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주려고할때 임대인보증보험 어떻게
오늘 10월2일부터 임대인 보증보험이 생겼잖아요 저거 안들면 전세못주는거잖아요 그럼 기존에 계약되어있던 사람들은 어떻게하고 3-4일에 계약하는 사람들은 어떻게하나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사업자들에 한해 전세보증보험을 안들면 임대사업등록이 안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임대사업자들은 전세보증보험을 임대인이 75% ,임차인은 25% 부담해서 드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일반전세는 본인들이 전세보증보험을 들고 있습니다
편안한저녁되세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인 보증보험은 임대사업자로 등록된 임대사업자 또는 임대사업자로써 등록을 원하는경우 의무적으로 가입을 해야하는 부분입니다. 그외 개인 임대인은 의무사항이 아닙니다.
쉽게 임대인이 임대사업자가 아니라면 기존과 달라지지 않으며, 만약 임대사업자로써 등록을 원할 경우라면 임대인 보증보험에 가입하여야하고 임차인은 기존 본인이 가입한 보증보험을 해지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임대인 보증보험에 가입시 비용은 임대인 75%, 임차인 25%을 부담하여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해당사항은 임대주택사업자에게만 적용되는 법이며
일반 다주택자가 전세주는 경우는 제외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제49조 제1항에 따라 민간임대사업자는 임대보증금보증에 반드시 가입해야 하는 의무가입 대상입니다. 법 시행('20.08.18)이후 신규로 등록한 임대주택의 경우 법 시행('20.08.18) 즉시 가입하여야 하고 기존 등록주택은 21년 8월 18일이후 계약(갱신)부터 가입이 필요합니다.
아래의 케이스에 해당할 경우 임대보증금 보증 가입이 면제됩니다.
1. 임대보증금이 주택임대차보호법 상 최우선변제금액 이하이고, 보증 미가입에 임차인이 동의한 경우
2. 임차인이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을 가입하였고 임대사업자가 해당 보증의 보증수수료를 전부 지급한 경우
3. 임대사업자가 공공주택사업자(LH. SH 등 지방공사)와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였고 해당 공공주택사업자(임차인)가 보증 가입을 한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