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 순자산비율 PBR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 관련 용어를 보다가 주가 순자산비율 PBR에 대해서 나오던데요, 이 PBR은 어떠한 의미인지 알고 싶습니다.
PBR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하여 나타내는 것인데, PBR이 1이라면 주가와 기업의 1주당 순자산이 동일하다는 의미이고, PBR수치가 낮을수록 해당 기업의 자산가치보다 주식의 가격이 낮아서 증시에서는 저평가되고 있는 것이에요
보통 PBR은 해당 회사의 영업실적과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회사가 보유한 자산가치와 비교를 하는 것이다 보니 해당 회사가 보유한 자산의 가치가 어떤 것으로 이루어져 있느냐에 따라서도 달라질수가 있어요
안녕하세요
PBR은 기업이 소유한 자산 가치 대비 시가총액을 의미합니다
즉 PBR이 1이하라는 것은 보유한 자산가치만 팔아도 시가총액 보다 높은 밸류를 얻을 수 있다는 것으로
기업가치는 주가에 전혀 포함이 안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외국 처럼 적대적 M&A가 활발하다면 이러한 저PBR 기업들을 매수하여 자산만 매각해도
남는 장사라는 뜻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PBR은 장부상의 가치로 회사 청산 시 주주가 배당받을 수 있는 자산의 가치를 말하구요 기업은 순자산이 1주당 몇배로 거래되는지를 나타냅니다 PBR 이 1이하면 주가가 청산가치보다 낮은 상황을 말하는거죠
✅️ 주가순자산비율(PBR)은 그 기업의 1주당 순자산(BPS, 주당순자산) 대비 주가가 어느정도인지를 보여주며, 예를 들어 BPS가 1만 원인데 주가가 5만 원이라면 PBR은 5배가 됩니다. PER과 마찬가지로 낮을 수록 좋다고 봅니다.
PBR(Price to Book Value Ratio)은 주가순자산비율을 의미하며, 주식의 적정가치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다른 지표로 PER 존재)
PBR은 주식의 시가총액을 기업의 순자산(자기자본)으로 나눈 값입니다.
PBR = 시가총액 / 기업의 순자산(자기자본)
PBR의 의미??
1 미만 : 주가가 기업의 청산가치보다 낮다는 의미입니다. 저평가 되어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1 : 주가가 기업의 청산가치와 같다는 의미입니다. 적정가치라고 봅니다.
1 초과 : 주가가 기업의 청산가치보다 높다는 의미입니다. 고평가 되어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PBR이 1 미만일 때 저평가 매력이 있다고 보지만, 업종별로 적정 PBR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단순히 PBR만 보고 투자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PBR이란 Price to Book Ratio의 약자로, 주가순자산비율을 의미합니다.
PBR=주가/주당순자산이며 주가순자산비율은 장부가치에 비해 주가가 어느 정도에 형성되었는지를 나타냅니다.
이 지표가 1보다 작다는 것은 갖고 있는 자산을 모두 판다고 하더라도 시가총액보다 더 많이 형성됨을 의미하므로 통상덕으로 1보다 작으면 저평가되었다고 합니다.
PBR은 기업의 주가를 기업의 순자산가치로 나눈 비율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PBR이 1보다 낮으면 주식이 저평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고, 1보다 높으면 고평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PBR은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BPS : book value per share)로 나눈 시장가치비율입니다.
기업의 순자산에대하여 1주당 몇배나 거래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지표입니다.
주가순자산비율 PBR은 주가를 1주당 순자산(장부가격에 의한 주주 소유분)으로 나눈 것으로 주가가 1주당 순자산의 몇 배로 매매되고 있는가를 표시하며 PER과 같이 주가의 상대적 수준을 나타냅니다.
주식시장에서의 주가는 그 회사의 종합적인 평가이므로 주주 소유분을 초과한 부분은 모두 그 회사의 잠재적인 프리미엄이 되기 때문에 경영의 종합력이 뛰어나면 뛰어날수록 배율이 높아진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