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미국과 우리나라의 관세는 25%에서 마무리 된 것이 아닌가요?
미국이 서한으로 관세 25%라 보냈다고
하던데 뉴스 기사에 자동차 50% 철강 75%
이런 내용들이 나오더라구요
우리나라와 미국 관세는 25%로 확정된 것이 아닌가요?
세부적으로 조정단계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미국과의 관세는 상호관세 25%로서 8월 1일자로 시행을 앞두고 있습니다. 다만, 우리나라는 8월 1일 상호관세가 시행 전까지 관세를 협상에 최선을 다한다고 했습니다.
상호관세 외에 자동차, 철강 등의 품목은 관세부과를 별도로 하고 있습니다. 각국에 부과된 상호관세가 아닌 품목별 관세부과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과의 관세협상절차는 마무리되지 않았고 그렇기 때문에 트럼프 행정부에서 8월 1일까지 추가적인 유예를 한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변수가 없다면 확정이지만 그 전에 여지를 줄테니 협상카드를 들고와라 라는 형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보낸 서한에 25%라 명시돼 있었다 하더라도 그게 확정 최종치는 아니고, 철강이나 자동차 같은 민감 품목은 업종별로 따로 협의 들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언론에서 나온 50%니 75%니 하는 얘긴 아직 조정 중이거나 대외적으로 언급만 된 수치일 가능성도 있어서, 그냥 단순히 25%로 다 끝났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지금은 조정 방향 잡는 중이라 상황 계속 바뀔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미국 행정부에서 7월 초까지 협상이 되지 않은 국가들에게 서한을 발송하였으며 8월 1일부터는 보편 및 상호관세 25%로 다시 적용한다고 통지를 하였습니다. 4월 초에 부과했던 상호관세는 협상기한 3개월의 유예기간을 받아 25%가 아닌 보편관세 10%만 적용하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정부 입장에서는 25%로 부과되면 상당히 고율의 관세가 되므로 이번달 안으로 미국과 협의하여 25%가 아닌 10%대 수준으로 합의를 할 것으로 보여지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일반품목이 아닌 철강 및 알루미늄은 50%이며,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은 별개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25퍼센트로 확정됐다고 보기엔 아직 애매한 상황입니다. 미국 정부가 특정 품목에 대해 25퍼센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전달한 건 맞지만, 그게 모든 품목에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건 아닙니다.
언론에서 나오는 자동차 50퍼센트, 철강 75퍼센트 같은 수치는 정책 제안 단계나 협상 중 거론된 상한선일 가능성이 큽니다. 발표 내용만 보고 단정하기는 어렵고, 실제 발효 시점이나 대상 품목 리스트를 따로 확인해야 합니다.우리나라 수출입 기업 입장에서는 지금은 아직 최종 확정 단계라고 보기보다는 세부 품목별로 조정 중인 흐름이라고 보는 게 맞습니다. 통보된 문서와 실제 적용 조치 사이에 간극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