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에는 전세보다 월세가 많다고 하는데 사실인지 궁금합니다
사실 본인의 집이 있다면 월세이든 전세이든 상관을 하지 않는것 같아요
그런데 요즘에 이야기를 들어보면 전세보다 월세 비중이 늘어난다고 하는데
왜 그런거죠
사실 본인의 집이 있다면 월세이든 전세이든 상관을 하지 않는것 같아요
그런데 요즘에 이야기를 들어보면 전세보다 월세 비중이 늘어난다고 하는데
왜 그런거죠
==> 우선적으로 단독주택, 빌라인 경우 공시가격대비 126% 범위 내에서만 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한 만큼 보험 가입을 위하여 반전세로도 진행되기 때문에 월세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 전세에 대한 신규 공급이 거의없고 대출 규제 및 전세사기 등으로 월세를 선택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데, 올해 9월에는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의 비중이 65%를 기록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맞습니다
최근 우리나라 임대차 시장에서 월세(또는 보증금+월세 형태인 반전세 포함)의 비중이 전세보다 높아지는 추세가 분명히 나타나고 있습니다
정부규제로 전세대출도 쉽지않고 이자도 비싼편이라 월세를 얻는 경우도 있고 공시지가가 낮아져서 전세보증보험에 가입되는 한도 때문에 나머지 금액을 월세로 하는경우도 있습니다
또 전세사기가 두려워 월세를 선호하기도 합니다
여러가지 이유로 전세보다 월세,반전세 형태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정부의 부동산 규제 및 대출규제로 임대인 및 임차인이 전세에 대한 부담이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 됩니다.
즉 대출규제로 인해서 향후 임차인이 퇴거를 하게 될 경우 전세보증금반환용 대출이 1억으로 제한이 되고 또한 신축 아파트 전세대출이 소유권이전부전세대출 불가 방침으로 안되게 되므로써 임대인과 임차임 모두 부담스러운 입장이라 전세보다는 월세로 전환을 하는 경우가 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2025년에 전세보다 월세가 더 흔한 임대 형태가 된 것이 사실이며 이는 시장의 변화와 정책적 배경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특히 전세보다는 월세가 더 유연하고 대출 부담이 적으며 시장의 공급 부족으로 월세 선호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 같은 현상은 앞으로 계속 될 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대출 규제로 인한 전세 매물 감소와 세입자 및 임대인의 월세 선호 등의 요인들이 시장에서 전세보다 월세가 크게 증가한 이유라고 보시면 됩니다 단기적인 주거 유연성과 초기 자금 부담 경감 면에서 월세가 선호되는 추세로 바뀌면서 당분간은 월세 중심의 임대차 시장이 확산될 것으로 보여집니다