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부동산

룰룰랄
룰룰랄

단독주택 공시가격 보는법 궁금합니다

다중주택이구요, 여섯 가구가 거주하고있습니다

주택 자체의 시세를 알고싶어 검색했는데 이렇게 나옵니다.

(등기부등본엔 9억대 거래로 적혀있어 말이 안된다 생각돼서요)

-개별주택 가격이라함은 한 가구당을 말하는건가요?

-단독주택 건물 자체의 시세를 알고싶은데 방법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공시가격과 실제 시세는 차이가 꽤 큽니다.

    개별주택은 그냥 건물 하나를 말합니다.

    단독주택은 거래가 많이 없어 시세를 알아보기 어렵긴 합니다.

    그 지역의 여러 부동산 돌아다니시면서 여쭤보시는게 그나마 빠르고 정확할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개별주택 가격이라함은 한 가구당을 말하는건가요?

    -단독주택 건물 자체의 시세를 알고싶은데 방법이 있을까요?

    ==> 전체적으로 관련 서류를 확인한 후 답변이 가능하지만 현재 상태에서 답변드리겠습니다.

    1. 개별주택가격이란 집합건물인 경우 각호별 가격, 일반건축물인 경우 전체 건물가격을 의미합니다.

    2. 주변시세를 고려하여 대략적인 판단하시거나 아니면 감정평가를 통해서 진행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관공인중개사 입니다.

    다중주택은 건물전체 가격만 나옵니다.

    호실별 따로 등기할수도 없고 매매할수도 없습니다. 건물전체가 단독주택에 속합니다.

  • 부동산공시법에 따라 공시된 토지의 적정가격이 “공시지가”이고 주택의 적정가격이 “공시가격” 입니다.

    정부에서 부동산가격공시제도에 따라 매년 조사 평가하여 적정하다고 판단되는 가격을 공시하는데, 이러한 가격은 시장변동이나 부동산의 특징, 거래자 간의 협상 등 특별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적정가격을 결정하므로 실 거래가와는 차이가 발생하고 있는데 단독주택의 경우에는 특히 그 차이가 큽니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점차 없애고자 공시지가 실거래가 반영률을 점차 높이고 있습니다.

    다중주택은 단독주택으로 분류되므로 개별주택가격은 집 전체를 하나의 물건으로 보고 금액을 산정한 것입니다.

    단독주택인 경우 아파트와 달리 동일한 주택의 수량이 적어서 정확한 시세를 알기가 어려워서 인근의 비슷한 주택 매매 사례를 찾아보고 감정평가(대출 시) 등을 기준으로 삼게 됩니다.

  • 단독주택이면 공시가격이 하나로 나오는데 다중이면서 개별등기가 되어있으면 따로따로 공시지가가 나옵니다

    어떤주택이냐에 따라 구분이 되니 확인을 잘해보시기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시세를 알고 싶으시면 인근 부동산에 문의하시는 것이 가장 빠른 방법입니다. 해당 시점에 부동산은 매수와 매도가 만나서 거래하는 가격이 시세입니다.

  • https://www.realtyprice.kr/notice/hpindividual/search.htm

    공시가격은 위의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다중주택이 맞는지 일단 먼저 확인해보시는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왠지 제 생각에 다가주주택을 말씀하시는거 같아요.

    https://blog.naver.com/new__map/223373856894

    그리고 단독주택은 정해진 시세가 없습니다. 주변시세와 최근 실거래를 확인하시고 대략 예상하셔야 합니다.

    도움되셨다면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스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