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과의 스킨쉽, 언제까지 가능한걸까요?
아이가 크면서 사랑한다는 말도, 포옹도, 손잡는것도 많이 없어지는데, 보통 몇살까지 이렇게 아이와 함께 살부딪히고 지낼 수 있는건가요?!
아이와의 스킨십이 언제까지 가능한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우선 아이가 불편해 한다면 조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초등학교 고학년이나 사춘기 시기에는 아이가 신체적 변화와 정체성에 혼란을 겪게 되는 시기입니다.
따라서 이 때는 머리 쓰다듬기, 주먹 인사, 눈 맞추며 칭찬하기 등 비첩족적이거나 간접적인 애정 표현을 하는 것을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스킨십은 4세 부터 조심하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
4세 시기 부터 아이들은 엄마.아빠가 다른 성을 가지고 있음을 인지하구요.
보통 4세 시기 부터 성교육을 시키며 나의 몸을 소중히 여기고 타인의 몸을 소중히 여겨야 한다 라는 부분을. 배우게
됩니다.
아이 또한 감정을 지닌 인격체 이기 때문에 어리다 라고 해서 함부로 아이의 몸을 터치 하는 것은 옳지 않아요.
아이가 스킨십에 대한 경계와 싫다 라는 의사를 표현하면 하지 않는 것이 좋구요.
특히나 성격이 내성적인 아이들은 이러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에 대한 부분의 미흡하기 때문에
싫으면 싫다, 좋은면 좋다 라는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 할 수 있도록 알려주어 자신의 감정을 잘 전달 하도록 해주는
것이 필요로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싫어하지않는다면 계속하신다고 해서 이러한것이 나쁘다고볼수는 없으니
참고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이와 동성인지 이성인지, 아이가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대개 동성이라면 초등학교 고학년, 이후까지도 하기도 하고, 성이 다르다면, 초등학교에 입학한 뒤부터는 조금 조심하는 게 좋습니다. 무엇보다도 아이의 반응이 가장 중요하므로, 아이가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보통 초드학교 2학년(8-9세)까지는 아이들이 부모의 자연스러운 스킨십을 즐깁니다. 하지만 점차 또래 의식과 사춘기가 시작되면서 스킨십을 쑥스러워하거나 거부하기도 합니다. 그래도 사랑한다는 말, 가볍게 쓰다듬기, 어깨에 손 얹기 같은 표현은 나이가 들어서도 계속 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아이가 싫어하지 않도록 존중하며 자연스럽게 스킨십 형태를 바꿔가는 겁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성격과 기질에 따라 부모님이 스킨십 또는 애정 표현을 하는 시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보통은 사춘기를 겪으면서 부모님의 애정 표현을 거부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성인이 되어도 부모님의 애정 표현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아이들을 있기 때문에 가정환경과 분위기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사춘기를 겪는다 해도 애정표현 스킨십 사랑해 등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표현들은 아이의 성장 발달 과정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3살부터 5살까지는 스킨십을 매우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부모와의 신체적 접촉을 많이 원하죠. 그 이후에도 초등학교 저학년까지는 여전히 손을 잡거나 포옹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아이가 자라면서 자신만의 공간이나 독립성을 점점 더 원하게 되면서 부모의 스킨십에 대한 반응이 달라질 수 있어요.
10대에 접어들면 많은 아이들이 부모와의 신체적 접촉을 줄이려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자아 확립과 관련이 있고 그 시기에 부모와의 관계를 좀 더 감정적이고 심리적인 방식으로 연결하려고 하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부모의 사랑을 느끼고 싶어하는 감정은 남아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가 느끼는 '편안함'과 부모와 아이 사이의 '신뢰'입니다. 만약 아이가 스킨십을 원한다면 그것은 사랑과 애정의 표현일 수 있지만 아이가 불편함을 느끼거나 거부할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그들을 존중하는 게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와의 스킨십은 나이보다는 가정의 분위기와 관련이 큽니다 아이와 꾸준한 스킨십을 유지하면 성인이 되어도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