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조선왕조 실록은 기록되기 시작한 시점과, 실록의 사실성은 어느정도로 추정되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는 사관이 왕의 곁을 지키면서 작은 사소한 일이라도 기록했던 것으로 유명하며 이러한 업적으로 인하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기도 하였죠. 하지만 알고 보면 선조시대 때에는 전란으로 인하여 기록이 제대로 되지 않아 조금은 정확성이 떨어진 사례도 있었으며, 반정으로 인하여 왕위에서 쫓겨난 왕들의 경우 반정을 주도했던 세력에 의해서 그 기록이 훼손되고, 폄훼 되기도 하였죠. 그렇지만 이러한 사례들도 수정을 하였던 수정본이 있기도 하였기에 완전히 왜곡되었다 라고 보기 어렵기도 한 면이 있습니다.
Q. 유네스코에서 등재된 한국문화 유산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유네스코 문화유산은 각 국가의 문화, 독창적이거나, 그 나라의 문화를 대표하거나, 종교를 대표하는 등 독특하면서도 잘 보존되어 온, 그리고 잘 보존하기 위해 선정하는 것이죠. 그렇기에 한국에서도 유네스코에 등재된 문화유산들 또한 한국만의 문화를 느낄 수 있거나, 찬란한 문화재 등을 선정하고 있습니다.
Q. 만약 내가 한 마디로 삶의 정의를 내려야 한다면? 뭐라고 말할수 있으신가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저는 사범대학교 역사교육을 전공했지만, 선생님이 나의 길이 아닌 것 같아서 직장생활을 하다가 지금은 제 개인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제가 남들보다 더 도전하는 삶을 살았다라고 생각되기 보다는 남들도 다 비슷하게 자신의 삶을 위해서 도전하고, 노력하고 사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저는 제 삶의 정의는 지속성이라 생각합니다. 살기 위해서, 가족을 위해서, 나를 위해서 지속적인 삶을 사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