쇄골 무릎 골절로 인한 붓기 체중증가??
15일 정도 경과하였는데 해당 내용으로 붓기가 발생하여 체중이 증가할수도 있는건가요?
음식섭취는 적은데 체중이 증가하네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쇄골이나 무릎 골절 후 붓기와 체중 증가가 발생하는 것은 흔한 현상입니다. 이는 골절 자체와 치료 과정에서의 신체 반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붓기 같은 경우 골절로 인해 부상 부위에 염증 반응이 발생하면서 일어나고, 골절 주변의 혈관이 손상되거나 압박을 받아, 혈액과 림프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혹은 조직이 손상되면 면역 시스템이 활성화되어 염증 반응을 일으켜 붓기가 발생하기도 하며, 골절로 인해 움직임이 제한되면 혈액과 림프액의 순환이 느려져 부종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골절 후 체중의 증가는 부상 후 움직임이 제한되면 신체 활동량이 감소하고, 기초 대사량도 줄어들면서 체중이 증가할 수 있고, 염증 반응으로 인해 체내에 수분이 정체되면서 일시적으로 체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부상 치료를 위해 사용한 스테로이드 약물이나 진통제 등이 체중 증가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다리를 심장보다 높게 올리고 계시고, 냉찜질 및 가벼운 움직임이나 스트레칭을 통해 붓기를 완화 하실 수 있습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골절로인해서 붓기가생겼다면 체중이약간 증가할수있습니다 이럴때에는 붓기를 제거하기위해서 찜질과 물리치료, 스트레칭을하는것이 효과적인데요 집에서 혼자하기가 어렵다면 병원에서 검사를받아보시고 적절한 치료를받는것이 도움이될수있습니다
빨리 몸이 호전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붓기가 발생하면 체내 수분이 증가해 체중이 일시적으로 늘어날 수 있습니다. 특히 염증이나 부상이 있는 경우 몸이 염증을 처리하면서 체액이 축적될 수 있습니다 음식 섭취가 적더라도 운동 부족이나 스트레스 등 다른 요인도 체중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정형외과 전문의입니다.
아무래도 골절로 인해 평소와 활동량이 많이 줄기 때문에
체중이 늘어날수 있다고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조현배 물리치료사입니다.
골절로 인해 부은것으로 체중이 늘지 않습니다
신체의 발생한 손상이나 질병으로 인해 활동량이 줄충분 한 에너지 소비가 되지 못하는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체중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골절로 인해 신체의 부종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체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부종 감소를 위해서 다리를 높게두어 휴식을 하시면 혈액순환이 증가되고, 어느정도 회복이 되신 이후에는 가벼운 산책이나 유산소 운동을 통해 붓기가 감소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쇄골과 무릎 골절로 인한 붓기는 체중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부상 부위의 염증 반응으로 조직에 체액이 쌓여 부종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이는 지방 증가가 아니라 체액으로 인한 일시적 체중 증가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15일이 경과한 시점에도 붓기가 있다면 회복 과정에서 흔한 현상일 수 있습니다. 물을 충분히 마시고, 다리를 높이 올려 붓기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붓기가 심하거나 다른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을 방문해 추가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몸이라는게 딱 정해진 답이 없는것이기 때문에 다른 증상이 보인다면 큰 병원이나 잘하는 병원으로 방문하셔서 진료 보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부디 잘 회복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쇄골이나 무릎 골절로 인한 붓기는 해당 부위의 염증 반응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국소적으로 체액이 축적되어 부어오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체중 증가의 경우, 체액의 축적이나 붓기에 의해 일시적으로 체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음식 섭취량이 적고 다른 이유로 체중이 증가하지 않았다면, 이러한 체액 증가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대개 부종은 자연적으로 서서히 가라앉습니다. 그러나 지속적인 붓기나 체중 증가가 문제가 될 경우에는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통증이나 염증이 악화되거나 새로운 증상이 나타나면 적시에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