대 부분 파열 이후 1년 가까이 지속되는 발목 붓기와 통증, 딱딱 소리 등의 증상은 단순 염좌 후 회복 지연이라 보기 어렵고, 만성 염증, 유착, 혹은 불완전한 인대 회복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발목을 돌릴 때 소리가 나고, 특정 자세에서 통증이 있다면 관절 내부에 관절막의 두꺼워짐(유착), 연골 손상, 관절 불안정성 등의 가능성도 생각해볼 수 있어요이미 2주마다 물리치료를 받고 있음에도 호전이 없다면, 현재의 치료 방법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습니다.이럴 경우, 정밀한 재검사(MRI 재촬영 등)가 필요하며, 정형외과에서 평가를 다시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붓기가 장기간 지속된다는 것은 회복이 늦어지거나 비정상적 반응이 있다는 신호이므로, 단순 보존 치료보다는 원인을 더 명확히 파악해야 할 듯 해요
Q. 태양인이 가장축복받은 체질이고 소음인이 가장 안좋은 체질인지 저는 소양인같고 태양인이 가장 좋은체질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이 질문은 한의학 게시판에 하시는게 더 정확한 답변 얻으실수 있을 겁니다.아래 내용은 참고만 하세요. 사상의학에서 말하는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은 각각 장부 기능의 강약과 체질적 특성에 따라 나뉘는 유형일 뿐, 우열을 가리는 개념은 아닙니다. 태양인은 폐 기능이 강하고 간 기능이 약하다고 보는데, 현실적으로는 인구 비율이 가장 적으며, 기질상 활동적이고 추진력이 강한 장점이 있지만 체력적으로 약한 면도 있어 쉽게 탈진하거나 병에 취약한 면도 있습니다. 반대로 소음인은 위장 기능은 강하고 신장 기능이 약하다고 보며, 내성적이고 신중한 성격이 특징이지만, 체력적 단점이 있는 경우도 많다고 해석되곤 하죠인터넷에 떠도는 "태양인이 제일 좋고, 소음인이 제일 안 좋다"는 말은 체질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편견입니다. 실제로 모든 체질에는 장단점이 있으며, 어떤 체질이든 자신의 체질을 잘 이해하고 식습관, 운동, 생활 습관을 체질에 맞게 조절하면 건강하게 지낼 수 있습니다. 소음인은 근육이 잘 붙지 않는다고 하지만, 정력적으로 강하다는 해석은 체질학 이론에 기반한 일부 견해일 뿐, 과학적으로 명확히 증명된 내용은 아닙니다. 중요한 건 체질보다도 개인의 생활관리 습관과 건강 유지 노력입니다
Q. 목이 쉬었을 때 좋은 습관 음식 방법 등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목이 쉬었을 때는 성대에 염증이 생겼거나 과도한 사용으로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충분한 휴식이 가장 중요합니다. 말은 최대한 줄이고, 어쩔 수 없이 말을 해야 할 땐 속삭이지 말고 차분한 톤으로 이야기해야 성대에 무리가 덜 가요.습도 유지도 핵심인데, 실내 공기가 건조하지 않도록 가습기를 사용하거나 따뜻한 물을 자주 마셔서 성대 점막이 마르지 않게 해주세요. 이외에도 따뜻한 꿀물이나 생강차는 목을 진정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음식으로는 카페인, 술, 너무 맵거나 짠 음식, 탄산음료는 피하는 것이 좋고, 대신 부드럽고 따뜻한 죽, 스프, 바나나 같은 자극이 적은 음식을 권장합니다. 장기적으로는 발성 연습을 통해 성대에 무리가 덜 가는 발음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구요. 필요하다면 이비인후과나 음성클리닉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고, 음성 치료를 병행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성대는 한번 손상되면 회복이 더디기 때문에 초기 관리가 정말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