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함께 배워 나가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함께 배워 나가요.

손국현 전문가
크라운제과
Q.  도마뱀은 어떻게 스스로 꼬리를 자를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꼬리를 자르고 도망가는 도마뱀은 그러한 방식으로 생명을 유지하고 천적의 위협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꼬리자르기 특성을 가진 도마뱀은 , house Gecko, Green Anole, Leopard Gecko , Skink 등이 있습니다. 꼬리를 자르는 이 방법은 " 자절 自切 , Autotomy " 이라고 하는데요, 스스로 끊는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종은 자르고 나서 자라지 않는 것도 있고 다시 자라는 종도 있다고 하네요. 이 자절 기능은 도마뱀 꼬리의 근육과 뼈 사이의 특정부위가 절단됩니다. 미리 형성되어 있는 분절설, 잘릴예정인 부분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쉽게 떨어집니다. 신경계의 자극이 있고나서 , 뇌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함과 동시에 근육이 절단면을 수축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그로 인해 그 부분이 떨어지는 것이지요. 떨어진 꼬리는 몇분간 반사적으로 움직이며 포식자, 천적의 관심을 끌게 됩니다. 도마뱀이 딱 끊을려고 준비하는게 아니라 진화론적으로 짤리게 약하게 점선처럼 잘려있다고 보는게 좋을 것같습니다. 이것은 진화론적관점에서 생존확률을 증가시킵니다. 위협에서 도망치고 번식의 기회를 더 가질수 있기 때문입니다. 도마뱀이 스스로 아프게 꼬리를 끊는게 아닌 끊어지게끔 발달이 되어 있다는 것을 참고하시어 주변에 꼬리가 잘린 도마뱀을 본다면 굳이 불쌍하게 생각하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Q.  이번 매미들이 엄청난 개체수가 올라온다는데 천적은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뉴스에서 많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금년 매미의 두 종이 태어나는 년수가 겹쳐서 미국에서 많은 문제가 야기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해당에피소드는 우리나라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입니다만, 어쨌든 많은 수의 매미가 탄생함으로써 소음등의 문제가 불거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본적으로 매미들은 공격성이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양서류와 파충류, 조류 그리고 포유류의 흔한 먹잇감이 될텐데요, 그리고 사마귀와 같은 육식곤충이 그의 천적이 될 것입니다. 또한 거미역시 마찬가지구요, 일본같은 경우에서는 박쥐도 있을 수 있구요, 흔히 보이는 개미 역시 매미유충을 잡아먹기 때문에 어찌되었든 천적이구요, 일부 말벌 등의 벌도 매미 또는 유충을 먹이로 삼습니다. 미국이나 호주 같이 넓은 지역에서는 청설모나 다람쥐 같은 작은 포유류들의 활동이 왕성해질 것으로 보이고 , 우리나라에서보이지 않는 도마뱀도 천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마지막 최대 천적인 포유류의 정점 인간이 있습니다. 매미같은 곤충은 고단백 식품으로서 인기가 있는데 주로 중국에서 먹거리로 알려져 있는데 태국같은 동남아에서는 튀겨서 많이 먹는다고 합니다. 중국의 전통의학에서 매미의 허물은 감기, 기침, 발진, 그외 독특한 효능을 가진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기본적으로 매미허물, 선각이라고 불리는 선홍빛의 껍질에 해열 및 진정효과가 있어 의약쪽에서도 이용하고 있습니다. 여튼 우리나라에는 해당이 없습니다만, 금년 매미의 피해가 없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Q.  러브버그는 왜 암수한쌍이 몸을 붙이고 다니나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음 왜 몸을 붙이냐고 물으신다면 조금 ... 당황스럽습니다. 이러한 일시적으로 특정 기온과 환경에 활개치는 곤충들은 대부분 먹이를 찾아 돌아다니는 것이 아니라 짝짓기 , 즉 자신의 짝을 찾기위한 최후의 몸부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짝을 찾고 난 뒤에 짝짓기를 시행하는데 서로 몸울 붙여서 암컷과 수컷이 사랑을 나누게 됩니다. 이러한 사랑을 나누는 과정의 시간이 다소 오래 걸리고 진지한 것이라고 보입니다. 우리가 보기에 단순 징그러울수 있지만, 그녀석들에게도 생명은 존재한 것이지요.
Q.  수분이 많은 수박과 섬유질이 많은 바나나는 궁합에 맞나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수박은 수분이 90%이상을 함유하는 과일이기 때문에 더운 날시에 갈증을 해소하기 가장 좋은 그런 과일입니다. 칼로리도 100g당 30kcal 로 다이어트에 유리하게 먹는다고 합니다. 비타민은 비타민c와 a가 풍부하게 있으며 항산화물질 리코펜도 함유합니다. 이러한 리코펜은 심혈관질환과 피부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상대적으로 섬유질이 적은 편입니다. 소화가 잘 된다는 의미지요 반면에 바나나는 탄수화물이 많아 빠른 에너지원이 되구 특히 운동 전후 에너지 보충에 유용합니다. 중간크기의 바나나의 칼로리는 105칼로리로 비교적 높은 것이 운동할때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칼륨이 많이 포함되어 혈압 과 근육과 관련하여 도움을 준다고 하며 비타민 c 비타민 b6 등이 있어 건강에도 효과적입니다. 이렇듯 수박은 주로 수분보충 또는 간식으로 쓰이는 반면 , 바나나는 에너지 보충용이거나 요리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들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사용하면 좋을 것입니다.
Q.  금개구리는 왜 멸종위기종이 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금개구리 hyla suweonensis 는 멸종 위기종의 개구리로 아주 유명ㅇ합니다. 주로 저녁, 밤에 활동하고 습지 농경지 근처 물가에 서식하는데 낮에는 주로 식물의 밑이나 돌밑에 숨어 있습니다. 번식기는 따뜻한봄을 지나 여름까지인데 이때는 집단으로 모여 울어대며 짝을 찾고 짝짓기를 합니다. 어느 개구리와 비슷하게 천적은 뱀, 조류 가끔 아주큰 곤충의 먹이가 되는데요, 아무래도 일반적인 개구리의 알과 올챙이는 다른 동물들의 먹이가 되기 십상입니다. 여느 개구리처럼 금개구리도 서식지가 점차 사라지며, 수질오염이 심화되고 , 기후가 자꾸 급격하게 변화하는 그런 과정들이 영향을 준다고 보고 있습니다. 특히 가을의 홍수와 가뭄은 아주 끔찍한 생태계 파괴의 원인입니다. 일부 연구에 의하면 미생물, 특히 곰팡이에의한 유행처럼 번지는 질병에 의하여 개체수가 급격히 줄었다고 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거기다가 보시다시피 요즘 황소개구리처럼 외래종의 물고기, 개구리 등에 의한 피해를 본다는 것도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렇듯 피해를 주는 요인들을 개선하면 금개구리 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물들이 번식을 할 수 있지 않을까요? 금개구리의 서식지에는 가능한 다가가지 않으며 지켜보기만 하면서 그들의 생활상을 존중해 주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61626364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