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에 비중이 물보다 낮은 건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기계설계를 하고 있는 기계쟁이 입니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물보다 비중이 작아 물에 잘 뜨는 것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에서 물보다 비중이 낮은 대표적인 소재는 폴리프로필렌(PP)입니다. 폴리 프로필렌의 비중은 약 0.90~0.92g/cm³로 물보다 가벼워 물에 잘 뜹니다. 또한 폴리스티렌(PS)도 비중이 약 1.04g/cm³로 물에 가깝지만 특정 형태로 제작하면 물에 뜰수 있습니다. 이들 플라스틱은 경량성과 내화학성 덕분에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필요에 따라 적절한 소재를 선택하여 설계에 적용하시면 좋겠습니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물보다 비중이 작아 물에 잘 뜨는 종류를 설명드리자면
폴리프로필렌 (PP) = 비중이 약 0.9로, 매우 가볍고 물에 잘 뜹니다.
폴리스티렌 (PS) = 비중이 약 1.04 이하로 일반적으로 물보다 가벼운 발포형태(스티로폼)로 사용되며 부력 특성이 있습니다.
폴리에틸렌 (PE) = 일반적으로 비중이 0.91~0.96으로, 물에 뜨며 내화학성과 내구성이 뛰어납니다.
이들 플라스틱은 가벼움과 내화학성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다람 전문가입니다.
물보다 비중이 작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는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 폴리스티렌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시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금속 및 세라믹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고성능 플라스틱 으로
강도와 탄성, 내열성(고온을 견딤)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한성, 내약품성, 전기절연성 도 뛰어나야하다보니
대체로 비중이 1 을 넘어섭니다.
물의 비중이 1이다 보니
1 이하의 비중을 가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보자면
PE 폴리에틸렌
비중 0.93~0.96
경도 D60
인장강도 (kgf/㎠) 200~350
신장율 (%) 500~1200
탄성계수 (x1000kgf/㎠) 3~5
마찰계수 0.18~0.08
충격강도 16
열전도율 9
변형 온도 85
PE 폴리에틸렌
비중 0.93~0.96
경도 D60
인장강도 200~350
신장율 500~1200
탄성계수 3~5
마찰계수 0.18~0.08
충격강도 16
열전도율 9
변형온도 85
HME 초고분자PE(GUR)
비중 0.94
경도 D67
인장강도 440
신장율 450
탄성계수 10
마찰계수 0.11~0.07
충격강도 30
열전도율 10~19
변형온도 130
정도로 볼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