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세대 실비인데 하루 통원 한도 5만원이면 변경해야 될까요?
2010년도에 저희 아버지께서 2세대 실비를 드셨는데 - 통원 5만/약제비 5만 한도
- 입원 5000만원 본인부담 10퍼 로 드셨습니다
현재 65세로.. 허리 문제로 병원에 자주 방문하시는데 매번 5만원 한도로 받고 있습니다..
ㅎ현재 4세대로 바꾸면
입원 본인부담이 많아지고 실비가 오를텐데 바꾸는게 나을까요?
ㅠㅠ 정말 고민이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고민이 되는 부분입니다 한도가 적어서 보상이 하루 5만이지만 4세대로 던환하게 되면 본인부담금이 많아서 하루 병원비 5만저오는 본인부담금급여부분 최소 의원급 1만원 비급여 최소 3만원을 공제한후 보상이 됩니다 그리고 4세대실비도 인상이 됩니다 그리고 3대비급여 청구액에 따라 개인할증이 되기도 합니다 신중하게 고려해보는것이 좋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상웅 손해사정사입니다.
한도가 많이 아쉬운 상황입니다만
4세대의 경우 자기부담금이 훨씬 높고 3대 비급여(체외충격파, 도수치료, 증식치료, 비급여주사제, MRI/MRA) 추가 자기부담금이 있어 보상금액이 적어질 수 있습니다.
2세대 실손의료비를 보유하고 계시다면 유지하시기를 권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마희열 보험전문가입니다.
아버님 연세가 65세.
이제 서서히 아파오실 연세입니다,
입원 보다는 통원으로 치료를 받는시대입니다,
그런대 통원비 5만원으로는 감당하시기 어려울겁니다,
변경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선희 보험전문가입니다.
입원의료비보다 통원의료비가 자주 사용하게 되어 4세대로 전환시 한도가 20만원으로 상향됩니다.
입원시에는 불리하지만 통원만 생각하면 전환하는것이 유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탁준 보험전문가입니다.
아버님께서는 2010년에 가입하신 2세대 실손보험을 유지하고 계시며, 현재 통원 치료비는 1회 5만 원, 약제비 역시 5만 원까지만 보장이 되고 있습니다. 입원 보장은 최대 5천만 원이며 본인부담금은 10% 구조입니다. 현재 65세이신데 허리 문제로 병원을 자주 다니시다 보니, 통원 한도가 낮아 답답함을 느끼고 계신 상황입니다.
2세대 실손보험의 장점은 입원 시 본인부담금이 10%로 낮아 큰 질환이나 장기간의 입원이 발생했을 때 유리하다는 점입니다. 또한 비교적 보장 범위가 넓고 자기부담률이 적다는 것도 강점입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통원 보장 한도가 낮아 현재처럼 병원을 자주 다니는 경우 실제 체감 보장액이 부족하다는 점과, 나이가 들수록 보험료가 지속적으로 인상된다는 점이 있습니다.
반면 4세대 실손보험은 외래 진료 시 1회 최대 20만 원까지 보장이 가능하지만, 급여 항목은 20%, 비급여 항목은 30%를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입원의 경우에도 본인부담률이 2세대보다 높아지며, 보험료는 초기에는 다소 저렴할 수 있으나 나이가 들수록 이용 횟수나 손해율에 따라 할증이 적용될 가능성이 큽니다. 구조적으로는 경증보다는 중증 질환 보장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병원을 자주 이용하는 분들에게는 체감상 보장이 줄어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현재처럼 통원 치료가 잦은 상황에서는 4세대로 갈아타도 본인부담률 때문에 크게 이득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오히려 중증 질환이나 입원 리스크를 대비하는 데에는 2세대 실손보험이 여전히 장점이 있습니다. 결국 선택은 통원 치료에서의 불편함과 보험료 상승, 그리고 중증 질환 대비라는 세 가지 요소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병원 방문이 잦다고 해서 무조건 4세대로 전환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단정하기는 어렵고, 입원 대비를 중시한다면 2세대를 유지하는 것이 더 현명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덕원 보험전문가입니다.
담당설계사와 치료시 현재보장과 4세대 보장을 비교해보고 전환하는것을 상담받아보는것을 추천합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2세대 실손보험을 아버님께서 유지하고 계시는데 통원치료가 잦은데 5만원 한도에 걸리는데 전환을 고려하신다면 안 하시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왜냐하면 4세대는 비급여 이용에 따라 할증이 높아질 수 있고 그리고 자부담이 많습니다. 그리고 보장범위도 좁은 편입니다. 따라서 2세대 실손을 유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4세대 전환은 병원 이용이 없고 비급여이용이 적은 분들이 전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2세대 실손은 비급여 항목까지 폭넓게 보장되는데요. 도수치료 MRI등 기본 보장에 포함됩니다. 자기부담금 10%로 상대적으로 낮고요. 입원시에는 본인 부담이 적습니다. ㄱ리고 병원을 자주 가도 집단별 성별, 연령별 손해율을 적용하기 때문에 보험료가 크게 오르지 않습니다. 허리문제로 MRI,도수치료 등 비급여 치료가 많고 입원가능성이 있고 통원치료가 매우 잦다면 2세대 유지가 정답입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통원 5만원이라면 고민이 많을수 도 있겠습니다.
4세대 실손의료비는 보험료가 저렴하지만, 자기부담금 비율이 높고, 비급여 청구력이 많다면 잦은 할증이 될 수 있음으로 신중하게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채정식 보험전문가입니다.
고민이 많이 되실거라 생각이 되는데 아버님이 통원 치료가 잦으신 편이라면 현재 통원 한도 5만원은 조금 부족하실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현재 4세대 실비로 하신다면 물론 통원 한도가 올라가지만 그에 따른 보험료 인상과 본인부담비율도 약간 높아지실 수 있어 고민보다는 보험사 비교 견적을 통해 확인을 해보신 다음에 결정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보험전문가입니다.
이러한 것은 통원 치료의 횟수 및 빈도 등을 판단하여 결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전세대의 보험의 경우 보장이 많지만, 금액적인 제한이 있고, 지금의 경우에는 보다 큰 금액에 대한 지원이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2세대는 보험료가 저렴하지만, 혜택이 적은 문제, 4세대의 경우 보험금이 비싸지만 보다 더 넓은 보장이 된다는 점으로 인해 어떠한 것이 좋은지 고민해보시되, 통원 빈도가 높을때에 이에 대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특약 등을 알아보시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