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물가지수가 예상치보다 실제 수치가 높게나오거나 낮게나왔을때 시장에 주는 영향이 궁금합니다.
미국의 물가지수가 거의 예상치대로 발표가 되기는 하지만 간혹 지수가 높게 발표되거나 낮게 발표가 되는 경우도 있는데
물가지수가 예상치보다 높게 나왔을 때 시장에 주는 영향과 낮게 나왔을 때 시장에 주는 영향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물가지수가 발표될 때마다 시장이 괜히 긴장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수치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심각하다는 신호라서 금리 인상 압박이 커지고 주식 시장은 보통 위축됩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괜히 불안해지고 달러 가치가 강세로 움직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대로 예상보다 낮게 나오면 다행이다 싶은 분위기가 퍼지죠. 연준이 금리 인상을 멈추거나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기대감이 생기면서 주식이나 채권 가격이 반등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게 항상 단순하지는 않습니다. 같은 수치라도 시장이 해석하는 방향이 다를 때가 있어서 헷갈리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물가지수가 예상치 보다 높게 나오면 혹은 낮게 나오면 시장에 어떤 영향을 주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일단 물가지수가 예상치 보다 높게 나오면 기준 금리 인상이 점쳐지게 되고
물가지수가 예상치 보다 낮게 나오면 기준 금리 인하가 예상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보다 높거나 낮게 발표될 때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CPI 예상치 상회: 인플레이션 우려가 높아져서 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4.25~4.5% 유지) 커지게 됩니다.
영향:
주식시장 하락(S&P 500 지수의 하락),
채권수익률 상승(10년물 국채금리가 상승),
달러 강세(USD/KRW)에 따른 환율상승
특히 기술주(나스닥)와 소비재 약세
CPI 예상치 하회: 금리 인하 기대로 시장의 활력증가합니다.
영향:
주식시장 상승
채권수익률 하락,
달러 약세.
성장주·암호화폐 강세.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물가지수에 따라서 향후 기준금리에도
영향을주게되고 이에 따른 주식시장이나 각 자산시장에
엄청난 등락을 주기도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물가지수가 예상치보다 높게 나온다면 물가가 상승해 있기 때문에 기준금리 동결 또는 인상 시그널이 나오면서 위축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물가지수가 예상치보다 낮게 나온다면 기준금리를 인하할 수 있게되면서 시장은 호재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예상보다 물가가 높게 나오면 긴축 우려로 증시가 하락하고 달러 강세가 나타납니다. 반대로 낮게 나오면 금리 인상 부담이 줄어 증시는 상승하고 달러 약세가 이어집니다. 결국 투자 심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핵심지표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조금후 9시30분에 미국 7월 PCE 지수가 발표됩니다 물가지수인 만큼 예상치보다 물가지표 높게 나오면 금리 인하 기대치가 낮아지게 되니 증시나 코인 시장에 악재로 작용을 할 가능성이 크구요
예상치보다 낮게 나오면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크게 상승해서 단기 호재로 작용할 확률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금은 통화정책이 매우 중요한 시점입니다 왜냐하면 미국은 재정적자를 줄이는게 핵심이며 이로 인해서 트럼프와 미국정부가 시장금리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입니다
그런상황에서 관세와 비관세장벽을 엄처 두면서 실질 관세율이 매우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즉 그러다보니 물가상승압박이 심한 상황인데 여기서 물가 상승률이 높게 나오게 되면 시장금리가 올라가게 되고 연준도 기준금리를 올리기가 힘듭니다 그렇다는건 미국은 향후 국채를 새롭게 발행해야하는 이슈가 생기는데 이는 다시금 금리를 높여서 발행해야하므로 재정적자가 다시 커질수 있고 이로 인해서 신용등급 강등우려로 미국의 달러가치가 하락과 달러자산의 유출이 발생할 수 있으며 금융시장의 불안과 연준의 긴축정책이 실시될 수 있어서 유동성이 축소가 되는 흐름으로 이어지니 이는 실물경제와 금융시장 모두 악재로 작용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장금리가 하락하는 물가가 예상보다 낮게 나와야 이와 같은 반대로 움직임이 되고 즉 실물경제와 금융시장 모두 좋아지는 조건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