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단아한비단벌레135
단아한비단벌레135

작년에 우리나라 국제수지에 적자가 많았지만?

작년에 우리나라 국제수지에 적자가 많이 났잖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품수출과 수입은 어떻게 흑자를 유지할 수 있었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국제수지란 국가 간 거래에서 발생한 수입과 지출을 합산한 결과를 나타내는 지표로, 경상수지와 자본수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소득수지, 경상이전수지 등으로 구성되며, 한 나라의 경제 상황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중 상품수지(商品收支)는 국가 간 상품 거래에서 발생한 수입과 지출의 차이를 나타내며, 무역수지라고도 불립니다.

    2022년 9월 7일 한국 경제의 기초 체력과 대외 건전성을 보여주는 지표인 경상수지 중 상품수지가 10여 년 만에 적자로 돌아섰습니다. 이는 세계적인 경기 침체와 주력 사업인 반도체 업계의 부진으로 인한 결과로 해석되고 있으며, 2023년 6월 20일 기준으로는 15개월째 적자를 보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무역수지와 상품수지 모두 국가의 수출입과 관련한 지표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수지가 흑자인 경우는 수출이 수입보다 많은 경우에 해당하며, 적자인 경우는 수출이 수입보다 적은 경우에 해당합니다.

    이때 무역수지와 상품수지를 측정하는 기준이 다르기에 문의주신 바와 같이 상이할 수 있는데, 무역수지의 경우에는 인코텀즈 조건을 고려하여 수출은 FOB금액, 수입은 CIF금액(보험과 운송료 포함)을 기준으로 집계하며 상품수지의 경우에는 온전한 상품의 가격만을 기준으로 집계되므로 문의주신 바와 같이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2021년 대비 2022년 우리나라 수출입 단가와 수출입 물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전체 수입단가는 20.0% 상승한 반면 수출단가는 7.3% 상승하는 데 그쳤습니다.

    수입물량은 0.9% 감소하였고 수출물량은 1.1% 감소하였으나, 이는 무역적자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습니다.

    (분석 방법)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의 연도별 수출입액(달러), 수출입 물량(톤) 통계를 활용하여 수출입단가(톤당 달러)를 도출하였습니다.

    ⇒ 수출단가(수입단가) 상승은 전년 대비 당해 연도에 지급받는(지불하는) 톤당 가격이 상승함을 의미하며, 이는 무역수지를 개선(악화)시킵니다. 단, 전체 수출입 단가 분석은 단순합 개념으로 개별 품목별 상승률의 합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환율 효과는 분석하지 않았으므로, 수출입단가 변동에는 환율 상승으로 인한 부분까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2022년 평균환율이 1,292원으로 2021년(1,144원) 대비 12.9% 상승한 점을 고려하면, 수입단가는 환율 상승을 감안하더라도 상승한 반면, 수출단가는 오히려 하락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작년 우리나라 국제수지가 298.3억달러 흑자로 전년(852.3억달러) 대비 크게 축소된 것은 서비스수지 적자 확대와 이전소득수지 적자 확대 때문입니다. 상품수지는 수출 증가로 흑자규모가 전년 757.3억달러에서 150.6억달러로 축소되었지만, 여전히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상품수출은 전년 대비 15.5% 증가한 6,720억달러를 기록했으며, 상품수입도 전년 대비 22.0% 증가한 6,569억달러를 기록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상품수출과 수입은 어떻게 흑자를 유지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내용이 이해되지 않습니다.

    최근 우리나라의 무역수지는 '월'로 따져서 흑자를 기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연단위의 무역수지는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대 이후 대부분의 기간을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한 만큼 우리나라의 무역수지 흑자전환도 어려운 기간이 지나가면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작년에 무역적자를 기록하였으나, 경상수지의 경우 흑자를 유지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러한 적자의 원인에는 전세계적인 경기 둔화, 무역액 감소 등이 원인이라고 볼 수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융, 엔터 등 무체물의 분야에서는 이익을 거두었기에 무역적자를 메울만큼의 수익을 벌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