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말을 잘 듣지 않을때는 어떤식으로 지도하시나요?
아이가 말을 잘 듣지 않는경우 어떤식으로 지도하시나요? 저는 평소에 아이에게 짧고 강하게 이야기 하는 타입니다. 길게 이야기하면 말을 잘 듣지 않는듯 해서요. 그런데 그래서 인지 아이가 자꾸 저를 피하는데 어떤식으로 훈육하는게 좋을까요?
아이가 말을 잘 듣지 않을 때는 어떤 식으로 지도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가봅니다.
아이의 마음을 공감하고 차분하게 대화를 나누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말을 잘 듣지 않을 때는 짧고 강하게 지시하기보다는 아이의 감정을 먼저 공감해주고 차분하게 이유를 설명해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지금 엄마 말이 잘 안 들리는구나, 무슨 생각을 하고 있었어?”처럼 아이의 입장을 물어보고 아이가 대답할 수 있도록 기다려주세요.
지시할 때는 한 번에 한 가지씩 짧고 긍정적으로 전달하고 아이가 잘 따라줬을 때는 “잘 들어줘서 고마워”처럼 구체적으로 칭찬해주는 것이 아이와의 신뢰를 쌓는 데 도움이 됩니다.
무엇보다 아이가 부모를 피하는 모습이 보이면 훈육보다 먼저 아이와의 관계 회복에 집중해 따뜻하게 다가가 주세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말을 듣지 않는다면
가장 좋은 방법은 대화적인 소통을 통해서 훈육을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훈육은 강압적이고 권위적인고 그 분위가 무겁고 무섭고 두렵고 공포적 이어서는 안됩니다.
아이에게 훈육은 단호하되 아이가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부드러운 어조로 전달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말을 듣지 않는다면
그 즉시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고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지금 한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전달한 후, 왜 지금 한 행동이 옳지 않았는지 이에 대한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아이를 훈육을 하기 전 아이의 시선으로 아이를 마음을 이해해 보고, 부모님의 감정을 충분히
다스린 후, 부모님의 마음이 차분 해졌을 때 훈육을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님의 감정이 화난 상태에서 훈육을 하게 되면 그 감정이 아이에게 고스란히 전달 되어져 아이가
무섭고 두려움을 가질 수 있기 때문 입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훈육을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아이의 감정 및 행동 원인을 파악하고 강하게 훈육해 보세요
안녕하세요.
말을 짧고 강하게 하면 즉각적인 반응은 얻을 수 있겠지만, 아이에게는 무서운 경험이 될 수 있어요. 아이가 말을 듣지 않을 때에는 먼저 그 행동 뒤에 숨은 감정이나 욕구를 이해하려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가능한 차분한 목소리로, 눈을 맞추면서 이야기하면 아이도 더 안정감을 느끼고 귀를 기울입니다. 반복적으로 지켜야 하는 규칙은 그림이나 간단한 문장으로 시각화를 하면 도움이 됩니다. 또한 아이가 말을 잘 들었을 때에는 칭찬과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는 게 중요합니다. 관계의 따뜻함이 훈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와 대화를 통해서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해 주세요
말을 안 듣는 행동 뒤에 어떠한 억울하고 불안한 감정이 있는지 아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왜 하면 안되는지 이유를 설명해 주고, 아이를 이해 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잘못을 혼내기 보다는, 올바른 행동을 하려고 노력할 때 칭찬과 격려를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마음을 열도록 부드럽고 공감적인 말투로 감정을 먼저 읽어주고,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이야기할 기회를 주세요. 칭찬과 격려를 함께 하며 자연스럽게 원하는 행동을 이끌어내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꾸중 대신 함께 해결책을 찾아가는 태도가 아이와 신뢰를 쌓는데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