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의로운카멜레온145
의로운카멜레온145

인도와 우리나라의 교역 관계와 무역에 대한 특징은 어떤 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인도와 우리나라의 교역 관계와 무역에 대한 특징이 구체적으로 어떤 게 있을지 궁금합니다. 인도는 왜 인구가 많으면서도 무역교역량이 상대적으로 작은지에 대해서도 말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인도와 한국 간의 교역 관계 및 무역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양국 간의 교역 규모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은 주로 전자제품, 자동차 부품, 철강 등을 수출하고 있습니다. 반면 인도는 석유제품, 농산물, 섬유 등을 주요 수출품으로 내놓고 있습니다. 한국의 기술력과 인도의 거대한 시장이 결합하여 상호보완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는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 기업들이 인도 시장으로의 진출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습니다.

    2010년 한-인도 CEPA(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의 발효로 양국 간 무역 장벽이 크게 낮아졌으며, 이는 양국의 무역 활동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 기업들의 인도 투자는 제조업 분야에서 특히 활발하며, 이는 양국 간 경제 협력을 더욱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인도의 무역 교역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이유도 몇 가지 존재합니다. 인도는 거대한 내수 시장을 중심으로 한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상대적으로 대외 무역 의존도가 낮습니다. 또한 과거부터 이어온 보호무역 정책과 인프라 부족 문제, 복잡한 규제 등이 국제 무역 활동에 제약을 가하고 있습니다. 서비스업 중심의 경제 구조와 일부 첨단 산업 분야에서의 기술 격차로 인해 인도는 고부가가치 제품의 수출에서 한계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은 인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무역 교역량을 보이는 이유를 설명해주며, 최근 인도 정부의 'Make in India' 정책을 통해 제조업 육성과 무역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향후 무역 교역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한국과 인도는 모두 주요 경제 국가이지만, 양국 간 무역 규모는 아직 상대적으로 작다고 볼 수 있으며, 한국의 대인도 주요 수출품목은 반도체, 자동차, 석유화학, 철강 등이며, 주요 수입품목은 석유, 석탄, 보석, 화학, 섬유 등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한국의 대인도 수출에서 반도체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인도에서는 석유 및 석탄 등의 수입이 증가되는 추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인도와 한국은 1962년에 수교 이후로 지속적으로 친선 관계를 유지해왔으며, 특히 경제 분야에서는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양국 간의 무역 규모는 꾸준히 증가하였고, 2022년에는 역사상 최대치인 270억 달러를 기록하게 되었습니다. 주요 무역품목으로는 한국에서는 반도체, 자동차, 석유화학물질, 철강, 기계류, 전자제품 등이 주목받고 있으며, 인도에서는 석유, 보석, 의류, 농수산물, 화학제품, 기계류 등이 주요 수출품목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 인도에 대한 중요한 투자국으로 자동차, 철강, 전자, 화학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발히 투자하고 있으며, 반대로 인도는 한국에 대한 석유, 석탄, 보석 등을 주요 수출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몇 년간 양국 간 서비스 무역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it, 컨설팅, 엔지니어링 분야에서도 긍정적인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인도의 무역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이유는 인도의 무역 의존도가 낮다는 점에서 비롯됩니다. 세계 경제에서 6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높은 관세, 복잡한 행정 절차, 인프라 부족 등의 여건으로 인해 무역 비중이 낮은 편입니다. 또한 인도는 내수 시장 중심 경제로, 내수 시장의 크기와 성장 잠재력을 활용하여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보다는 내수 시장 공략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인도 정부는 외국인 투자 유치와 무역 확대를 위해 규제 완화 및 개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인도와 한국이 상호 보완적인 경제 구조를 바탕으로 더욱 긍정적인 경제 협력을 확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인도의 개혁 정책 추진과 함께 한국 기업의 해외 진출 확대가 무역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양국 간 지역 협력 강화도 무역 규모를 더욱 증가시킬 것으로 전망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인도의 경우에는 저렴한 공산품위주로 소비를 하기에 우리나라에서 수출량이 적은 편입니다. 이에 따라 인도의 최대 교역국은 중국으로 알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인도의 경우 한-인도 FTA를 통하여 관세를 많이 절감하고 있으나 현재 인도측의 요청에 따라 재협상이 이뤄지고 있는 점이 특이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인도의 경우 아직 수출입에 있어 아직 수출입액이 상대적으로 높지는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https://stat.kita.net/stat/world/trade/CtrImpExpList.screen

    또한 KOTRA에 따르면 다음의 설명자료가 있습니다.

    2022년 기준 인도는 전세계 교역 순위에서 15위를 차지했다. 수출국 순위에서도 동일한 15위로 전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02%이다. 미국(1위, 12.24%), 중국(2위, 8.23%), 한국(10위, 2.61%)보다 낮다. 수입국 순위에서도 비슷하게 17위를 기록했다. 전체 수입액에서의 비중은 1.84%이다. 중국(1위, 15.12%), 미국(2위, 6.94%), 한국(7위, 3%)과 비교할 때 아직 낮은 수준이다. 교역의 규모는 국가의 개방도를 나타내기도 한다. 인도의 교역은 아직 GDP 규모 대비 성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80&CONTENTS_NO=2&bbsGbn=242&bbsSn=242&pNttSn=205401

    인도의 경우 수출액보다 수입액이 높은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는 국가로서 무역수지 적자 개선을 위해 국내 수입관련 법령을 강화하는등 방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우리나라와 인도의 교역은 우리나라 총 수출산대국 순위로 2023년 기준 8위로 2023년 수출액이 낮아졌으나 우상향의 수출액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인도간 교역량이 높은 품목은 반도체 , 철강판, 합성수지 제품, 석유제품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